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0

여객자동차 운전자 Wellness 기반 교통안전정책 개발

Title
여객자동차 운전자 Wellness 기반 교통안전정책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Safety Policy based on Wellness for Passenger Transport Drivers
Author
박지원
Alternative Author(s)
박지원
Advisor(s)
오철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Despite the annual implementation of government measures to reduce traffic accident fatalities in South Korea, the country consistently ranks high in terms of the number of accidents and fatalities among OECD nations. To formulate more effective traffic safety strategies,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and establish a legal framework based on systematic analysis and evaluation. In particular, there is a need for focused traffic safety measures for commercial vehicles, especially those with significant weight, size, and high passenger capacity, as they pose a higher risk and severity of accidents. Among commercial vehicles, accidents involving passenger transport such as buses and taxis are most frequent, and the number of fatalities is also substantial. Furthermore, since bus and taxi accidents occur consistently each year,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essential traffic safety management strategies specifically for buses and taxis when formulating domestic measures to reduce traffic accidents. To prevent traffic accidents, it is essential to manage the human factors, which are the primary causes of accidents. In this study, variables that can discern the underlying driver tendencies and personalities based on the human factors of bus and taxi drivers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factors influencing traffic accidents involving passenger cars. Characteristics underlying human factors were defined as the driver's wellness factors, encompassing aspects such as working environment, health, lifestyle, and the welfare system of the transportation company, all of which constitute wellness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wellness of bus and taxi drivers and establish a comprehensive traffic safety strategy based on wellnes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A statistical methodology was developed, incorporating a data mining process for passenger transport drivers' wellness and a two-step Random Forest technique for evaluating traffic safety factors. The developed approach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bus and taxi driver traffic safety, contributing to the identification of key wellness factors crucial for classifying types of passenger cars, a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Priority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were identified among the derived key factors. These prioritized factors have been selected as elements requiring immediate management to enhance driver traffic safety. Furthermore, wellness factors affecting the traffic safety level of passenger transport companies were identified, highlighting the need for managing the wellness factors of affiliated drivers to improve the overall traffic safety of compan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roposals for policies and consulting approaches to enhance traffic safety for passenger transport have been suggested. Reviewing the current regulations targeting passenger car drivers, insights into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derived from the perspectives of improving traffic safety and preventing accidents.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that quantifies the impact of wellness characteristics on traffic accidents, keywords and directions for policy development were suggested, and priorities were established. Additionally, consulting approaches for managing driver wellness were proposed, emphasizing the need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health, welfare, and educational systems of passenger transport drivers to enhance traffic safety. This research is noteworthy for presenting the procedures for processing wellness data of passenger transport drivers and proposing a methodology for traffic safety analysis. Emphasis is placed on addressing the challenges in predicting human factors among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and suggesting quantitative analytical approaches for traffic safety. Moreov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earch can be utilized to identify intrinsic factors influencing the driving behavior and traffic safety of passenger transport drivers, seeking legislative solutions for efficient management.|국내 교통사고 저감을 위하여 정부에서 매년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대책을 추진하여 교통수단별, 사고 다발지점별 대책 등을 수립하고 있음에도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는 OECD 국가 중 상위를 차지한다. 보다 실효성있는 교통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교통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고, 체계적인 분석 및 평가에 기반한 법제도 수립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의 중량과 크기가 크고, 승차인원이 많아 사고발생 가능성과 사고심각도가 높은 사업용자동차에 대해서는 집중적인 교통안전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사업용자동차 중 버스, 택시에 해당하는 여객자동차의 교통사고가 가장 빈번하며 사망자수 또한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버스와 택시 교통사고는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국내 교통사고 저감 대책을 수립할 시 버스 및 택시 교통안전 관리 대책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교통사고의 가장 큰 발생 원인인 인적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버스와 택시 운전자 인적요인의 기저에 있는 운전자 성향 및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변수들을 활용하여 여객자동차 교통사고 영향요인을 평가하였다. 인적요인의 기저에 있는 특성들을 운전자의 Wellness 요인으로 정의하였으며, 여객자동차 운전자의 근무환경, 건강, 생활환경, 운수업체의 복지체계 등을 Wellness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객자동차 중 버스와 택시 운전자 Wellness와 교통안전 분석 방법론을 개발하고 방법론의 적용을 통한 Wellness 특성 기반 교통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한 여객자동차 운전자 Wellness 데이터 마이닝 프로세스와 2단계의 Random Forest 기법을 활용한 교통안전 영향요인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을 버스와 택시 운전자 교통안전 분석에 적용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여객자동차 유형을 분류하는 핵심적인 Wellness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핵심요인들 중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순위를 추출하여 운전자 교통안전 증진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여객자동차 운수업체의 교통안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자 Wellness 요인을 파악하여 운수업체의 교통안전을 위하여 소속된 운전자의 Wellness 요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여객자동차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정책과 컨설팅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재 여객자동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시행 중인 관련 법령을 검토하여 교통안전 증진과 교통사고 예방의 관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Wellness 특성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분석을 통하여 정책 개발의 키워드 및 방향을 제시하고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Wellness 관리를 위한 컨설팅 방안을 제시하여 여객자동차 운전자의 업무 환경, 건강, 운수업체의 복지 및 교육제도의 개선을 통한 교통안전 증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여객자동차 운전자 Wellness 데이터 처리 절차와 교통안전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여 교통사고 발생요인 중 예측에 어려움이 있는 인적요인과 교통안전간 정량적인 분석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여객자동차 운전자의 운전행태 및 교통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인 요인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법제도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348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5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SMART CITY ENGINEERING(스마트시티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