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경영-
dc.contributor.author강혜미-
dc.date.accessioned2024-03-01T07:51:25Z-
dc.date.available2024-03-01T07:51:25Z-
dc.date.issued2024.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824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77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기초 사회기술과 관련한 COVID-19시기의 음악치료 국내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분석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15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전반적인 특성과 세부적인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국내 음악치료 연구가 사례연구로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참여자 다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이었으나 일부 연구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를 대상으로 하였고 비장애 형제나 부모를 연구에 참여시킨 경우도 있었다. 연구참여자의 발달적 특성은 주로 CARS를 통해 기술되었다. 연구의 종속변인인 기초 사회기술은 본 연구의 기준에 따라 5가지로 분류하였고 연구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경향과 사회적 의사소통에 관련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중재활동으로는 악기연주와 노래부르기의 활용도가 높았으며 악기연주 중에서도 구조화된 연주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전략으로 음악구조와 지시를 활용한 선곡과 악기 간 특성 차이를 이용한 자극 제시를 음악적 전략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전략 제공 방식은 음악적지지와 음악적 지시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비음악적 전략으로는 활동의 단계적 구성과 아동의 발달적 특성을 주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COVID-19시기부터 주요 경향으로 떠오른 기술기반중재와 부모참여중재 요소와 사회기술간의 관련성을 정밀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기초 사회기술과 음악치료 연구를 분석하여 각 요소들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충분히 확보한 뒤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새로운 경향을 반영하여 세부 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대학원-
dc.titleCOVID-19 이후 국내 음악치료 분야 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기초 사회기술 연구 동향 분석-
dc.title.alternativePost-COVID-19 Trends in Music Therapy Research : An Analysis of Basic Social Skill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강혜미-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음악치료과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MUSIC AND SCIENCE FOR CLINICAL PRACTICE(음악치료과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