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0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를 적용한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관한 연구

Title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를 적용한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Applying the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Author
김유진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Recently, the school-age population has continued to decrease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s a result, schools are closing and becoming neglected. This was previously more prevalent in rural areas, but the issue is now becoming more of a problem nationwide. Schools are not only form a place for education,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by forming the necessary capital for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ly, although the closed school has lost its educational function,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resource for promoting regional revitalization from a geographical and emotional perspecti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and suggest a direction for development through case analysis of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Based on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his study extracted placemaking planning elements such as ‘Enhancement of Publicness’, ‘Forming a Bond’, ‘Utilization of Resources’, ‘Convenience of Access’, and ‘Image Form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closed school, a checklist was derived that reorganized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applicable to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Through this, eight cases centered on cultural and experiential education that were opened within the past 10 years among the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created within metropolitan cit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rived ‘Enhancement of Publicness,’ ‘Forming a Bond,’ ‘Utilization of Resources,’ ‘Convenience of Access,’ and ‘Image Formation’ as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applicable to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Enhancement of publicness means providing convenience facilities that anyone can use by accommodating a wide range of needs from various stratums. Forming a bond involves creating a community space where people can interact comfortably and maintaining it over the long term. Utilization of resources seeks to maintain regional identity by preserving and utilizing the unique assets of existing regions and to improve quality by introducing new assets. Convenience of access refers to inducing easy and diverse access routes by considering all traffic environments and achieving harmony and integra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mage formation involves utilizing local storytelling elements to create a safe and comfortable environment as well as an attractive atmosphere. Second, the types of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could be largely subdivided into ‘Utilization type’, ‘Location type’, and ‘Layout type’. Given that the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is developed utilizing the existing school, the most prevalent method of utilizing closed school is the ‘Education Office's own utilization’ approach. In this method, each city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primarily connected to existing school, employs its own facilities for specific educational purposes. The location type could be divided into ‘Central type’, ‘Suburban type’, and ‘Rural type’ depending on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where the space is located. Among these, ‘Central type’ has excellent accessibility to various transportation and possesses various social capital, so convenience of access was most evident in terms of location type. The most common layout type of closed school was the ‘basic’ layout, such as ‘一-shaped’ and ‘ㄱ-shaped’. In addition, safety is considered because the location type and layout type have an impact o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land including the schoolyard, pedestrian paths, and access routes to the internal spaces’. It is essential to incorporate plans ensur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sidewalks and roads, installation of sidewalk blocks, or road maintenance’ for safety purposes. Third,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were largely being created through ‘remodeling’ and ‘new construction’. In cases where the ‘remodeling’ method was applied, a space is created that allows communication and exchang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external visitors, and programs that reflect local identity are provided. In addition, spatial composition that reflected the historical elements of existing school appeared only in cases where the ‘remodeling’ method was applied. Given that both ‘remodeling’ and ‘new construction’ methods preserve and utilize existing school, which are important resources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directly or indirectly express the preservation value of space in terms of ‘Forming a bond’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Accordingly, rather than simply organizing an exhibition space related to the historical elements of existing school, the space itself, in the non-physical aspect of placemaking, provides a variety of experiences to users through emotional connections such as ‘memories, experiences, and emotions’ related to the existing place. Fourth, the ‘Enhancement of publicness’ was most evident in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that can be applied to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In addition, to designing for safety and convenience to ensure accessibility for all, various contents and essential amenities tailored to the purpose of the space were incorporated. However, in cases where experiential programs are mainly operated, space use is limited as only a limited number of users are accommodated through reservations. In cases where a limited number of users are accommodated in consideration of user congestion, such as in an experiential spa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plan to include the functions of ‘relaxation, communication and exchange’ by opening basic amenities. Fifth, the ‘Image formation’ was found to be the least effective in the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applicable to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In most cases, various local festivals and cultural events are held to encourage the influx of not only local residents but also external visitors, and online networks such as ‘homepages, social media, and mass media’ are used as mean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promoting them. However, in terms of the spatial aspect, most cases—excluding a few—did not adopt designs that reflected symbolic elements representing the current use of the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To achieve a more dramatic and visually compelling effect