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0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학습공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학습공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on Improvement Strategies for High School Learning Space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uthor
이재란
Advisor(s)
황희준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국내 고등학교 교육체제의 변화와 함께 도입된 고교학점제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미래형 교육환경에 대비하는 학교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학생들에게 보다 더 유연하고 맞춤형 교육 경험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그러나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서 생겨난 변화와 동시에 고등학교 교육공간은 또 다른 과제와 도전을 마주하게 되었다. 고교학점제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에 적절하게 디자인된 학습공간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고등학교 공간은 고교학점제에 적합하지 않아 새로운 요구사항에 부응하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해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기존 고등학교 학습공간의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변화의 필요성이 분명해짐에 따라 현행 교육환경의 제약을 극복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고등학교 학습공간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전의 획일적인 교육공간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선택과 집중이 있는 맞춤형 교육공간을 제공하는 것에 집중하며, 최근 고교학점제형 고등학교 계획의 변화 양상과 고교학점제 운영 고등학교의 실태를 파악한다. 또한 변화의 시작단계에서 발견된 새로운 학교 속 학습공간 계획이 실제 고교 학점제를 운영하기에 적합한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국내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고등학교 교육환경 안에서 기존의 학습공간이 직면하는 문제와 앞으로의 변화, 그리고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과 체계적인 운영을 위해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고교 학점제 관련 안내서를 기반으로 교육부가 추구하는 학습공간의 방향성 분석을 통해 세 가지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나아가 객관적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각각의 요구사항과 관련된 근거 자료들을 발췌하였다. 셋째, 고교학점제 교육환경을 적용한 최근 고등학교 현상 설계공모 당선작 세 개를 선정하여 세 가지 요구사항을 현상설계에 담아내고 있는지 각 대상의 지침서, 스페이스 프로그램, 설계안을 요구사항 및 근거 자료에 대조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공간에 대해 시도된 디자인의 변화 양상과 한계를 파악하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고교학점제를 운영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 결과에 대한 충분한 검증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현장에서의 경험 속에서 나타나는 실제적인 문제점 또는 가능성 있는 해결책에 대한 심층적인 통찰을 얻고자 하였다. 종합 결과로서,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 학습공간의 변화는 당연히 필요하게 되었으며 비교분석 결과와 교사 인터뷰의 대부분이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고교학점제형 고등학교를 준비하는 과정으로써 학습공간의 변화와 계획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들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학습공간에 대한 새로운 요구사항과 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고등학교 교육제도 및 교육환경의 질적 향상과 학생들의 효과적인 학습을 증진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Spontaneously introduced with rapid evolving changes of domestic high school educati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quires a new paradigm and needs school space which prepar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future, and it wants to improve their learning motivation by presenting students with more flexible and tailored opportunities for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However, sin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been introduced, the educational space of high school faces other challenges and obstacles. In order to opera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learning space that is properly designed to match requirements of the system should be needed, but current high school places cannot meet the requirements and it is becoming difficult for the spots to conform to the new expectations, and even various problems are emer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and profound response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recognized clear needs of change, this study aims to provide specific improvements for the school space in order to resolve the limitations of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s by examining problems of current learning space and requirement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focuses on providing customized learning environments in which there is learner-centered choice and concentration, breaking away from conventional and uniform education spaces instead. It identifies the changing high school plans based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s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new learning space in a school found in the beginning stage of the changing process is suitable for its practical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what effect the system ha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proceeds as follows. First, through a theoretical examination on the changes in domestic high school curriculum 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suggests limitations of current learning space that existing high school learning space has, anticipated changes in the future, and necessity of improvements. Second, based on guidelines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vides in order to introduce and operate the well-organized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deduces three requirements by analyzing directional focuses of learning space pur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tracts relevant supporting evidence for each requirement in order to conduct objective analysis. Third, selecting three winning entries from recent high school design competitions that appli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to learning space, this study conducts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three entities and the provided guidelines by identifying whether the three requirements are well realized with each design, based on the guidelines, space program, and design plan of each targeted subject.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examines patterns of design changes and limitations, which have been attempted into the learning spaces, and then it derives problems and improvements. Fourth,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is study adds sufficient verification on the analysis results by surveying teachers working in a high school,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tually. According to this process, this study aims to find in-depth inspiration on the practical problems and resolution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s that after introdu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t is inevitable to change the learning space and most results of the comparison analysis and teacher interviews are significantly confirmed. However, this study observes remaining deficiencies in the changing and planning process for the learning space as a part of the preparation phas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requirements and problems systematically on the learning space in a high school, introduc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presenting more realistic and practical improvements on them, this study contributes to qualitative improvements for the educational system and environments in domestic high school and this study could enhance the efficient learning process for studen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3711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