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0

통합교육이 중학생의 흥미도와 공감각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

Title
통합교육이 중학생의 흥미도와 공감각적 표현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est and synesthetic expression: The use of color images by popular music
Author
한숙현
Alternative Author(s)
Han sook hyun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대중음악과 색채 이미지 통합교육 을 설계하고 학습자의 수업 흥미도(Interest)와 공감각적(Synaesthetic) 변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중학교 통합예술 수업의 이론적, 실천적 지침을 제 시하여 실제 수업에 활용하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 역량을 키우도록 돕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음악·미술 통합교육의 과정을 연구·개발·실행·효과 검증의 순서대로 진행하였고, 학습자의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검증의 단계를 추가하였다. 또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 경력 10년 이상 된 교 사에게 음악과 미술 수업의 특성에 대하여 조언을 구하고 전문가에게 음악·미 술 통합교육에 대한 검증도 진행하였다. 통합교육 지도안 개발단계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포가티 (Fogarty, R.)의 통합교육과정 모형 중 공유형을 적용하였다. 실행단계에서는 인천시 미래구에 위치한 W중학교 3학년 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음악 흥미도와 공감각 표현을 사전, 사후 검사를 하였고, 음악수업 흥미도를 측정하기 위해 쇼와 톰칼라(Shaw&Tomcala, 1976)가 제작한 음악에 대한 태도 척도를 기초 로 이정민(2009), 박현진(2020), 이찬이(2019)가 재구성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또, 공감각 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설문지는 최은영(2021)이 게더타운 을 활용한 미술, 음악 통합수업 지도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공감각 측정 도구 를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적 연구를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정성적 연구로는 개인적으로 느낀 감 정과 생각들을 표현한 학습소감문과 연구자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파악이 가능 한 면담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통합교육지도안이 학생들의 음악 수업 흥미도와 공감각적 표 현능력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중음악의 보편적인 주제나 감정이 학습자의 이해를 도와 음악·미술 통합교육 학습에 몰입하도록 함은 물론 내재적 학습 동기로 작용하여 지속적인 학습 참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학습 성취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기에 연구자가 개발 한 통합교육지도안으로 수업을 한다면, 수업 흥미도와 공감각적 표현능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융·복합적인 창의적 인재로서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일조하는 사회구성원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중음악을 활용한 통합교육의 실용적 모델을 다양한 관 점에서 도출하고 특히, 현장 연구로서 수업 개선을 위한 경험적 자료 및 후속 논의를 위한 자료를 제시했다는 데 가치가 있다. 주제어: 음악·미술 통합교육, 음악학습 흥미도, 공감각 표현, 대중음악, 색채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948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