149 0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리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교 미술 교과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Title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리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고등학교 미술 교과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Media Content Re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Adolescents' Media Literacy Competence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High School Art Curriculum Class
Author
강희경
Alternative Author(s)
Kang Hee Kyung
Advisor(s)
김미남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OVID-19 이후 ‘온택트’가 새로운 흐름으로 발전하면서 현대 사회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를 마주하게 되었으며, 미디어는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를 형성할 뿐 아니라 사회 전반을 통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우리 삶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미디어의 역할이 확장됨에 따라 이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함께 야기되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미디어로 인한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되면서 여러 교육 연구 및 정책이 제시되었으나 여전히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통합적 속성을 반영한 체계적이고 순차적인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구체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리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미디어 콘텐츠 리디자인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미술 교육을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비판적 사고뿐만 아니라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제작 활동까지 연계할 수 있어 통합적인 역량 함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리디자인을 통한 접근 방식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함양하기 위한 역량을 포괄하고 있어 리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가능하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청소년기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국내 및 해외 전략을 살펴보았다. 또한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미디어 리터러시의 반영 정도를 분석하고, 국내 및 해외에서 이루어진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에 보완할 요소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할 방법으로 리디자인 접근 방식을 선택하여 리디자인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리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한 미디어 콘텐츠 리디자인 교육이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갖는 의의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 본격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들어가기에 앞서 출판사별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에 나타난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탐색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필요한 수행 목표의 반영 정도를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얻은 시사점과 청소년 미디어 사용 문화를 바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주제어를 선정하여 본 연구의 프로그램 주제를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한 유튜브 영상 섬네일 이미지 리디자인 프로젝트’로 선정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총 8차시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업 대상으로는 미디어를 통한 심리적 피해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미디어 리터러시 심화 연계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등학교 학생으로 설정하였다. 교수·학습 모형으로는 프로젝트 학습법에 리디자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미술의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을 통합적으로 학습하고, 체계적인 단계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필요한 수행 목표를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본 프로그램이 갖는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 미디어 문화 속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미디어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수행 목표에 따른 8가지 역량을 함양하여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올바른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는 통합적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셋째, 10대 청소년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의 영상 섬네일 이미지를 활용함으로서 실제 삶 속에서 학생들이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미디어를 사용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는 리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에 접근함으로서 미디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체계적인 단계에 따라 사고한 내용을 바탕으로 재창조하는 경험이 가능하여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필요한 수행 목표를 모두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학생들의 실제 삶 속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를 활용함으로서 일상에서 무분별하게 접했던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문제점을 개선한 결과물을 제작하는 전 과정을 직접 경험하고 내면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소통이 가능한 미디어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OVID-19 이후 학교에서의 미술 교육이 새롭게 나아가야할 온라인 미술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리디자인 미술 교육 프로그램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 학생들의 올바른 미디어 사용이 가능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After COVID-19, with the evolution of 'ontact' as a new trend, modern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Media, while providing information and shaping culture, has expanded its role to encompass and control various aspects of society, significantly influencing our lives. However, as the role of media has expanded, it has brought about social issues, highlighting the need for media literacy development. Especially for adolescents, the digital-native generation, various educational research and policies have been proposed to address the social issues caused by media. However,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is still lacking in actual school settings. In this context, the researcher conducted a study with the aim of developing a specific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a media content redesign art education program using the redesign process was developed to enhance media literacy skills. The use of art education in media literacy education allows for the integration of critical thinking and production activities using media technology, enabling comprehensive skill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redesign approach comprehensively addresses the competencies needed for media literacy development, making systematic media literacy education possible through the redesig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examined the necessity of enhancing media literacy skills in adolescence and 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rategies in use. The analysis of high school art curricula and education program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xtent of media literacy integration. Case studies of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ere examined to identify elements for 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s program. Finally, the research chose a redesign approach as the method for utilizing art education in the media literacy program,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design and media literacy and presenting the significance of using the redesign process for media content redesign education. Moving on to the actual program development, the study explored media literacy-related content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from various publishers to analyze the extent of reflection of performance goals necessary for media literacy enhanc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books, key topics related to media literacy education were selected, and the program's theme was determined as the 'YouTube video thumbnail redesign project for responsible media use.'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eight sessions,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most susceptible to psychological harm through media and are capable of advanced integrated learning. The instructional model applies the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with the redesign process to integrate experiential, expressive, and appreciative aspects of art education, ensuring the systematic inclusion of all performance goals required for media literacy enhancement.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ll be able to see the problems within the current Korean media culture and understand the need for media literacy. Second, it can develop the eight competencies that are in line with the goals of carrying out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develop an integrated ability to produce correct images using media technology based on critical thinking. Third, by utilizing video thumbnail images from YouTube, the media platform most commonly used by teenagers, students can develop an attitude of using media based on critical thinking in real life.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utilizes the redesign process to approach education for enhancing media literacy skills. This approach goes beyond understanding and analyzing media to the experiential process of thinking, based on systematic steps, and recreating content. By using the most popular media platform, YouTube, students can experience and internalize the entire process of cri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media, creating results, thus contributing to media literacy skill development. Furthermore, by utilizing real-time communication through media programs, the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art education in schools should take, especially in the post-COVID-19 era, emphasizing the potential of online art educatio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presents a media content redesign art education program for enhancing media literacy skills in adolescent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program will be actively utiliz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enabling students to engage in responsible media use in the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991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ART EDUCATION(미술교육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