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 0

주거환경 평가를 통한 보장성 임대주택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주거환경 평가를 통한 보장성 임대주택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Optimization Direction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through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Author
라결여
Alternative Author(s)
LUO JIERU
Advisor(s)
김경숙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productivity,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adjustment of industrial structure, large-scale urbanization movements are being developed around the world, and the population gradually moves from low-income to high-income areas, and from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o large cities with active economies, there is a distinct population agglomeration effect. Among them, China is one of the countries with the largest population size and urbanization potential, and since the reform and opening-up policy was implemented, China has gradually begun to enter the stage of rapid urbanization development as its economy has developed rapidly. People flock to economically developed large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to obtain more equitable employment opportunities, more abundant start-up opportunities, and more diverse living resources. Looking at specific population flows and inflow areas, this means that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located in Guangdong Province has already become a metropolitan area with the largest population inflow and highest population density in China. Among the many problems caused by urbanization in metropolitan areas with large population influx and high density, such as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the most acute problem is the housing problem caused by the contradiction between population and land resources. In particular, young people, who are the mainstay of the floating population, are struggling with housing problems as it is difficult to purchase their own homes due to limited income. According to data, more than 70% of young people are currently solving their housing problems by renting houses. Against this background, the Chinese government officially launched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in 2021, which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the housing problems of young people in large cities in China in the future. In addition, in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there are many problems in terms of construction of related infrastructure such as area, transportation, and leisure, housing quality, facility environment, safety issues, and space suitability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stability of rental relationship. It includes the degree of completeness of auxiliary public service facilities, the level of management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urban life happiness index. Therefore, in order to deal with the practical problems existing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nd adapt to the changing times and the increasingly important demand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 including physical and non-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that are important to consider when building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through a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focusing on young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thereby increasing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urban life happiness index. The purpose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The research method used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t a theoretical level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research, and then conducted an expert consultation meeting and survey to quantify the results. The research process was largely approached from three aspects: ‘Deriving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elements for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Implement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of government- subsidized rental housing’, and ‘Proposing optimization direction for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s a result, the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young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by planning trend showed differences in several aspects.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young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by plan type show differences in their evaluations of the importa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elements of guaranteed rental housing,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where young residents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by plan type are currently residing is evident.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so a difference in evaluation. In additi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nd the urban life happiness index was verified, and the path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spec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ll top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especially 'private residential space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in the case of the human environment aspect, al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ticular, 'location factors' were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nd the urban life happiness index, in term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variables 'private residential space environment', 'indoor public space environment', and 'residential complex environment' are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urban life happiness index. In particular, 'residential complex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ity life happiness index, while 'buildings'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ity life happiness index. In the case of environmental aspects, al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ity life happiness index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and in particular, 'location