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0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조음위치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Title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조음위치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Other Titles
A phonetic study on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Korean consonants produced by Chinese advanced leaners of Korean
Author
하우
Alternative Author(s)
HE YU
Advisor(s)
조성문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북방방언권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와 서남방언권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인 모어 화자와 비교를 통해 세 집단이 치조 계열, 연구개 계열, 경구개 계열의 폐쇄음을 산출하는 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언어 습득할 때 모국어나 제1언어에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중국어에서 북방방언권과 서남방언권은 권설음(후치경 파찰음)과 평설음(치두 파찰음)의 대립에 대해 다르게 실현하고 치조음도 한국어와 명명상의 차이를 가질 뿐만 아니라 조음위치상도 일정한 차이성을 가진 것이다. 즉, 세 집단의 화자가 치경, 경구개, 연구개 구역에서 원래 가진 음소 목록이 다르다. 따라서 한국어의 비슷한 위치의 자음을 산출할 때 북방방언권 학습자와 서남방언권 학습자 한국인 모어 화자와 차이성을 가진 것을 예측할 수 있다. 본고는 방언 배경이 다른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가 산출한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의 음성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실험의 결과, 음성 변수인 성대진동시작시간, 스펙트럼 모먼트, 포먼트 전이는 조음위치에 따라 일정한 차이를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성대진동시작시간은 각 집단에서 조음방법뿐만 아니라 조음위치에 따라서도 분명한 차이가 드러난다. 스펙트럼 모먼트 중의 편도는 각 집단에서 조음위치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다. 포먼트 전이 중의 독립 변수인 F2c는 각 집단 화자가 모든 경우에서 조음위치에 따라 분명한 차이를 실현한다. 그리고 자세히 각 조음위치에 대해 집단 간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도 분석하였다. 한국인 화자와 중국인 학습자가 성대진동시간에 대해 가장 많은 차이가 나온다. 평음에 대해 한국인 화자가 중국인 학습자보다 크게 실현한 반면에 경음과 격음에 대해 중국인 학습자보다 작게 실현한다. 스펙트럼 모먼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평음과 격음의 연구개음과 경구개음, 그리고 경음의 경구개음에 많이 드러난다. 전이 시작 제2포먼트(F2c)에 대해 중국인 서남방언권 학습자가 치조와 경구개에서 한국인 화자보다 크게 실현하며 전이 시작 제3포먼트(F3c)에 대해 북방방언권 학습자가 치조와 경구개에서 한국인 화자보다 작은 값을 드러낸다. 전체적으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 화자처럼 유성음화 규칙의 적용이 잘 실현되지 않으며 서남방언권 학습자가 치조와 경구개음을 조음할 때 한국인 화자보다 앞에 조음하고 북방방언권 학습자가 경구개음을 조음할 때 한국인 화자보다 혀의 제스처가 더 융기한다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음성 특징이 다른 제1언어는 외국어 발화의 실현에도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88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