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 0

응급구조사의 보수교육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Title
응급구조사의 보수교육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Indicator for Continuing Educ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uthor
강민성
Advisor(s)
김인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제4차 응급의료 기본계획(2023~2027)’에서는 응급구조사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응급구조사 보수교육 개선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응급구조사가 최상의 역량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 받아야 하는 보수교육의 적정 기간과 교육 이수 시간, 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운영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지에 대해서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선행 연구에서는 교육에 대한 자세한 피드백과 지속적인 품질 향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은 갖춰져야 한다고 밝혔으며, 이를 위해 합리적인 성과 측정 지표가 개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현재 응급구조사 보수교육과 관련된 상당수의 연구는 만족도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성과에 대한 측정까지 포함한 구조화된 설문 지표는 개발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구조사 보수교육의 만족도, 새로운 지식 및 기술의 습득 여부, 실무의 적용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 있는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Kirkpatrick Model의 반응, 학습, 행동, 결과라는 4가지 주요 개념을 활용하여 예비 평가 지표를 구성하고, 응급구조사의 초점 집단 토의를 통한 문항의 추가, 수정, 보완 등의 과정을 거쳐 평가 지표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평가 지표 문항의 적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8인의 전문가와 3차례의 전문가 평정을 진행하여 문항을 확정하였다. 응급구조사 보수교육 경험이 있는 경력 1년 이상의 응급구조사 15명을 대상으로 확정된 문항의 예비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결과를 토대로 문항의 문구 수정이 이루어진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총 335명의 응답자를 확보하였고, 본 조사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확정된 응급구조사 보수교육 평가 지표를 적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610명의 응답자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중 교육 이수 기간이 3개월 이상 지난 대상자 227명을 대상으로 보수교육의 효과성까지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구조사 보수교육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는 평가지표 개발 절차를 거쳐 6개의 요인 28개 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각 요인 명은 ‘프로그램 교육평가’, ‘프로그램 운영관리’, ‘프로그램 향후 기획 방향’, ‘프로그램 성과평가’, ‘프로그램 업무적용’, ‘프로그램 효용성’으로 명명되었다. 2. 개발된 평가 지표를 통하여 응급구조사 보수교육이 지식과 행동, 결과로 이어졌는지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χ2/df는 2.857, CFI는 0.957, RMSEA는 0.091로 평가하기에 적절한 모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응급구조사 보수교육이 지식, 행동,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세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개발된 지표를 활용한 후속 연구가 장기적으로 진행되어 교육의 효과성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각 직군별, 직급별, 경력별 효과성 검증 결과를 분석하여 교육생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둘째, 차후에는 조직의 성과 또한 평가하여 더욱 견고한 보수교육 프로그램이 설계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평가 지표를 기반으로 교육의 변화(오프라인 교육에 대한 시설 및 비용, 교육시간 확장에 따른 평가 등)가 반영된 지표 등의 추가적인 개발을 통해 향후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들이 갖추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응급구조사의 보수교육이 보다 질 높은 교육으로 발전되어 가길 기대하며, 궁극적으로 응급구조사의 질적 향상에 보수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국민들의 건강에도 기여하길 기대하는 바이다.|The "Fourth Basic Plan for Emergency Care (2023~2027)" announced a plan to improve continuing education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 ability. However, it was not clear how often education should be received, how much time each education session required, and how to effectively run the education program. Previous studies have raised a need for a system that can provide continuous feedback and continuously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y also have emphasized that a reasonable tool should be developed to measure the results. Most studies on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only focused on subjects’ satisfaction, without structured questionnaires developed to include outcome measures.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that determine subjects’ satisfaction with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and skills, and practical application. As for methodology, a preliminary evaluation was designed using the four major concepts from the Kirkpatrick Model: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 A draft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developed through process of adding, modifying, and supplementing questions via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MTs. A group of experts tested the indicators for their content validity to examine the fitness of the items, and the final items were confirmed after three rounds of rating by eight experts. A preliminary study was performed with these confirmed items among 15 EMTs who had a career of one year or longer and experience with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Based on the results, the items were revised, and the main study was conducted. A total of 335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study, and their responses were put to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decide the final items. The final version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was applied in a survey with 610 respondents. 227 of them who had three months since their last education were evaluated for the effectiveness of their continuing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ment to assess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consisting of six factors and 28 items. The six factors are education and evaluation of a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 program, future direction for program planning, evaluation of program results, application of a program to work, and utility of a program. 2. Through the evaluation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in an analysis to determine whether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impacts to their knowledge, behavior, and results. The evaluation outcomes show that χ2/df, CFI, and RMSEA were 2.857, 0.957, and 0.091, respectively, confirming that it was a fit model and demonstrating that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had positive impacts on their knowledge, behavior, and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makes three suggestions. First, there should be efforts to conduct long-term follow-up studies based on the developed indicators to consistent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results of effectiveness testing by the occupational group, rank, and career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 to trainees. Secondly, the resul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should be evaluated in the future to establish a basis for designing a more robust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inally, based on these evaluation indicators, through the additional development of indicators that reflect changes in education (facilities and costs of offline education, evaluation according to extended hours of education, etc.), useful basic data for futur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should be prepared.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ope that continuing education for EMTs will be developed into higher quality education and impact positiviely on people's health through enhanced quality of EM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0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1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