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0

국내 정원박람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최 효과 분석 및 만족도 개선방안 연구

Title
국내 정원박람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 개최 효과 분석 및 만족도 개선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hosting on the Satisfaction of Korean Garden Fair and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visitor satisfaction and perception at the fair-
Author
김태원
Alternative Author(s)
Kim Tai-Won
Advisor(s)
김건우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최된 국제정원박람회 개최 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각각의 정원박람회 개최 효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원박람회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태생적인 여건이나 지정연도의 차이로 인하여 균형화 되어 있지 않은 3개의 정원박람회를 현 시점에서 비교 평가하여, 시계열적으로 발전되어 온 과정을 토대로 향후의 발전 방향을 꾀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ㆍ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 고찰을 통해 메가이벤트 개최효과에 대한 부분을 정리하였다. 세부 내용으로는 경제 활성화 요인과 사회·문화적 요인, 생태ㆍ환경적 요인 등이 메가이벤트의 개최효과로 나타났고, 이는 정원박람회라는 대형 이벤트 개최를 통해 도시 이미지 개선과 경제 활성화, 지역사회 발전, 생태계 보존 등 지역사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와도 공통점을 가진다.(배정한, 1998; 심주영ㆍ조경진, 2012; 김재연, 2013; 이숙미ㆍ김인호, 2015; 채희은ㆍ이경진 2015; 정나라, 2015; 심주영,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정원박람회가 메가이벤트의 성격과 유사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국내·외로 많은 정원박람회, 가든쇼 등이 개최되고 있었으며, 공통적으로 정원이 갖는 긍정적 기능을 박람회의 주제로서 사회적 현상과 이슈에 잘 적용하고 있었다. 둘째, 만족도 분석 결과 만족도 3.5 이상의 값으로 세 대상지 모두 높게 나타났다. 특히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4.04의 만족도로 가장 높았다. 만족도 차이 분석의 결과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와 2015 서울정원박람회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만족도 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순천만정원’이 국가정원 1호로 지정되어 행사 이후에도 연간 900만 명의 관광객을 이끌어 들이는 성과와 시민참여, 생태보전 등의 가치가 부합하여 경제, 사회·문화, 환경적 활성화를 꾀하였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또한 정강환(1995)의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지역주민의 긍정적인 인식 계기가 되는 메가이벤트의 주요 편익은 준비과정에서 개발된 사회 간접 기반시설과 이벤트 관련 시설들이 이벤트가 끝난 후 지역주민들의 이용을 위해 남게 되는 것이기에 정원박람회를 통해 조성된 다양한 체험 시설들이 이벤트가 종료된 후에도 지역 시민들이 즐길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셋째, 정원박람회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인식 유형 비교의 결과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와 2015 서울정원박람회는 경제, 사회ㆍ문화ㆍ환경ㆍ생태 네 가지 요인에 모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반면, 2022 고양국제꽃박람회는 운영 측면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고양국제꽃박람회가 이미 지역적으로 브랜드가 고착된 행사이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양국제꽃박람회 운영 주체에 대한 지역적 문제가 발생한 것도 운영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사료된다. 넷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식 유형의 세부 요인 중 사회ㆍ문화적 요인의 문화행사 유치, 지역에 대한 자긍심과 애향심 향상, 자녀들의 교육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세 대상지에서 공통적으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관광을 통하여 경제적 이익을 얻는 지역주민은 관광객과 추가적인 관광성장(tourism growth)에 우호적인 태도를 나타낸다는(Madrigal, 1995: Martin,1996) 선행연구 결과와 본 연구의 결론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메가이벤트는 최소 1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해야 한다는 학자들의 의견에 부합하기 위해 정원박람회가 국제적인 메가이벤트로의 위상을 지키기 위해서는 규모 키우기, 즉, 국제적 마케팅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규모 키우기를 위한 예산 확보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정원박람회를 국제적 메가이벤트로 유지ㆍ관리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한 단체를 마련하고, 공공기관과의 소통을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과 홍보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 보다 체계적인 운영 인프라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 정원박람회의 발전적 개최를 위해서는 지역의 특색에 맞는, 그리고 잠재된 가치가 있는‘환경’,‘생태’적 정원 소재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생태적 가치를 살린 지속가능한 친환경적 관광자원 개발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최 지역만의 차별화된 정체성 확립을 위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지역 박람회의 마케팅 수단으로 적절히 활용될 때에 그 가치가 더 돋보일 것이다. 지역민과의 소통을 통해 잘 계획된 지역축제는 도시브랜드 구축과 함께 도시 경쟁력을 확보하여 지역의 이미지 쇄신과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국가적 혹은 지방단체의 협력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2023년은 위드코로나를 거쳐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이 하여 메타버스, 온택트, AI 등 4차 산업기술이 접목된 사업의 필요성이 점차 커짐으로, 이러한 변화에 맞춘 콘텐츠 발굴,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한다. 더하여, 시민이 도시 전체에서 직접 만들어가는 박람회가 되기 위한 다양한 전략 구상과 시민정원추진단이나 시민참여정원 사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다각적인 방법으로 시민참여를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미래의 정원박람회 및 정원산업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정원산업과 정원박람회가 지역민의 먹거리가 되고 자연과 상생하는 생태적 비전을 그리기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원박람회 본연의 의의 또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한 번의 방문으로 끝나는 관광지에서 더 나아가 앞으로도 계속 찾고 싶은 다채로운 매력을 가진 관광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국가와 지자체 차원에서의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attempted to fi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garden fairs by grasping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hosting international garden fairs held in Korea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each garden fair. In particular, three unbalanced garden fair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at the present point in time due to natural conditions or differences in designated years, and efforts were made to pursu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process that has been developed in a time series.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is are summarized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holding a mega event was summariz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In detail, economic revitalization factor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nd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shown to be the effects of holding mega events, which also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previous studies showing that holding a large event called a garden fair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local communities such as improving the image of the city, revitalizing the economy, developing local communities, and preserving the ecosystem.