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 0

한·중 가릉빈가(迦陵頻伽) 기악도상 비교 연구

Title
한·중 가릉빈가(迦陵頻伽) 기악도상 비교 연구
Author
마루이
Alternative Author(s)
MA RUI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석굴의 벽화나 승탑, 석조물 등에 나타나는 고대 음악도상에는 사람의 머리에 새의 몸을 하고 악기를 연주하거나 춤을 추는 모습의 그림이 발견된다. 이러한 형상의 존재를 ‘가릉빈가(迦陵頻迦)’라고 부른다. 한국과 중국의 학계에서는 가릉빈가에 관한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가릉빈가 기악도상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고, 그 기원에 대한 논의 역시 다양한 견해 차이가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나라와 통일신라로 전파된 가릉빈가 기악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불교음악 문화의 발전 과정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가릉빈가 기악도상 속 악기, 무용, 신체 구조와 형태 배치를 비교 분석하여 통일신라와 당나라 불교음악 문화의 융합 및 발전 과정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도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계에서 논의되고 있는 가릉빈가의 4가지 기원설 검토를 통해 가릉빈가 도상의 형성과 역사적 변천을 문화적 요인을 규명한 결과, 가릉빈가 기악도상의 기원은 고대인도에서 볼 수 있는 ‘가릉빈가’와 ‘긴나라’ 도상 기원설과 밀접한 관련성이 지니고 있었다. 둘째, 고대인도에서 당나라를 거쳐 통일신라에 이르는 가릉빈가 기악 도상의 형태와 배치를 검토한 한 결과, 석굴의 벽화와 승탑 등에서 불교 기악도상은 공양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발견된 가릉빈가 기악도상의 악기와 연주 모습 및 무용 등을 살펴본 결과, 가릉빈가 기악도상에는 비파・동발・요고・각・필률・퉁소・생황・횡적, 박판류 등 9종류 악기가 나타났으며, 쌍봉사 철감선사탑과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 연곡사 동승탑에는 각각 다른 모습의 무용수가 부조되어 있어 10면의 무용 관련 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당나라의 가릉빈가 기악도상에서는 사현곡경비파・배소・생황・횡적・필률・박판・완함・훈의 8종류 악기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둔황 막고굴 159굴과 156굴에서는 4면의 무용 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통일신라와 당나라의 가릉빈가 기악도상에 나타난 악기의 특징과 무용 공연 형식 및 종류, 가릉빈가의 신체 구조를 비롯하여 기악 도상의 형태와 배치의 결과를 바탕으로 두 나라의 가릉빈가 기악도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가릉빈가 기악도상 악기는 구자기(龜茲伎)와 서량기(西凉伎)로부터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당나라의 구부악과 십부악 중 구자기와 서량기는 불교음악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 것이므로, 당시 수당(隋唐)의 불교음악에서 악기가 전승되면서 영향을 주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가릉빈가 중 무용과 관련된 도상은 도구를 활용한 춤과 도구를 활용하지 않는 춤의 두 가지로 나뉘며, 도구를 활용한 춤의 경우는 ‘동발’을 도구를 활용하는 예가 대표적이고, 이외에 요고 등도 도구로 사용되었다. 도구 활용하지 않는 춤은 장수무(長袖舞)와 도수무(徒手舞) 등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무용의 형태는 서역의 무용에서 주로 보이는 것이므로 당시 전래한 서역의 구자악무(龜玆樂舞)와 서로 어우러져 발전 발전해 간 맥락을 파악해 볼 수 있다. 기악도상의 경우는 나라별로 차이점이 나타난다. 즉 통일신라는 형태와 배치가 통일성이 있지만, 당나라는 시기별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향후 양국의 고고학 자료와 음악 도상까지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양국의 불교음악 문화 관련 연구가 더욱 체계적으로 정리될 수 있기를 바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6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9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