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자훈-
dc.contributor.author서지우-
dc.date.accessioned2024-03-01T07:42:04Z-
dc.date.available2024-03-01T07:42:04Z-
dc.date.issued2024.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2795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473-
dc.description.abstractThe terms "spoon class theory" and "broken ladder of social mobility" reflect the reality of South Korea's growing social polarization and the diminishing ladder of class mobility. Amid an unstable social structure characterized by rapid increases in unemployment and housing prices, as well as the polarization between temporary and permanent employment, individuals harbor a sense of helplessness, believing that effort does not equate to success. The negative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is widespread in society not only due to socio-political instability but also because of the growing disparity between labor income and capital income, spurred by surging real estate asset values. In Korean society, real estate is a critical indicator of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rapid increase in housing prices has exacerbated the class perception gap between homeowners and non-homeowners. Particularly in the country's housing ladder structure, which progresses from monthly rent to lease and ownership, the residential instability of renters has become inevitable. This study focuses on this issue, examining how the three types of residential occupancy—rent, lease, and ownership—affect the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Furthermore, it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se effects vary according to the housing market phase and residential area.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based on the type of residential occupancy. Homeowners perceive a higher possibility of class mobility compared to those living in lease housing. Secondly, the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during stable and rising housing price periods. During the housing price increase period, both homeowners and renters were found to have a higher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compared to those living in lease housing. Thirdly, upon analyzing the effects of residential occupancy types on the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in upper, middle, and lower housing price regions, it was observed that homeowners in upper and middle regions have a higher perception of mobility than those living in Jeonse housing. In lower regions, both homeowners and monthly renters are seen to have a higher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compared to lease residents. This research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residential instability among lease residents in the progression of the housing ladder leads to a lower perception of class mobility, suggesting a need for policy efforts to provide residential stability.|‘수저계급론’, ‘무너진 계층이동사다리’ 등의 단어는 한국의 사회 적 양극화 현상과 계층 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이동 사다리가 사라지 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실업을 비롯한 급격한 집값 상승, 비정규직 과 정규직 간의 양극화 등 개인을 둘러싼 불안정한 사회 구조 속에서 노력해 도 성공할 수 없다는 무력감을 가지고 있다.계층상승가능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사회 전반에 퍼진 이유로 사회·정치적 불안정도 있지만, 부동산 자 산 가치의 급상승으로 인한 노동소득과 자본소득 간의 격차가 커지면서 계층 상승에 대한 인식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다.한국사회에서 부동산은 사회 경제적 지위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인데 주택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주택소 유자와 비소유자간의 계층인식의 차이를 불러일으켰다. 특히 월세-전세-자가 로 이어지는 우리나라 주거 사다리 구조에서 임차 거주자의 주거 불안정성이 커질 수 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이에 주목하여 월세-전세-자가 세 가지 주 거점유형태가 계층상승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차이를 살펴보고, 더 나아 가 주택시장의 시기와 거주지역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점유형태에 따라 계층상승가능성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자가 거주자는 전세 거주자보다 계층상승가능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둘째, 주택가격 변화 시기를 안정기와 상승기로 나눠 주택시장의 변화 로 인한 계층상승가능성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주택가격 상 승기에 자가 거주자와 월세 거주자의 계층상승가능성 인식이 전세 거주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상위지역, 중위지역, 하위지역으로 나눠 주 거점유형태가 계층상승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위지역 과 중위지역 자가 거주자의 계층상승가능성이 전세 거주자보다 높게 나타났 다. 하위지역에서는 자가 거주자와 월세 거주자 모두 전세 거주자보다 계층 상승가능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월세-전세-자가로 이어지는 주거 사다리 단계에서 전세 거주 자의 주거 불안정성이 계층상승가능성을 낮게 인식함을 실증하였으며, 주거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dc.title주거점유형태가 계층상승가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차이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f the Differential Effect of Housing Tenure Types on the Perceptions of Social Mobility : Focus on Residential Areas and the Periods of Housing Price Change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서지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iwoo Seo-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도시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