(Bae Jeong-han, 1998; Shim Joo-young and Cho Kyung-jin, 2012; Kim Jae-yeon, 2013; Lee Sook-mi and Kim In-ho, 2015; Chae Hee-eun and Lee Kyung-jin 2015; Jeong Na-ra, 2015; Shim Joo-young, 2015).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garden fair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n this study was similar to the nature of the mega event. Many garden fairs and garden shows were held at home and abroad, and the positive functions of the garden were well applied to social phenomena and issues as the theme of the fair.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atisfaction, all three target sites showed high values of satisfaction 3.5 or higher. In particular, the 2013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at 4.0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satisfaction between the 2013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 and the 2015 Seoul Garden Expo.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satisfaction,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Suncheon Bay Garden was designated as the National Garden No. 1, and the achievements that attracted 9 million tourists annually even after the event, civic participation, and ecological preservation were in line with the values of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revitalization. In addition, as shown by Jeong Kang-hwan(1995)'s study, the main benefit of the mega event, which is a positive recognition opportunity for local residents, is that the social infrastructure and event-related facilities develop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remain for local residents to use after the event, so various experience facilities created through the garden fair act as elements for local citizens to enjoy even after the event is over.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perceptions that affect satisfaction by garden fair, the 2013 Suncheon Bay International Garden Expo and the 2015 Seoul Garden Expo affected satisfaction in all four factor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nvironment·ecology.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the operational aspect of the 2022 Goyang International Flower Show did not affect satisfaction. This is judged to be a phenomenon that appeared because the Goyang International Flower Show was already a locally fixed brand event.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the occurrence of regional problems with the operating entity of the Goyang International Flower Show may have affected the operation satisfaction. Fourth, among the detailed factors of the types of perceptions that affect satisfaction, attracting cultural events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mproving pride and affection for the region, and helping children's education were analyz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in common in the three destinations. Through this, local residents who benefit from tourism show a favorable attitude toward tourists and additional tourism growth (Madrigal, 1995: Martin, 1996)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can be seen to be consistent with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fth, in order for the garden fair to maintain its status as an international mega event,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its size, or international marketing, in order to meet the opinions of scholars that the mega event should attract at least 1 million tourists. Securing the budget for this scale-up must follow.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perating infrastructure more systematically by preparing an organization that has secured expertise to maintain and manage the garden fair as an international mega event and reorganizing related systems such as support and public re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communication with public institutions. For the developmental hosting of the domestic garden fai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utiliz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garden material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have potential values to help develop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that take advantage of ecological values.In addition, its value will stand out more when it plans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to establish differentiated identities in the host area and is appropriately used as a marketing tool for local fairs. A well-planned local festival through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can affect the renewal of local image and re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ies by securing urban competitiveness along with building urban brands, so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cooperation of national or local organizations are essential. In addition, in 2023, as we enter the post-COVID-19 era through WithCorona, the need for projects that incorporate the 4th industrial technologies such as metaverse, ontact, and AI gradually increases,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discover contents and build infrastructure tailored to these chang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raw citizen participation in various ways in various areas, such as various strategic plans and civic garden promotion groups and civic participation garden projects, to become an exhibition where citizens create themselves throughout the city. Future garden fairs and garden industries should strive to draw an ecological vision in which garden industries and garden fairs become food for local people and coexist with nature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addition, efforts at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the original significance of the garden fair can be effectively conveyed, and that it can go beyond being a tourist destination that ends with one visit and become a tourist destination with a variety of attractions that they want to continue to find in the futur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427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4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