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 0

아파트 주민의 친환경 인증 요소에 대한 만족도 연구

Title
아파트 주민의 친환경 인증 요소에 대한 만족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Certification Elements of Apartment Residents
Author
김인한
Alternative Author(s)
Kim, Inhan
Advisor(s)
정재원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urbanization progresses, buildings and populations are concentrated in cities, leading to increased energy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dditionally, various service industries are also increasing, leading to increased energy use in buildings. If citizens prefer eco-friendly apartments, they should evaluate how satisfied they are with the eco-friendly elements they actually experience in the apartments they live in and reflect this in the policy.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satisfaction with energy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of apartment residents using a verified measurement tool and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a measurement tool presented by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2016).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argeting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Hypothesis 1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1 ‘Satisfaction with land use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2 ‘Transportation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3, ‘Energy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4 ‘Satisfaction with materials and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5,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6,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ccepted. Hypothesis 1-7, ‘Satisfaction with maintenance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8, ‘Satisfac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9, ‘Satisfaction with indoor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argeting regular apartment residents, Hypothesis 1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1 ‘Satisfaction with land use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2 ‘Transportation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3 ‘Energy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4 ‘Satisfaction with materials and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5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1-6,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7, ‘Satisfaction with maintenance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8, ‘Satisfac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1-9, ‘Satisfaction with indoor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argeting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Hypothesis 2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2-1 ‘Satisfaction with the land use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was rejected. Hypothesis 2-2 ‘Transportation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3 ‘Energy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2-4 ‘Satisfaction with materials and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5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6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7 ‘Maintenance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2-8 ‘Satisfac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was partly adopted. Hypothesis 2-9 ‘Indoor environment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partly adopted. Fourth, as a result of verification targeting general apartment residents, Hypothesis 2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was rejected. Hypothesis 2-1 ‘Satisfaction with the land use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was rejected. Hypothesis 2-2 ‘Transportation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3 ‘Energy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4 ‘Satisfaction with materials and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5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6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7 ‘Maintenance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Hypothesis 2-8 ‘Satisfac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will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was rejected. Hypothesis 2-9 ‘Indoor environment satisfaction will vary depending on apartment characteristics’ was rejected. Fifth, Hypothesis 3 ‘Satisfaction with the living environment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partly accepted. Hypothesis 3-1 ‘Satisfaction with land use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rejected. Hypothesis 3-2 ‘Transportation satisfaction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3 ‘Energy satisfaction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4 ‘Satisfaction with materials and resources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5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6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7 ‘Satisfaction with maintenance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8 ‘Satisfac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Hypothesis 3-9 ‘Satisfaction with indoor environment of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will be different’ was accept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results of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are as follows. First, energy and ecological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nd residence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an reside steadi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it can be fully felt only after long-term residence. Second, occupation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which indicates that the intention to migrate and preferred residential area may vary depending on occupation. Third, satisfaction with maintena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ownership. Since apartments are apartments, maintenance must be done to ensure residential safety and to avoid inconveniences in living. Fourth, satisfaction with the indoor environment varied depending on the year the apartment was built. This indicates that ventilation performance, sound insulation of boundary walls between households, traffic noise, etc. may vary as the building ag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results for general apartment residen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s did residents of eco-friendly apartments. However, men living in eco-friendly apartments were more satisfied than women, but women were more satisfied than men living in regular apartments. Second,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mainten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which indicates that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age by accepting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facility maintenance differently. Lastly, since housing value is a value system that affects housing choice through tangible or intangible characteristics surrounding eco-friendly apartments, policies should be sought so that even ordinary apartment residents can recognize these housing values. Lastly,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urbanization progresses and the number of apartments continues to increase, the gap in energy efficiency between eco-friendly apartments and regular apartments inevitably widens, so policies that guarantee life and protect the environment are needed. Second, since residents of eco-friendly apartments have different levels of satisfaction with energy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depending on their gender, eco-friendly awareness and eco-friendly elements should be spread by promoting or appealing to men and their families. Third, since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satisfaction with water resources and the ecological environment varies depending on their occupation, design and promotion should be designed to reflect the lifestyle or preferred characteristics of each occupation. Fourth, unlike residents of eco-friendly apartments, residents of regular apartments, women are more satisfied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so environmental factors to which women can respond sensitively should be emphasized and strengthened. Fifth, since general apartment residents are satisfied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intenanc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age, policies or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that can be recognized and accepted differently depending on age. Sixth, since residents of eco-friendly apartm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ransportation, energy, materials and resources, and water resources than residents of regular apartments, the neighborhood effect spreads to other apartments by first converting apartments near eco-friendly apartments so that regular apartments can be converted to eco-friendly apartments. should be promoted. Seventh, local governments must enact ordinances to provide a basis for support and develop a model for joint budget support with the government. Eighth, since both eco-friendly apartment residents and regular apartment residents need to save energy and receive its benefits, certification items should be supplemented with elements that they can feel. Ninth, eco-friendly apartments are very important in responding to the environmental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furthermore, for apartment residents whose burden is increasing due to rising energy prices. Therefore, certification evaluation is not a criterion for dividing eco-friendly certified apartments from non-certified apartments, but rather looks for eco-friendly elements or does not.