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0

20세기 전반기 가야금산조의 구조 연구

Title
20세기 전반기 가야금산조의 구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re of Gayageum Sanjo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uthor
정난희
Advisor(s)
임혜정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가야금산조 진양조, 중모리를 대상으로 20세기 전반기 가야금산조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구조적인 특징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진양조와 중모리의 음원을 채보하여 내드름과 종지에 기반하여 단락을 나누어 선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내드름과 종지의 패턴을 밝히고 이 시기의 산조가 지니는 보편적인 선율의 구조적인 양상을 도출해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양조의 경우 내드름은 진양조 첫 시작 부분과 각 단락의 시작 부분으로 구분해 보았는데, 먼저 진양조의 시작 부분의 내드름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그 중 하나는 진양조의 전체를 시작하는 전형적인 패턴인데 높은 음역의 e′ 중심의 선율이고, 이 내드름의 뒤에는 우조성 선율이 이어지는 특징이 있었다. 이 같은 내드름의 형태는 현재까지 연주되는 산조에서 진양조를 시작할 때 주로 사용된다. 또 다른 하나는 진양조 첫 단락 선율의 성격이 내드름에 제시되는 경우인데, 높은 음역대의 e′와 d′ 중심의 평조성 선율의 내드름이 있었다. 진양조를 구성하는 각 단락의 내드름은 새로운 단락 시작만을 제시하거나, 여기에 더불어 조, 음역대, 또는 조와 음역대를 함께 제시하는 네 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조 제시 내드름의 경우는 돌장과 평조에서는 몇몇 음원에서 공통되는 선율이 있었다. 계면조의 경우는 조의 출현음으로 선율이 구성된 내드름이 있었다. 진양조 각 단락의 종지는 종지음을 기준으로, g, a, d, e종지의 네 가지로 나타났다. 그 중 g종지가 가장 많았으며 우조, 돌장, 평조, 계면조 선율의 종지 부분에 다수 출현하였다. 둘째, 중모리의 경우는 내드름은 진양조와 마찬가지로 중모리 첫 시작 부분과 단락의 시작 부분으로 구분해 보았는데, 리듬의 형태에 따른 내드름의 유형들이 확인되었다. 이는 진양조에서 출현음 및 선율의 성격에 따라 내드름의 유형이 구분된 것과 다른 점이다. 진양조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부분의 내드름이 조를 제시하는 역할도 했는데, 중모리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부분의 내드름이 조를 제시하는 역할을 하지 않을 때도 있었다. 단락을 시작하는 내드름의 유형도 단락 시작만을 제시하거나, 여기에 더불어 조, 음역대 또는 조와 음역대를 함께 제시하는 네 가지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모리에서 각 단락의 종지는 종지음을 기준으로 g, a, d종지의 세 가지로 나타났고, 그 중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g종지였다. 그 중 d종지의 경우는 경드름과 평조간 연결의 역할을 하거나 음원의 맨 마지막에 위치한 경우는 미완의 형태로 해석되었다. a종지 역시 드물게 나타나서 중모리의 종지는 각 단락의 성격과 상관없이 주로 g종지를 사용하는 것이 당시 가야금산조의 보편적인 형태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20세기 전반기 가야금산조의 구조에 관해서 논의한 결과 우선 진양조 각 단락의 구성은 내드름, 선율 전개, 종지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각 연주자별 진양조의 내드름이 등장하는 순서는 ‘진양조 시작 내드름-음역대 변화 제시 내드름-조 제시 내드름-조·음역대 변화 제시 내드름-단락 시작 제시 내드름-음역대 변화 제시 내드름’의 순이었다. 내드름이 각 단락 선율의 성격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내드름의 순서는 곧 유성기음반 가야금 진양조 선율 구성의 순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중모리는 진양조와 마찬가지로 내드름, 선율 전개, 종지의 순으로 이루어져 있었지만 내드름의 순서는 진양조처럼 공통의 순서가 발견되지 않았다. 즉, 진양조가 출현음, 조에 따라서 각 단락 선율이 구분되는 것에 비해 중모리는 리듬과 음역의 변화로 각 단락이 구분되는 구조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20세기 전반기 가야금산조의 진양조와 중모리 각 단락 선율의 구성 원리 및 각 단락의 결합 순서 등 구조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패턴이 존재했다고 볼 수 있겠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6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9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