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0

PBL기반 취업교육프로그램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Title
PBL기반 취업교육프로그램에서의 교수-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 in a PBL-Based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Author
민세희
Alternative Author(s)
MIN SE HEE
Advisor(s)
유영만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umber of new employees leaving their company within the first year continues to increase. The mismatch between employees’ interests and required roles at work is a critical reason for early resignation. Such fact demonstrates current problematic circumstances, in as much as job seekers search for their job without having confidence or relevant experiences associated with their potential job position. Getting employed without contemplating oneself toward their career objectives is bound to be unstable and incomplete. The focus of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should extend beyond merely obtaining a job; it should involve introspection about the sustainability of the position after employment. In this context, an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utiliz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has garnered attention. PBL stands for a problem-based learning method in which learners independently solve practical problems such that PBL as an innovative educational method aims to create student-centered class from instructor-centered class. It holds significance for job seekers as it fosters fundamental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real-world problem-solving experiences and provides fruitful experiences in professional values and cultures in advance. Previous studies on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mainly focused on validating the PBL impact and examining specific PBL application cases. Although the previous literature substantiated the validity of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these studies lacked a comprehensive prescription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Moreover, most exis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cases of improving the competence of major subjects by applying PBL within the same fields in universities, limiting its relevance to job applicants pursuing roles outside their majors. This study aims to critically examine whether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functions appropriately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in the field through the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The goal is to provide insights to instructor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creating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by revealing required improvement for effectively operating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S Group's PBL-based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such interviews, problems of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identified. Firstly, the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out the PBL-based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encompassing the periods before, during, and after cla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Secondly, such experiences of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utilized to define problems including ‘lack of PBL understanding’, ‘control of problem difficulty’, ‘difficulty in constructivist classes’, ‘limited learning based on individual experience’, and ‘individual post-class activities’. Finally, the improvement measures to solve problems through the FGI of the working-level staff who participated in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planning process of Group S were summarized into ‘promotion plan for PBL understanding and interest’, ‘problem difficulty management plan’, ‘relieving anxiety about constructivist method’, ‘promotion strategy leading to higher experience’, and ‘post-class activation plan’. Following that, the study was finally completed after a review by an education expert.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instructors and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presents specific support measures necessary for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 This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instructors and instructional developer designing future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that consider the practical contex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sign of PBL employment education programs that empower individuals to make career choices based on their own perspectives rather than external influences.|1년 이내에 회사를 그만두는 신입사원이 늘어나고 있다. 조기 퇴사의 원인 중 하나는 직무가 맞지 않기 때문인데, 이는 취업준비생들이 직무와 관련한 경험이나 확신 없이 취업을 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자신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취업은 ‘불안’하고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취업교육프로그램은 단순히 취업 그 자체만 목표가 되는 것이 아니라 취업 이후에도 지속할 수 있는 일인지에 대한 고민이 함께 이루어지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PBL(Problem-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취업교육프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PBL은 실제적인 문제를 학습자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문제중심의 학습법이다. PBL은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를 수업의 중심으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혁신적인 교육방법이라고 평가된다. 취업준비생들이 실세계의 문제해결 경험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르고, 직업 분야의 가치와 문화 등을 미리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PBL 취업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보면, PBL 효과에 대한 검증, PBL 적용 사례에 대한 연구 등이 주를 이뤘다. 이는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여준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교수자와 학습자를 동시에 본 연구는 드물어서 종합적인 처방을 하기엔 부족했다. 또한, 기존 PBL 취업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연구들은 대학 내 동일 전공 안에서 PBL을 적용하여 전공과목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사례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어서 전공과 다른 직무를 희망하는 취업준비생들의 니즈를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개선되어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밝혀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수자 및 교수설계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그룹의 PBL기반 취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수학습 경험을 심층 면담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심층면담을 통해 PBL기반 취업교육프로그램 수업 전, 중, 후 과정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통해 ‘PBL 이해 부족’, ‘문제의 난이도 조절’, ‘구성주의 수업에 대한 어려움’, ‘개인 경험 기반의 제한적 학습’, ‘개별적으로 이뤄지는 수업 후 활동’으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S그룹의 PBL 취업교육프로그램 기획 과정에 참여한 실무진FGI를 거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PBL 이해 및 관심 촉진방안’, ‘문제 난이도 관리 방안’, ‘구성주의 방식에 대한 불안 해소’, ‘상위경험으로 이끄는 촉진전략’, ‘수업 후 활동 활성화 방안’으로 정리하였다. 이후 교육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연구로서,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수자 및 교수설계자에게 실제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다. 본 연구가 타인의 시선이 아닌 자신의 관점을 바탕으로 직업을 선택을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PBL 취업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작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837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