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 0

고등학교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 특성 연구

Title
고등학교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ser-Completed Spaces in High Schools - Focused on the High Schools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Author
박찬우
Alternative Author(s)
PARK CHAN WOO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부는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의 요구로 학생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 혁신을 위해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고교학점제가 도입 되면 학생들은 과목을 선택하고 교실을 이동하며 수업을 듣는다. 이러한 변화 로 인해 학교에는 새로운 형태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학교 공간에도 고교학 점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교육 부와 교육청은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의 주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학교 공간 조성 지원 사업(교과교실제)’ 등 다양한 고등학교 공간 관련 정책을 펼 치며 변화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사업 추진 과정과 고교학점제 시범 운영 과정에서 여러 문제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으로, 아직까지는 학교 공간의 주요 사용자인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의 완전한 주체가 되고 있지 못 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고등학교 공간 관련 정책 중 고교학점제 기반 조성을 위해 진행되고 있는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지원 사업(교과교실제)으로 조성된 국내 고등학교의 공간 조성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고등학교 공간을 조성할 때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공간을 완성할 수 있는 방향은 무엇인지 제 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고등학교의 학습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 조 성 실태를 알아보고, 어떤 요소가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 특성과 요소가 되 고 있는지 분석하여, 향후 고등학교 공간을 조성할 때 사용자가 공간의 주체 가 되고, 공간을 효과적으로 완성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배경 및 목적, 연구 방법 및 내용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 단어가 되는 고교학점제, 고교학점제 학교 공 간 조성, 헤르만 헤르츠버거와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단행본, 보고서, 선행 연구 등 각종 자료를 활용하여 문헌 고찰을 진행하였다. 고교학 점제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고교학점제의 정의와 도입 배경 및 필요성, 도 입 절차와 도입으로 인한 효과 및 변화를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사업의 개요와 진행 단계, 공간 조성 방향과 공간 조성의 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사업의 목표는 학교 공간의 주요 사용자인 교사와 학생이 학교 공간의 주체가 되는 것으로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및 활용 원리에서 학습공간의 유연 성, 지원공간의 복합성, 공용공간의 활용성이라는 공간 조성 방향을 확인하였 다. 마지막으로 헤르만 헤르츠버거와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에 대한 문헌 고 찰을 통해 사용자가 공간의 주체가 되어 공간을 완성하는 설계 방식을 추구한 헤르만 헤르츠버거에 대해 알아보고, 헤르만 헤르츠버거가 말하는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은 무엇인지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 특 성ㆍ요소를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는 사례대상지 분석에 앞서 연구 설계를 하였다. 제2장에서 도출 한 특성과 요소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지원 사업으로 조성된 국내 고등학교의 학습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을 분석하는 질문과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연구 대상 및 연구 범위로 설정한 내용을 서술하고, 연구 범위에 따라 선정된 사례대상지의 개요, 사례대상지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공간의 목 록을 작성하였다. 연구 범위는 시간적, 지역적, 공간적으로 분류하고, 시간적 범위는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기준 및 가이드가 배포된 2021년 이후로, 지역적 범위는 시 단위의 행정 구역에서 고등학교수가 가장 많은 서울특별시 로, 공간적 범위는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지원 사업을 통해 학습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을 1곳 이상씩 모두 조성한 고등학교로 설정하였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작성한 분석 질문과 분석틀을 활용하여 연구 범위에 따라 선정된 6개 사례대상지의 학습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 분석을 진행하 였고,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공간별로 종합하여 향후 공간 조성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학습공간에서 책 상과 의자의 이동 배치, 폴딩도어를 활용한 공간 분절ㆍ조합, 교실 양 끝에 설치된 칠판, 게시판 설치 특성과 요소를 확인하였고, 효율적인 이동ㆍ조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책상 및 의자 디자인, 공간을 분절시키는 새로운 방법 개발, 다양한 행위를 수용하는 다목적 계단 활용으로 제언하였다. 지원공간에 서 공간 내 영역 선택, 책ㆍ걸상의 이동, 폴딩도어를 통한 분절, 다양한 조명 을 통한 빛의 조절 특성과 요소를 확인하였고, 공간 조성 시 기본적으로 공간 에 여러 유형의 영역을 추가하고, 개방적인 공간을 지향한다면 기존에 개방적 으로 사용되고 있던 공간 자리에 새로운 공간을 조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공 용공간에서 기능이 정의되지 않은 가구ㆍ구조물과 이동성이 있는 여러 유형의 가구 배치, 다양한 조명을 통한 빛의 조절 특성과 요소를 확인하였고, 학습 가로, 학습 광장, 중정을 형성할 때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중층 구조 요소를 추가 반영하는 것을 고려하는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를 종합ㆍ정리하였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에서 다루어야 할 점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 건축 분야의 건축가이자 교육자,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는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사용자가 완성하는 공간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학교 공간 조성 지원 사업으로 조성된 국내 고등학교의 학습공간, 지원공간, 공용공간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공간 조성 시 사용자가 공간의 주체가 되고 효과적으로 공간을 완성할 수 있는 공간 조성 방향을 제언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하지 만 본 연구는 사례대상지의 지역적 범위를 서울특별시로 제한하고, 사례대상 지의 수를 6개로 한정하였다는 점에서 전국의 고등학교 공간으로 일반화되기 에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는 사례대상지의 지역적 범위를 전국 으로 확장하고, 사례대상지의 수를 대폭 늘려 일반화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 될 필요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4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