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조-
dc.contributor.author한미옥-
dc.date.accessioned2024-03-01T07:54:21Z-
dc.date.available2024-03-01T07:54:21Z-
dc.date.issued2024.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2278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874-
dc.description.abstract커뮤니티기반 관광(Community-Based Tourism: CBT)은 관광개발로 인한 커 뮤니티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반면 지역 사회의 이익은 최대화함으로써 궁극적으 로 커뮤니티의 환경적, 사회적, 문화적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관광의 한 유형 이다. 오늘날 도시 및 지역 사회는 복잡 다양한 위험과 예측이 어려워진 불확실 성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복잡계적인 위험과 변화가 상존하는 상황에서는 지 역 공동체가 얼마나 빨리 충격과 위기를 극복하고 보다 더 진화된 상태로 회복하 는가가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수준에서 논의되는 CBT와 커뮤니티 회복력이 모두 커뮤 니티의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할 때, CBT 실행이 커뮤니티 회복력 구축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국내 관광 분야에서 는 회복력 이론을 단순히 차용한 지표 개발이나 선언적 수준에서 필요성만을 강 조한 연구에 머물러 있으며, 관광목적지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회복력 이론을 접 목하고 회복력 구축과정과 영향 요인을 탐색한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 따 라서 본 연구는 회복력 관점에서 커뮤니티기반 관광 개발이 지역 공동체에서 미 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과 논의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위기에 직면한 공동체에서 지역 사회 내부의 역량 있는 리더의 등장 과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력과 지지가 CBT 형성요인이 되며, 공동체의 자기조직 화 과정과 집단효능감의 형성,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그리고 외부 인적 자원의 내부화가 CBT의 성공적 실행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 대로 성공적인 CBT 실행모델을 제안하였으며, 개인-조직-거버넌스 단위의 역량 에 있어 사회적·제도적 지원 시스템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내발적 개발 전략인 CBT가 내·외부 이해 관계자간의 상호 보완적이며 협력에 기반할 때 성공 가능함 을 주장한다. 또한 CBT 실행은 커뮤니티의 실질적인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변 화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 구성원의 심리적 관점의 회복력 구축 요인에 긍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해체기에 있는 지역 공동체 시스템을 자기조직화와 학습, 창조적 대안 창출이 요구되는 재조직기와 성장기로 나아가게 함으로써 커뮤니티 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관광 분야에서 회복력 이론에 대한 논의의 확장에 기여 하고, 커뮤니티 수준에서 관광과 커뮤니티 회복력, 그리고 지속가능성과의 관련성 을 제시하였다. 또한 CBT와 유사하게 간주되는 많은 개념들, 즉, 농촌관광, 생태 관광, (관광)커뮤니티 비즈니스, 마을기업, 마을 공동체 사업 등 주민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는 여러 내발적 개발 방식이 지역 주민과 공동체 자체의 의식을 변화시 키고 역량을 발전시켜 개인과 조직의 회복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는 논의로 확 장시켰다. 또한 그동안 주로 사회교환이론을 통해 관광 개발이 지역 사회에 미치 는 영향을 논의하였는데, CBT와 같은 주민 주도 개발 정책의 경우 회복력 이론 에 근거한 커뮤니티 회복력 수준을 통해서 관광 개발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 을 평가하거나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실무적으로는 먼저 CBT와 같은 내발적 관광 개발 정책의 유효성을 실증적으 로 확인하여 관련 정책의 타당성을 제공하였고 <성공적인 CBT 실행모델>을 제 안하여 필요 정책 및 정책 우선 순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동체 의식, 집단 효능 감, 자원에 대한 통제의식 등 커뮤니티 내부 역량을 평가하는 다양한 질적 기준 을 지역 개발 정책의 성과 평가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마 지막으로 CBT가 회복력 있는 도시 및 지역 공동체를 만드는 실천적 방안임을 확인함으로써 관광이 지역 사회에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 체 회복력을 포함한 다양한 사회문화적 측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지방 소멸 및 도시 재생의 관점에서의 관광의 사회적 역할과 기여를 제시하였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대학원-
dc.title커뮤니티기반 관광(CBT)를 통한 지역 공동체 회복력 구축과정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Process of Building Community Resilience through Community-Based Tourism : Focusing the Case of Jeongseon-gun Gohan-eup-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한미옥-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an mio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관광학과-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관광개발-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