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task of finding and supplementing missing elements.|도시화가 진전하면서 건물과 인구가 도시에 집중하게 되어 에너지 사용량이 증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고, 각종 서비스업도 증가하여 건물 에너지 사용량도 늘어나고 있다. 더욱이 도시화가 진전하면서 각종 서비스업이 증가하게 되어 건물 부문의 에너지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가정과 상업이 총에너지 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도시화와 서비스업 증가로 건물 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서 건물 부문의 에너지 절감은 더욱 중요해지면서 친환경 아파트를 건립하였고, 이를 선호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에서 친환경 인증아파트에 입주하는 사람들도 증가하였고, 인증아파트는 아니더라도 에너지 사용료나 폐기물 처리를 친환경으로 하는 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이 친환경 요소, 특히 주거환경에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연구하여야 할 필요가 생기게 되어 이를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친환경 아파트 연구는 주거 가치와 거주 의향의 관계, 인증기준, 거주자 만족도 등을 다루었는데, 특히 거주자 만족도 연구는 검증되지 않은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것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이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게 하므로 검증된 측정 도구로써 다시 실증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검증된 측정 도구로 아파트 주민의 친환경 인증 요소에 대한 만족도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2016)에서 제시한 측정 도구로 주거환경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가설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토지이용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교통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재료와 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5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수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6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7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지 관리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8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생태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9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실내 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둘째, 일반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가설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토지이용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교통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에너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재료와 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5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수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1-6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7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유지 관리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8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생태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1-9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실내 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셋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가설 2 ‘아파트 특성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2-1 ‘아파트 특성에 따라 토지이용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2 ‘아파트 특성에 따라 교통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3 ‘아파트 특성에 따라 에너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2-4 ‘아파트 특성에 따라 재료와 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5 ‘아파트 특성에 따라 수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6 ‘아파트 특성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7 ‘아파트 특성에 따라 유지 관리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2-8 ‘아파트 특성에 따라 생태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2-9 ‘아파트 특성에 따라 실내 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넷째, 일반 아파트 거주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가설 2 ‘아파트 특성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1 ‘아파트 특성에 따라 토지이용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2 ‘아파트 특성에 따라 교통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3 ‘아파트 특성에 따라 에너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4 ‘아파트 특성에 따라 재료와 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5 ‘아파트 특성에 따라 수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6 ‘아파트 특성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7 ‘아파트 특성에 따라 유지 관리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8 ‘아파트 특성에 따라 생태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2-9 ‘아파트 특성에 따라 실내 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다섯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와 일반 아파트 거주자를 비교한 결과, 가설 3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부분 채택하였다. 가설 3-1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토지이용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기각하였다. 가설 3-2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교통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3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에너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4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재료와 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5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수자원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6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7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유지 관리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8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생태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가설 3-9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 특성에 따라 실내 환경 만족도는 다를 것이다’는 채택하였다. 아파트 주민의 친환경 인증 요소에 대한 만족도 결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와 생태환경은 성별과 거주 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오래 거주하여야 충분히 느낄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야 함을 나타낸다. 둘째, 직업은 수자원과 생태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것은 직업에 따라 이주 의사가 달라지고 선호 주거지역도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유지 관리는 소유 형태에 따라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아파트는 공동주택이므로 유지 관리로 거주 안전을 확보하고, 생활하기 불편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넷째, 실내 환경은 아파트 건립 연도에 따라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것은 환기 성능, 세대 간 경계벽의 차음, 교통 소음 등이 건물 연한이 쌓여가면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일반 아파트 거주자의 친환경 인증 요소에 대한 만족도 결과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환경 만족도는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와 마찬가지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만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만족하였지만, 일반 아파트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만족하였다. 둘째, 환경오염 방지와 유지 관리는 나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나이에 따라 환경오염 방지와 시설물 유지 관리를 달리 받아들임으로써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주거 가치는 친환경 아파트를 둘러싸고 있는 유형이거나 무형인 특성으로 주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체계이므로 일반 아파트 거주자도 이러한 주거 가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책을 모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화가 진전하면서 아파트가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친환경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의 에너지효율 격차도 벌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삶을 보장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는 성별에 따라 에너지와 생태환경을 만족하는 정도가 다르므로 남성이나 가족에게 홍보하거나 호소하여 친환경 의식, 친환경 요소 등이 확산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는 직업에 따라서 수자원과 생태환경 만족도가 달라지므로 직업별로 라이프 스타일이나 선호하는 특성을 반영하는 설계, 홍보 등을 하여야 한다. 넷째, 일반 아파트 거주자는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와 달리 여성이 생태환경에 더 많이 만족하므로 여성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환경요소를 강조하고 강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일반 아파트 거주자는 나이에 따라 환경오염과 유지 관리를 다르게 만족하므로 나이에 따라 달리 인식하고 수긍할 수 있는 정책이나 보상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여섯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는 교통, 에너지, 재료와 자원, 수자원 등에 일반 아파트 거주자보다 더 많이 만족하였으므로 일반 아파트가 친환경 아파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친환경 아파트 근처에 있는 아파트부터 전환하여 다른 아파트로 확산하는 이웃 효과를 촉진하여야 한다. 일곱째, 지방자치단체는 조례를 제정하여 지원 근거를 마련하고 정부와 공동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모델을 개발하여야 한다. 여덟째, 친환경 아파트 거주자와 일반 아파트 거주자 모두 에너지를 절감하고 그 혜택을 받아야 하므로 이들이 체감할 수 있는 요소로 인증항목을 보완하여야 한다. 아홉째, 친환경 아파트는 기후변화로 생기는 환경 위기에 대응하고, 더 나아가 에너지 가격 인상으로 부담이 늘어나는 아파트 거주자에게 매우 중요하므로 인증평가를 친환경 인증아파트와 비인증 아파트를 나누는 기준이 아닌 친환경 요소를 찾거나 그렇지 않은 요소를 찾아 보완하는 작업으로 인식하게끔 하여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13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20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