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0

이태준 소설 연구

Title
이태준 소설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ee Tae-jun’s Novels
Author
백창익
Alternative Author(s)
Baek ChangIk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이태준 소설을 주체의 ‘실패’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패’는 일차적으로 이태준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이 겪는 이상과 현실의 간극에 대한 경험을 칭하는 용어이다. 본 논문은 이처럼 이태준 소설에 드러나는 ‘실패’를 상징적 질서와 주체 간의 관계에 관한 것으로 개념화함으로써, 그 의미와 함께 이태준의 인식 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각은 이태준 문학에 나타나는 ‘실패’ 반복의 의미를 해명하며, 이태준 문학에서 단절로 평가받던 부분으로부터 오히려 일관적 흐름을 찾아낼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논의와 변별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실패’라는 주제를 통해 등단부터 해방 이후까지 이태준의 활동 전 시기를 아우르는 연구를 시도한다. Ⅱ장에서는 이태준의 등단작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의 작품을 살펴본다. Ⅱ장 1절에서는 이태준의 「오몽녀」와 「구장의 처」에 주목한다. 두 작품의 인물들은 이상적 공간인 낙원에 도달하는데, 그 의미를 인물들의 욕망이 어떻게 설정되었는지를 탐구함으로써 재고한다. 그 과정에서 기존 독법과 달리, 두 작품에서 나타나는 낙원이 인물의 욕망 ‘실패’를 함축하는 ‘봉합’된 성공의 구조라는 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두 소설이 초기소설과는 구별되는 이태준 문학의 ‘극초기 소설’임을 밝힌다. Ⅱ장 2절에서는 1929년에서 1930년대 초까지 발표된 이태준의 단편들을 다룬다. 해당 시기부터 이태준의 소설에서는 인물이 욕망하는 바를 ‘실패’하는 양상이 전면화된다. 그중 「고향」을 집중적으로 읽어보며 주인공 김윤건이 동경 유학 이후 조선으로 귀국하면서 겪는 ‘실패’의 의미를 분석한다. 김윤건은 겉으로는 사회적 현실에 저항하며 이상을 꿈꾸기 때문에 실패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회적 현실과 동일시하며 욕망을 유지하기 위해 실패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이는 김윤건의 ‘실패’가 ‘환상’의 틀 속에서 상연되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음을 알아본다. Ⅱ장 3절에서는 이태준의 장편 「제2의 운명」에 집중한다. 특히 「제2의 운명」의 주인공 윤필재의 주체성을 자세히 해석해 본다. 윤필재는 연인 심천숙과의 사랑에서 실패한다. 이는 윤필재가 보여주는 증상적인 도덕성과 관련 있는데, 그것은 윤필재의 정체성이 심천숙이라는 기준에 맞추어 이미 한 번 ‘실패’했다는 사실과 관계한다. 또한 이별 이후 윤필재는 관동의숙이라는 이상적 공간을 건설하고자 하지만 이마저도 ‘실패’한다. 여기서 윤필재는 자신의 이상이 현실에서 실현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결과로서, 소설 「제2의 운명」이 ‘실패의 실패’라는 구조를 띠고 있음을 밝히며, 이태준이 필연적인 ‘실패’를 인식하고 있음을 조명한다. Ⅲ장은 이태준 혹은 이태준의 작품이 Ⅱ장에서 살펴본 필연적인 ‘실패’에 대한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Ⅲ장 1절에서는 이태준의 대표적인 심경소설 「까마귀」와 「토끼 이야기」를 비교‧분석한다. 두 소설의 중심인물인 ‘그’와 현은 각각 폐병 여인의 죽음과 생활난이라는 ‘실패’를 해결하고자 한다. 「까마귀」의 ‘그’는 적극적으로 까마귀를 해부하려 하나 시도에 그치는 수동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토끼 이야기」의 현은 수동적이지만 아내가 해부한 토끼와 마주하면서, ‘실패’와 대면하는 적극성이 드러남을 알아본다. Ⅲ장 2절에서는 이태준의 장편 「사상의 월야」를 들여다본다. 이태준은 「사상의 월야」에서 이전 작과 달리 인물의 고아체험을 다루고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사상의 월야」가 1940년대 상황에서 이태준이 외상적 과거를 재구축하며 ‘실패’에 대처하고 있다는 입장으로 접근한다. 「사상의 월야」의 주인공 송빈은 사회에서 훌륭한 사람으로 성공하고자 하지만, 목표하는 바를 이루지 못하고 ‘실패’한다. 다만 송빈의 목표가 타자에 의한 것임을 규명할 때, 「사상의 월야」는 식민지 현실을 증상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임을 파악할 수 있다. 더불어, 이태준이 「사상의 월야」에서 ‘실패’라는 주제의식을 반복하며, ‘실패’를 수용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Ⅲ장 3절에서는 이태준의 「해방전후」를 검토한다. 「해방전후」는 1945년 8.15 해방이 가지는 의미와 가로놓고 볼 필요가 있다. 해방은 기존의 상징계가 붕괴되는 경험으로, 문인들에게 새로운 정체성 구성이라는 과제에 직면하게 했다. 「해방전후」의 주인공 현 또한 해방 이후 새로운 정체성을 정립하려 한다. 그 과정에서 현을 방해하는 인물인 김직원이 오히려 현의 정체성 성립을 매개하고 있다고 독해하고, 그 의미를 알아본다. 나아가, 이를 통해 해방 이후 이태준이 ‘실패’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이뤄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실패’라는 주제를 통해 이태준 문학 전반을 조망하고자 한다. 특히 이태준 문학의 단절 및 한계라고 지적받던 부분에서 ‘실패’라는 일관된 흐름을 발견한다. 더불어 그 양상과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실패’에 대한 이태준의 인식 변화 역시 알아본다. 궁극적으로는 연구의 결과로서, 이태준의 생애 및 문학세계가 더 잘 ‘실패’하는 과정에 있었음을 밝히며, 그러한 과정 자체가 ‘실패’가 아닌 ‘성공’일 수 있다는 관점의 전환을 이태준 연구사에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핵심어 : 이태준, 실패, 간극, 주체, 욕망, 소외, 분리, 부정의 부정, 이상, 인식의 전환|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Lee Tae-jun’s novels focusing on the ‘Failure’ of the subject. The term ‘failure’ primarily denotes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that characters in the novels of Lee Tae-jun experience. This paper seeks to explain changes in his perception of ‘failure’ as well as its meaning in his novels by conceptualizing i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ymbolic order and the subject. This perspective elucidates the meaning of repeated ‘failure’ in his literature and is discriminated from existing discussions in that it allows us to discover consistent flow from the parts considered as discontinuity in his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ntire period of his activity from his debut to the post-liberation period of Korea through the concept of ‘failure.’ Chapter II explores Lee's work from his debut to the mid-1930s. The Section 1 of Chapter II pays attention to his works, Omongnye and Wife of District Chief. The characters in these two works reach paradise as ideal space. This Section reconsiders its meaning by studying how the desire of these characters was established. In this process, it is found, unlike existing reading methods, that the paradise in both works means a structure of sutured success implying the ‘failure’ of desire in characters. This reveals that these two works are Lee’s 'very early novels' distinguished from early ones. The Section 2 of Chapter II deals with Lee’s short stori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1929 to 1930. From this period, the aspects of ‘failure’ are fully unfolde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re in characters in his novels. Focusing on the novel Hometown, it analyzes the meaning of ‘failure’ which the main character Kim Yun-geon experiences when returning home from his overseas study in Tokyo. While Kim Yun-geon looks as if he fails because he dreams of an ideal while resisting social reality, but it is actually found that he fails to identify himself with the social reality and maintains his desire. It suggests that his failure is being performed in the frame of fantasy. The Section 3 of Chapter II focuses on Lee’s full-length novel The Second Fate. Especially, it interprets the subjectivity of Yoon Pil-jae, the main character of The Second Fate in detail. Yoon Pil-jae fails in his love with his lover, Shim Cheon-sook. This result is related to the symptomatic morality that he shows,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the subjectivity of he has already failed once by the standards of Shim Cheon-suk. Furthermore, Yoon tried to build an ideal space after parting but he fails again. At this point, Yoon shows that he realized it would be impossible to actualize his ideal in real life. As a result, this Section reveals that the novel The Second Fate is a structure of ‘failure of failure’ and demonstrates that Lee Tae-jun is aware of necessary ‘failure.’ Chapter III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Lee Tae-jun or his works are seeking responses to the necessary failure dealt with in Chapter II. The Section 1 of Chapter III compares and analyzes Lee’s representative autobiographical novels Crows and Rabbit Story. The central characters of these two novels, ‘He’ and Hyeon, try to solve the ‘failure.’ The character ‘He’ in Crows shows a passive attitude who actively tries to dissect the crow as a solution to failure. In contrast, the character Hyeon in Rabbit Story is passive but notices that he actively faces ‘failure’ while watching the rabbit dissected by his wife. The Section 2 of Chapter III examines Lee’s full-length novel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In this work, he addresses the orphan experience of characters unlike previous novels. In this respect, this section approaches this novel on the assumption that Lee reconstructs his traumatic past and copes with ‘failure’ in the 1940s. The main character of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Song Bin, tried to be successful in the society but failed to achieve his goal. However, given that his goal was set by the other, it is shown that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is a novel revealing the colonial reality symptomatically. In addition, it is found in this novel that he embraces the ‘failure’ by repeating the theme of ‘failure’ in The Moonlight Night of Thought. The Section 3 of Chapter III reviews Lee's novel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is novel needs to be understood with the meaning of the 8.15 Liberation of 1945. The Liberation was like experiencing the collapse of the exiting symbolic order and forced writers to face the task of constituting new identities. The main character of Before and After Liberation, Hyeon, also tries to establish a new identity after the 8.15 Liberation of 1945. In this process, comprehending that Kim, the character interfering with Hyeon, is mediating in establishing his identity, this section seeks to find out the meaning. Moreover, it reveals that Lee Tae-jun is shifting the perception of ‘failure’ after the Liber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verall literature of Lee Tae-jun under the theme of ‘failure.’ Especially, it finds out the consistent flow of ‘failure’ in the parts of Lee's literature that have been criticized as disconnected and limited. Furthermore, it examines the shift of his perspective. As a result, this study ultimately reveals that both his lifetime and literary world were in the process of ‘faling better.’ And this study attempts to redefine the history of study on Lee Tae-jun by presenting the new perspective in which the process itself might be not ‘failure’ but ‘success.’ Keyword: Lee Tae-jun, Failure, Gap, Subject, Desire, Alienation, Separation, negation of negation, Ideal, Reversal of percep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48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90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