in shaping the image, it is essential to reflect designs that vividly portray the current purpose or theme of the space. Accordingly, a visual effect can be created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by installing symbolic structures near the main entrance and lobby space, where the most movement and inflow of users occur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 applicable to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and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regeneration spaces utilizing closed school through case analysis focusing on cultural and experiential education within metropolitan cities. Recently, at a time the number of schools closing nationwide is increasing, closed school, like existing school, serv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nd economic revitalization. Therefore, in subsequent research, conducting surveys and interviews would yield more objective and reliable results. Through this, it is anticipated to yield meaningful research outcomes regarding the regeneration space utilizing closed school applying the planning elements of placemaking.|최근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학령인구가 계속해서 감소함에 따라 과거 농어촌지역에서 주로 대두되고 있던 폐교시설의 발생 및 방치 등이 전국적인 문제로 확산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폐교재산의 활용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유휴공간 문화재생 활성화 사업’을 추진함에 따라 지속적인 폐교시설의 활용을 장려해왔다. 학교시설은 교육의 장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에 필요한 자본을 형성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이바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폐교시설은 교육적 기능을 상실하였으나, 지리적·정서적 측면에서 학교시설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와 더불어 지역 활성화를 촉진하는 중요한 자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폐교시설을 활용한 재생공간은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인간 중심적 측면에서 지역사회의 가치와 문화를 통해 환경을 조성한다는 장소만들기 개념과 관련이 깊다. 이에 지역사회 내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공공장소 및 공간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초점을 둔 장소만들기의 개념을 폐교시설에 적용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중요한 자원으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 사례분석을 통해 폐교시설 활용 재생에 있어 장소만들기 계획요소의 차이를 분석하고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공성 제고’, ‘유대감 형성’, ‘자원의 활용’, ‘접근의 편리’, ‘이미지 형성’의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유휴공간 문화재생 활성화 사업’에서 제시한 폐교시설 활용 가이드라인에 기초하여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적용 가능한 장소만들기 계획요소의 세부 내용을 재정리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광역시 내에 조성된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 중 최근 10년 이내에 개관한 문화 및 체험교육 중심의 사례 8곳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적용 가능한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로 ‘공공성 제고’, ‘유대감 형성’, ‘자원의 활용’, ‘접근의 편리’, ‘이미지 형성’을 도출하였다. 공공성 제고는 다양한 계층의 폭넓은 요구사항을 수용함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대감 형성은 편안하게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티 장을 형성하고 이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자원의 활용은 기존의 지역이 갖는 고유자산을 보존 및 활용하여 지역 정체성을 유지하고 새로운 자산을 도입함으로써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다. 접근의 편리는 모든 교통환경을 고려하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 및 통합을 이룸으로써 쉽고 다양한 접근경로를 유도하는 것이다. 이미지 형성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의 조성과 함께 지역만이 갖는 고유의 스토리텔링 요소를 활용하여 매력적인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둘째,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의 유형은 크게 ‘활용 유형’, ‘입지 유형’, ‘배치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은 기존의 학교시설을 바탕으로 조성됨에 따라 폐교시설 활용 유형 측면에서 주로 학교시설과 연계되는 각 시도 교육청이 특정 교육을 목적으로 자체적인 활용을 이루는 ‘교육청 자체 활용’ 방식의 적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입지 유형은 공간이 위치한 지역의 입지적 특징에 따라 ‘중심지형’, ‘근교형’, ‘교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중심지형’이 다양한 교통수단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사회적 자본과 상업·서비스 시설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어 입지 유형 측면에서 접근의 편리가 가장 잘 나타났다. 폐교시설의 배치 유형은 ‘一자형’, ‘ㄱ자형’과 같이 ‘기본형’의 배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입지 유형과 배치 유형은 ‘운동장을 포함한 대지, 보행로, 내부공간으로의 진입 동선’과 같은 외부환경 측면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도보와 자전거, 차량 등 다양한 접근 방식을 고려할 뿐만 아니라 이동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도보와 차도의 명확한 구분, 보도블럭 설치 또는 도로 정비’ 등의 계획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은 크게 ‘리모델링’과 ‘신축’으로 조성되고 있다. ‘리모델링’의 방식이 적용된 사례의 경우, 대부분 지역사회 내 공동체 형성이 주목적으로 지역민간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지역민과 외부 방문객의 소통과 교류를 가능하도록 ‘주민자치실, 마을카페’와 같은 커뮤니티 활동 공간을 구성하며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폐교시설이 되기 이전의 기존 학교시설이 갖는 역사적 요소를 반영한 공간의 구성이 ‘리모델링’의 방식이 적용된 사례에서만 나타났다. ‘리모델링’과 ‘신축’의 방식 모두 지역사회의 중요자원인 학교시설을 보존 및 활용했다는 점에서 유대감 형성과 자원의 활용 측면에서 공간의 보존적 가치를 직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단순히 기존 학교시설이 갖는 역사적 요소와 관련된 전시공간의 구성뿐만 아니라 장소만들기의 비물리적 측면에서 공간 자체가 기존 장소에 관한 ‘기억과 경험, 감정’ 등의 정서적인 연결을 이룸으로써 이용객들에게 다양한 공간적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적용 가능한 장소만들기 계획요소에서 공공성 제고가 가장 잘 나타났다. 누구나 이용 가능하도록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한 계획과 함께 공간의 용도에 부합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기본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사례는 누구나 이용 가능한 공간이나, 체험형 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함에 따라 예약을 통해 한정된 이용객만을 수용하여 공간의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처럼 체험형 공간과 같이 이용객의 혼잡도를 고려하여 한정된 이용객을 수용하는 경우, 해당 공간을 제외한 기본 편의시설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함으로써 ‘휴식, 소통 및 교류’의 기능을 함께 포함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적용 가능한 장소만들기 계획요소에서 이미지 형성의 적용이 가장 부족하게 나타났다.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 대부분의 사례에서 지역민뿐만 아니라 외부 방문객의 유입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지역축제와 문화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정보 제공 및 홍보 수단으로서 ‘홈페이지, SNS, 대중매체’ 등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적 측면에서 일부 사례를 제외한 대부분의 사례에서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의 현재 용도를 나타내는 상징적인 요소를 반영한 디자인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미지 형성에 있어 극적인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특정 주제나 목적을 갖는 폐교시설 활용에 따른 현재 공간의 용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자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용객의 이동 및 유입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주출입구 및 로비 공간 인근에 상징성을 갖는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내·외부 공간에 시각적인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서 적용 가능한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광역시 내 문화·체험교육 중심의 사례분석을 통해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의 개선 및 발전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최근 폐교시설의 발생이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시점에서 기존 학교시설과 마찬가지로 폐교시설 또한 지역사회의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자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 장소 만들기 계획요소를 적용한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이 지역민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장소만들기 계획요소를 적용한 폐교시설 활용 재생공간에 관한 의미 있는 연구 결과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546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6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