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 0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른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mediate Space Design of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uthor
소욱
Alternative Author(s)
SHAO YU
Advisor(s)
김경숙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4차 산업혁명의 지속적인 발전은 디지털화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시대 환경요인의 트렌드와 특징을 강조하고 있다. 온라인 상업의 부상과 소비층의 변화, 그리고 사물 인터넷, 빅 데이터, AR/VR/MR, 신소재, 3D 프린팅과 같은 기술의 발전은 오프라인 상업 공간에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복합상업시설은 도시에서 가장 상업적으로 활력 있는 건물 중 하나로 그 수량과 규모는 계속해서 늘어나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나 막대한 물리적 규모만으로는 효과적인 경쟁력이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의 호감을 얻기 위해서는 판매 공간 최적화 외에 레저·휴식 공간 제공, 차별화된 서비스 확대 등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은 한편으로는 소비과정에서 절충적인 역할을 하는 중간 구역으로,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개인과 공유를 연결하는 과도적인 공간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매개공간은 상업시설의 이미지를 확립하는 동시에 잠재적 소비자를 유치하고 보유하는 공공공간으로서 소비행위를 촉진하고 방문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4차 산업혁명 시대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고찰을 통해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기술적 요인, 문화적 요인과 생태적 요인 등 5가지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거시적 환경 변화요인을 정리하였다. 또한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에 대한 이론고찰을 통해 복합상업시설의 개념, 발전, 매개공간의 기능과 구성요소를 정리하였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거시적 환경 변화요인과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구성요소를 분석틀로 건축·실내·공간 분야 10명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Nvivo14.0을 이용하여 전문가 인터뷰 텍스트를 주제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단어 빈도를 통해 사회적 요인, 경제적 요인, 기술적 요인, 문화적 요인과 생태적 요인이 공간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키워드로 도출하였다. 사회적 요인에는 '커뮤니케이션', '안전성', '무장애', '편리성', '프라이버시', 경제적 요인에는 '다기능', '차별화', '개성화', '장식성', '다양화', 기술적 요인에는 '개성화', '장식성', '상호작용성', '디지털화', '다양화', 문화적 요인에는 '문화 혁신', '문화 전승', '문화 융합', '다원화', '독특성', 생태적 요인에는 '지속가능성', '자연적인', '친환경', '건강함', '편안함'이 포함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 거시적 환경 변화요인이 공간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를 명확히 한 후 FGI 조사를 통해 복합상업시설 영역별 매개공간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외부 레이아웃 변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공간', '개인이 혼자 있는 공간', '다양한 기능의 공간', 외부 장식 변수는 '상호작용 가능한 디지털화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복잡하고 가변성이 강한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혁신적인 전통문화 디자인 요소', '다원화된 대중문화 디자인 요소',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 '자연적인 디자인 요소'가 포함되었다. 내부 레이아웃 변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공간', '개인이 혼자 있는 공간', '다양한 기능의 공간', 내부 장식 변수는 '상호작용 가능한 디지털화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복잡하고 가변성이 강한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혁신적인 전통문화 디자인 요소', '다원화된 대중문화 디자인 요소',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 '자연적인 디자인 요소'가 포함되었다. 연결 레이아웃 변수는 '편리한 행동 경로', '안전한 노면', '무장애 시설', 연결 장식 변수는 '상호작용 가능한 디지털화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복잡하고 가변성이 강한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혁신적인 전통문화 디자인 요소', '다원화된 대중문화 디자인 요소',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 '자연적인 디자인 요소'가 포함되었다. 또한, 후속 설문조사에서 변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각 변수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온라인으로 수집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여 1차 본조사과 2차 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측정도구의 검증이 필요하므로 1차 본조사에서 Z세대 집단을 대상으로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도구를 수정하고 수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차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 본조사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태도가 행위의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구성요소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연결영역 장식 변수, 외부영역 장식 변수, 연결영역 레이아웃 변수, 내부영역 장식 변수 순으로 나타났으며, 내부영역 레이아웃 변수와 외부영역 레이아웃 변수도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변수만큼 유의하지 않다. 그러므로, 복합상업시설 매개공간 외부영역과 내부영역 장식 디자인 방향은 '상호작용 가능한 디지털화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복잡하고 가변성이 강한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혁신적인 전통문화 디자인 요소', '다원화된 대중문화 디자인 요소'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할 수 있으며, 연결영역의 장식 디자인 방향은 '상호작용 가능한 디지털화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복잡하고 가변성이 강한 장식적인 디자인 요소', '혁신적인 전통문화 디자인 요소', '다원화된 대중문화 디자인 요소',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디자인 요소', '수경, 나무 등 자연적인 디자인 요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영역 레이아웃 디자인 방향은 '편리한 행동 경로', '안전한 노면', '무장애 시설'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디자인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47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