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0

에코부머 세대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에코부머 세대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Eco-Boomer Genera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Moderated by Positive Affect
Author
이승해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자아분화가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의 긍정적 감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통계청(2022)에서 집계한 연령별 이혼 구성 비율이 전체에서 가장 많이 차지한 30세 ~ 49세(남성 47.6%, 여성 54.5%) 에 포함되며, 동시에 원가족과의 자아분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에코 부머 세대(1979~1992년생)의 기혼자 376명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척도(self – differentiation),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orea-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중 전반적 불만족 척도(General Dissatisfaction Scale; GDS), 갈등해결전략척도(ROCI-Ⅱ), 긍정적 감정 기술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및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 갈등해결전략, 긍정적 감정, 결혼만족도 모두 상호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적, 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이 각각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자아분화와 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자아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으로 조절된 부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Gottman이론을 바탕으로 한 긍정적 감정을 부부 관계의 증진으로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여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Gottman이론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주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기에 본 연구는 이러한 소수의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을 에코부머 세대 중 기혼자로 선정하여 현재 가장 높은 이혼율을 보이고 있는 세대인 동시에 사회, 경제적으로 가장 생산적인 세대라는 사회적인 중요성을 가지는 에코부머 세대의 결혼 만족도와 안정성을 위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부부관계 증진을 위해 부부 간 갈등 발생 시에는 긍정적 갈등해결 전략을 사용하고 평소에는 부부간의 긍정적 감정을 축적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검증하면서, 많은 부부 치료 모델들을 적용함에 있어서 부부 개인의 자아분화 정도에 따라 그 효과성의 차이가 클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유형화하고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다른 방향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nd, specifically,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a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marital satisfaction, with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mediating this impact. For this study 376 married individuals from the Eco Boomer generation (born 1979-1992), who were expecte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elf-differentiation from their original families and were belonging to the highest divorce rate age between 30 to 49 in Korea (Men for 47.6% and Women for 54.5%)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2,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surve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differentiation scale, the Korea-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 with a general dissatisfaction scale (GDS), a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scale (ROCI-Ⅱ), and a positive affect regula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SPSS PROCESS macro 4.1.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differentiati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positive affect,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positive and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confirme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affect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moderated by positive a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below. Firstly, the study utilized a quantitative research approach by selecting a moderate variable that can enhance marital satisfaction by improving marriage relationship through positive affect based on Gottman theory. This quantitative approach contributes to generalizing qualitative research findings, which are prevalent in studies based on the Gottman theory. Secondly, the study focused on the Eco Boomer generation, particularly married individuals, addressing the social importance of studying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in a generation characterized by high divorce rates and high societal and economic productivity. Thirdly, the study suggests that employing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during marital conflicts and accumulating positive affect between spouses are effective for enhancing marital relationships. It highlights that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couple therapy model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tailored solution based on appropriate cases which were typified as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75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5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