factors' were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Thir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and the urban life happiness index, it was found that residential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ity life happiness index at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show that i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environment of the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residential environment is well established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score is increased,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also increase, and It can be seen that if 'private residential space environment', 'indoor public space environment', 'residential complex environment', 'location factor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operation management factors' are well established and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valuation score is improved, the ucity life happiness index will also increase.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f residential satisfaction is improved, the city life happiness index of also improves. In this study, starting at a time when interest in housing issu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urbanization of large cities and metropolitan areas with large population influx and high densit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 can increase future residential satisfaction and city life happiness index. It suggests an optimization direction and will serve as meaningful research data in the hope of creating a more livable residential environment of government-subsidized rental housing.|사회 생산력의 발전, 과학기술의 진보와 산업구조의 조정에 따라 대규모의 도시 화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전개되고 인구가 점차 저소득 지역에서 고소득 지역으로 이동하고 중소도시에서 경제가 활발한 대도시로 유입되면서 뚜렷한 인구 집적 효과(Agglomeration Effect)가 나타나고 있다. 그중 중국은 가장 인구 규모와 도시화 잠재력을 가진국가 중 하나로서 개혁 개방 정책이 시행된 이래 경제가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점차 도시화 고속 발전 단계에 진입하기 시작하였다. 사람들은 더욱 공평한 취업 기회, 더욱 풍부한 창업 기회와 더욱 다양한 생활 자원을 얻기 위하여 경제가 발달한 대도시 및 광역 도 시권으로 집결한다. 구체적인 인구 흐름과 유입 지역을 살펴보면, 광동성에 위치한 주장 삼각주 지역(Pearl River Delta region)이 이미 중국에서 인구 유입량이 가장 크고 인구 밀도가 가장 큰 광역 도시권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도시화에 따른 인구의 이동과 집결은 주강 삼가주 지역 같은 인구 유입량이 크고 밀도가 높은 대도시와 광역 도시권의 도시화로 인한 많은 문제 중 가장 첨예한 문제는 인구와 토지 자원의 모순으로 인한 주거 문제이다. 특히 유동인구의 주축인 청년층은 한 정된 소득으로 인해 내 집 마련이 어려워지면서 주거문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 며, 데이터에 따르면 현재 청년층의 70% 이상이 임대주택 방식으로 주거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하에 중국 정부는 2021년 보장성 임대주택을 정식으로 출 범시켰으며 이는 향후 중국 대도시 청년층의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보장성 임대주택 건설에서 지역, 교통, 생활 레저 등 관련 인프라의 건설 문제와 주택의 질, 시설 환경 및 안전 문제 등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가 존재하고 있으며 보장성 임대주택의 공간 적합도, 임대 관계의 안정 성, 부대 공공 서비스 시설의 완비 정도, 소재 지역사회의 관리 서비스 수준의 전 체적인 주거환경 등이 포함되며 이는 거주자의 주거 만족도와 도시 생활의 행복감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보장성 임대주택 건설 과정에서 존재하는 현실적인 문제와 시대 변화에 따라 점차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개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거주자를 중심으로 물리적 환경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를 포함하는 전체적인 주거환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보장성 임대주택의 청년 거주자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평가를 통해 보장성 임대주택의 주거환경을 구축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주거환경 요소를 파악하여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와 도시생활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정량적 연구방법과 정성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국내외 문헌조사 를 바탕으로 이론적 차원에서 제반 현황을 파악한 후 결과를 수량화하기 위하여 전문가 자문회의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체계는 크게 ‘보장성 임 대주택 주거환경 평가 요소 도출’,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평가 시행’과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개선 방향 제시’ 세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그 결과 계획 유행별 보장성 임대주택 청년 거주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주거 특성은 몇 가지 측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동시에 계획 유형별 보장성 임대주 택의 청년 거주자가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요소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 차이 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계획 유형별 보장성 임대주택의 청년 거주자가 현재 거주하고 있는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현황에 대한 평가 차이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및 주거만족도와 도시생활 행복지수와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경로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과 주거만족도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며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의 물리적 환경의 경우 모두 상위요인이 주거만족도에 통계 적 유의 수준 하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개인 주거 공간 환경’은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인문적 환경의 경우 모두 변수가 주거만족도에 통계적 유의 수준 하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특히 ‘입지 요인’은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과 도시생활 행복지수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며 물리적 환경의 경우 ‘개인 주거 공간 환경’, ‘실내 공공공간 환경’, ‘주거 단지 환경’변수는 도시생활 행복지수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주거 단지 환경’은 도시생활 행복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건축물’은 도시생활 행복지수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문적 환경의 경우 모두 변수가 도시생활 행복지수 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특히 ‘입지 요인’은 주거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주거만족도과 도시생활 행복지수 간의 영향 관 계를 살펴보며 주거만족도가 도시생활 행복지수에 통계적 유의 수준 하에서 유의 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로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의 물리적 환경과 인문적 환경을 잘 구축하고 주거환경 평가 점수를 높여주면 주거만족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개인 주거 공간 환경’, ‘실내 공공공간 환경’, ‘주거 단지 환경’, ‘입지 요인’, ‘사회·심리적 요인’, ‘경제적 요인’, ‘운영관리 요인’을 잘 구축하고 주거환 경 평가 점수를 향상해주면 도시생활 행복지수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주거만족도를 향상해주면 도시생활 행복지수 역시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 유입량이 크고 밀도가 높은 대도시와 광역 도시권의 도시 화로 인한 주거 문제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고조되고 있는 현시점에 출발하 여 미래 주거 만족도와 도시 생활 행복 지수를 높일 수 있는 보장성 임대주택 주 거환경의 최적화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더욱 살기 좋은 보장성 임대주택 주거환경 을 조성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이를 위한 의미 있는 연구자료가 될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5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