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 0

미디어의 성차별적 이데올로기 재현과 여성 수용자의 감정구조 연구: 드라마 <더 글로리>와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Title
미디어의 성차별적 이데올로기 재현과 여성 수용자의 감정구조 연구: 드라마 <더 글로리>와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f gender-biased ideology in media and the stucture of feeling of female audiences : Focused on drama and
Author
무송평
Alternative Author(s)
MIAO SONGPING
Advisor(s)
류웅재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미디어는 중대한 이데올로기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드라마는 특히 일상적인 젠더적 인식을 재생산하고 널리 퍼뜨리는 데 있어 핵심적인 수단으로 작용한다. 이 연구는 <더 글로리(Netflix)>와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JTBC)>이라는 두 편의 한국 드라마를 통해 미디어가 어떻게 젠더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이에 대한 여성 시청자들의 감정적 반응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드라마가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깊이 있게 조명하고, 이에 따른 여성 시청자들의 내밀한 감정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드라마가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재현하는지, 그리고 페미니즘 이론이 여성상에 대해 어떤 해석을 제공하는지를 이론적 배경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배경을 기반으로 채트먼(Seymour Chatman)의 '서사구조' 개념을 적용하여 미디어 내 젠더적 이데올로기의 재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더 글로리>와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라는 두 드라마를 중심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미디어가 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구하였다. 또한, 여성 수용자들에게 실시한 심층 인터뷰에 레이먼드 윌리엄스(Raymond Williams)의 '감정구조'(structure of feeling)의 개념을 활용해 드라마 내용이 현실의 여성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하려 하였다. 텍스트 분석의 대상으로 <더 글로리>와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 두 편의 드라마를 선정하였다. 텍스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드라마 <더 글로리> 내에서의 여성 캐릭터는 성적 매력을 남성의 시선을 통해 정의되는 대상으로 재현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여성이 남성에 의해 구원받는 전형적인 내러티브 클리셰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은 외모를 중심으로 한 이상적 여성상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남성의 애정을 얻음으로써 여성의 가치가 확인되는 드라마적 구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미디어가 여성의 이미지를 어떻게 구성하고, 특정 젠더 역할을 강화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드라마 속에서 묘사되는 이러한 젠더적 서사와 캐릭터의 형상화는 사회적 성 차별적 관념과 편견을 반영하며, 더 나아가 이를 강화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여성 수용자들의 감정적 반응을 윌리엄스의 감정 구조 이론에 근거하여 심층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미디어가 제시하는 젠더적 이데올로기에 대해 다양한 감정 변화를 경험했으며 일상의 차별적 경험과 연결지어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미디어 콘텐츠는 여성 참여자들의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성별 기반의 사회적 편견을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본 연구는 미디어가 전달하는 젠더적 역할에 대한 여성 수용자들의 복잡한 감정 반응과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며, 미디어의 성차별적 이데올로기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는 미디어가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는 의의를 가진다.|In South Korean society, the media plays a pivotal role in propagating ideological influences, with television dramas being a primary medium for perpetuating and spreading everyday sexist perceptions. This study conducts a detailed analysis of how the media mirrors and reinforces sexist ideologies, focusing on the impact of two Korean dramas, 'The Glory' and 'My ID is Gangnam Beauty', on shaping the emotional responses of female viewers. By examining these dramas, we illuminate the significant influence they have on societal perceptions of women and strive to comprehend the nuanced emotional shifts experienced by female viewers. This study initially explores how dramas replicate social ideologies and how feminist theory interpret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serving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Building upon this framework, Seymour Chatman's concept of 'narrative structure' is employed as an analytical tool to scrutinize the perpetuation of sexist ideologies in the media. Specifically, a textual analysis of two dramas, 'The Glory' and 'My ID is Gangnam Beaut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ir influence on societal perceptions of women. Concurrently, this study engages in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audiences, guided by Raymond Williams' concept of 'structure of feeling'. This approach aims to attain a deeper insight into the real-world impact of drama content on women and its socio-cultural implications. The dramas 'The Glory' and 'My ID is Gangnam Beauty' were chosen for textual analysis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Glory' reveals a tendency to depict female characters as objects whose sexual desirability is defined through the male gaze. Similarly, 'My ID is Gangnam Beauty' presents a dramatic structure that underscores an idealized image of women, predominantly focused on physical appearance, wherein a woman’s worth is validated through male affection. These findings are pivotal in understanding how media constructs and perpetuates images of women, reinforcing specific gender roles. The gender narratives and character archetypes portrayed in these dramas not only mirror societal sexist ideas and prejudices but also risk further entrenching th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analyzes the emotional responses of female participants, drawing upon Raymond Williams' theory of emotional structure. We discovered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 spectrum of emotional shifts in reaction to the sexist ideologies portrayed by the media, often relating these responses to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everyday sexism. Notably, the media content negatively influenced th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thereby reinforcing gender-based social biases. This study uncovers the intricate emotional responses and discerning perceptions of female audiences towards the depiction of gender roles in the media. It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angible strategies for altering the media's sexist ideolog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06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906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