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 0

성인 진입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Title
성인 진입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Children in Emerging Adulthood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Attitude to Parenting and Self-Differentiation
Author
손해숙
Alternative Author(s)
SON HAESUG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 자녀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부부관계, 부모의 양육태도, 그들의 자기분화,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부부관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18세에서 25세의 남녀 성인 진입기 청년 311명을 대상으로 4개의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진입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 부모의 양육태도, 자기분화와 주관적 안녕감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가 그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 미치는 경로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분화를 같이 경유하는 경로에서는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은 부모의 양육태도라는 환경적 요인보다 그에 영향받는 자기분화의 개인 심리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가 그들의 자기분화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부모의 양육태도를 경유하는 경우 그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부모의 부부관계가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부부관계가 부정적이더라도 부모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취하면 자녀의 자기분화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이 증진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성인 진입기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기분화의 순차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자녀의 주관적 안녕감 간의 직접 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among emerging adulthood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parental attitudes, self-differenti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attitudes and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and subjective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structured self-report surveys for 311 emerging adulthood children aged 18 to 25 nationwide. Subsequently, correlation and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erging adulthood children perceiv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ir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parental attitudes, self-differenti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in the pathway where the perceived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influenced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attitude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when the pathway involved both parental attitudes and self-differentiation. This suggests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s more influenced by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than the environmental factor of parental attitudes. Third, while the perceived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self-differentiation, a significant impact was observed when mediated by parental attitudes. This implies that although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may influence parental attitudes, maintaining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even in the face of a negative marital relationship, can enhanc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ir self-differentiation. Fourth, the study confirmed the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attitudes and self-different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ing adulthood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and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were observed between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602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5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