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0

서울시 생활물류 출발지 및 도착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시 생활물류 출발지 및 도착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Consumer Logistics in Seoul, Korea
Author
박은총
Alternative Author(s)
PARK EUNCHONG
Advisor(s)
이수기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A Study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Consumer Logistics in Seoul, Korea Park, Eunchong Dept. of Urban Plann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demand for delivery in cities continues to increase as online consumption and delivery become routine. More than 70% of the total logistic volume i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emand for logistics has increased more rapidly since COVID-19. Logistics facilities are becoming larger to handle the rapid increase in logistics, and logistics sprawl is occurring, with logistics moving to the outskirts of cities due to regulatory and cost issues. The location of logistics facilities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makes it hard to quickly respond to logistics demands within the city. Also, the distance and time are increasing, causing external effec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traffic safety, and carbon emissions. Micro fulfillment centers have emerged to manage increasing logistics. Small logistics centers are near consumers in the city and provide quick response. However, since there is no regulation regarding it, indiscriminate infiltration into residential area occured . However, in terms of urban planning, research on these customer logistics activities and customer logistics facilities are lack.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stomer logistics in Seoul and analyze urban environmental factors and logistics facilities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logistics. In addition, we categorize the types of newly emerging micro fulfillment centers and understand their differences from existing logistics facilities. The analysis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customer logistics in Seoul, we will obtain data on customer logistics. We visualize it to examine its spatial characteristics. Next, we classify micro fulfilment centers, analyze their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pattern, and compare with existing logistics facilities. Lastly, we analyze determining factor of customer logistics using socioeconomic factors, urban planning factors, accessibility factors and logistics facility factors. In this study, we used QGIS, ArcGIS, and Python to create variables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GeoDa and STATA 17.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micro fulfillment centers are concentrated at the urban center and a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They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logistics facilities. People do not want logistics facilities to b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there are regulations. However, we found that micro fulfillment centers were located in residential facilities. Urban planning regulations for micro fulfillment centers are necessary. Next, we found that main roads are not important for customer logistics activities. To manage the external effects caused by the increase in customer logistics, we require a transportation plan.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 urban logistics centers were divided into online platform type, sharing economy type, and dark store type. The online platform type starts with an application and has an offline store, while the sharing economy type expands delivery services to convenience stores and gas stations or shares space and uses it as a logistics center. The dark store type is a method of installing an additional logistics processing space separate from the place where goods are purchased in a large supermarket or using some of the space as a logistics center. To this end, we need to identify important roads in customer logistic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in future studies. Finally, the sharing economy type (convenience store and gas station) and dark store type of micro fulfillment centers were related to customer logistics activities. There are two options: expanding services or sharing space in facilities within existing cities. There appears to be a need to provide policy support for utilizing existing facilities instead of installing new ones.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urban logistics planning. Keywords: Customer Logistics, Logistics Facility, Micro Fulfillment Center, Location Characteristic, Logistic Volume|국문 요지 온라인 중심의 소비가 증가하고 택배가 일상화 되면서 도시에서 택배의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은 전체 물동량의 70%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COVID-19 이후 물류의 수요는 더욱 급격히 증가하였다. 급증하는 물류를 감당하기 위해 물류시설은 대형화되고 있으며, 규제와 비용적인 문제로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는 물류스프롤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물류시설이 도시 외곽이 위치하면서 도시 내 물류 수요를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용거리와 시간이 증가하여 교통혼잡, 교통안전, 탄소배출 등의 외부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기존의 물류시설로 감당이 되지 않는 물류를 처리하기 위해 도심형 물류센터가 등장하였다. 도심형 물류센터는 작은 규모로 도시 내부에서 소비자와 가까이에 위치하여 신속한 대응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물류 창고업으로 구분이 되지 않고 규제를 받지 않아, 주택으로 무분별하게 침투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도시계획 측면에서 이러한 생활물류 활동과 생활물류시설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시의 생활물류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생활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요인과 물류시설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새롭게 등장하는 도심형 물류센터의 유형을 구분하고 기존 물류시설과의 차이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시를 대상으로 생활물류에 관한 실증연구를 위해 서울시 생활물류 데이터를 구득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공간적 특성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심형 물류센터를 유형화하고 공간 분포 분석과 용도지역별 입지 패턴을 분석하여 기존 물류시설과 비교분석한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도심형 물류센터를 온라인 플랫폼형, 공유경제형, 다크스토어형으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플랫폼형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시작되어 오프라인 매장을 갖는 형태이며, 공유경제형은 편의점과 주유소에 택배서비스를 확장하거나 공간을 공유하여 물류센터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다크스토어형은 대형마트에 물품을 구매하는 장소와 분리된 물류처리하는 공간을 추가 설치하거나 일부 공간을 물류센터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한 사회경제적요인, 도시계획요인, 물류시설요인이 생활물류 출발지 물동량 백분율과 도착지 물동량 백분율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통계모형을 활용하여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QGIS, ArcGIS, Python을 활용하여 변수를 구축하였으며, GeoDa, STATA 17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심형 물류센터는 도심을 포함한 서울시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주거지역에 위치하여 기존 물류시설과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물류시설은 혐오시설로 규제로 인해 주거시설에 입지할 수 없었지만, 도심형 물류센터는 주거지역에 주로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심형 물류센터에 대한 도시계획적 규제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생활물류 활동에서 간선도로는 중요한 물류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물류가 증가로 인한 외부효과 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교통계획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생활물류의 중요도로를 식별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비즈니스적으로도 배차계획 최적화를 위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심형 물류센터의 공유경제형(편의점, 주유소)와 다크스토어형은 생활물류 활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유형은 주로 기존의 도시내에 위치한 시설에 서비스를 확장하거나 공간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물류시설을 새로 설치하기 보다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에서도 도시 내 물류센터 공간 확보를 위해 유휴부지를 확보하는 방식이 향후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물류 계획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생활물류, 물류시설, 도심형 물류센터, 입지특성, 물동량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77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