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0

해방 후 한국어에 정착된 일본한자어의 양상에 관한 연구

Title
해방 후 한국어에 정착된 일본한자어의 양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spects of Japanese Kanji Absorbed into the Korean Language Following the Liberation : Focusing on the Society Pages of the Dong-a Ilbo Published from 1955 to 2015
Author
소서현
Alternative Author(s)
So Seohyeon
Advisor(s)
이강민
Issue Date
2024. 2
Publisher
한양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최근까지 한국에서 사용되는 일본한자어의 사용 양상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6.25 전쟁의 휴전 직후인 1955년부터 2015년까지 도합 60년에 걸쳐 사용된 한자 어휘를 동아일보 사회면 기사를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여 분석했다. 데이터 구축 자료로 신문을 선택한 이유는 오랜 세월 신문이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도구로 특정 혹은 불특정 대상자에게 사회에서 발생하는 사건이나 공공의 문제 및 대중의 관심사에 대한 사실 및 해설을 영향성, 시의성, 저명성 등의 기준으로 선별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이 중 특히 사회면은 당시 사회의 가치관과 역동성 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면을 통한 일본한자어의 사용 경향 분석은 전문용어가 아닌 일상 언어의 변화 양상을 의미하고, 이는 곧 한국 사회의 언어적 주체성의 변화 양상을 반영한다 하겠다. 본 논문의 목적은 거시적 관점에서의 변화 양상을 기술하는 것이기 때문에 55년부터 15년 간격으로 기사를 샘플링 하여 코퍼스를 구축하여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해당 시기에 발간된 홀수달(1·3·5·7·9·11월) 기사 중 각각 5·15·25일의 사회면 기사 본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이러한 자료로 구축한 코퍼스를 대상으로 계량학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시기별로 의미분야별 어휘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개별단어에 초점을 맞추어 그 출처 및 유입에 집중하여 탐구하는 어지(語誌)의 연구였던 것과 달리 본 연구는 거시적이고 통시적인 관점에서 일상 어휘의 실제 사용 양상 및 유입·쇠퇴 등의 변화 양상에 집중하여 계량학적 방법론 적용 및 한국 사회 변화상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며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기술한다. 또한, 어휘변화 양상 분석을 위해 적용한 의미분야 분류와 어휘등급 분석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을 소개한다. Ⅱ장을 통해서는 구체적인 연구 절차와 방법을 소개한다. 연구자료의 수집에서부터 코퍼스 데이터 구축 및 분석의 과정을 설명하며, 세부적으로는 자료 선정과 수집, 자료의 텍스트화 및 자료화 과정, 형태소분석에 대한 구체적 사항과 함께 일본한자어 추출 및 판정기준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기술한다. Ⅲ장에서는 코퍼스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2음절 일본한자어(보통명사)의 의미분야 분석을 진행하고, 의미분류 체계를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1절, 2절, 3절에서는 2음절 일본한자어에 계량적 분석법을 적용하여 일본한자어의 변화를 살펴본 뒤 의미분류 체계에 의한 분석을 바탕으로 개별어수 1,714개에 대한 의미 분석으로 사회면 기사의 특징을 기술하고, 연도별 공통 일본한자어나 특정 시기 출현 일본한자어 등의 분석을 통해 시간 흐름에 따른 일본한자어의 역동성을 살펴본다. 4절에서는 시기별 일본한자어 의미분야의 변화 흐름을 실제 용례를 통해 자세히 고찰하고 시대상에 따른 어휘변화 양상을 파악한다. Ⅳ장에서는 어휘등급 분석을 통해 일본한자어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본다. 어휘등급을 크게 1유형(유지), 2유형(상승), 3유형(하강), 기타 유형(특정 시기의 변동)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사회변화에 따른 일본한자어 어휘의 정착, 유입 및 쇠퇴 배경을 살펴본다. Ⅴ장은 결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연구의 결과를 전체적으로 종합하고,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1. 해방 이후 동아일보 사회면에서 사용된 한자어 코퍼스를 구축하여 일상 언어에서 일본한자어의 정착, 유입 및 쇠퇴 양상을 연구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 확보 2. 계량학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합 60년 동안의 한국 사회의 어휘 사용 추세를 분석하여 일본한자어의 선별적 선택 및 배제가 역동적으로 발생하였음을 입증 3. 실제 어휘변화 양상에서 시대상에 따른 구체적인 변화 용례의 관찰 결론적으로, 일본한자어의 사용 양상의 변화는 그리 크지 않으나 세밀히 살펴본 결과 일본한자어의 정착과 유입뿐 아니라 쇠퇴 또한 역동적으로 발생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어지(語誌)에 대한 연구에서는 밝혀낼 수 없는 새로운 관찰이며, 생성과 소멸로 이루어진 진정한 변화에 대한 관찰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어휘의 유입이나 배제 등의 변화가 한국 사회의 필요와 선택에 따른 주체적인 선택이라는 분석 결과는 한국어의 생명력을 확인할 수 있는 본 논문의 주요 연구 결과라 할 수 있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Japanese Kanji absorbed into the Korean language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o the present. For the analysis, a corpus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articles from the Dong-a Ilbo’s society pages published from 1955 to 2015. Newspapers were chosen as the data source considering their longstanding role as a primary tool for societal communication. The social section, in particular, is considered to reflect the values and dynamics of the society at the time. Therefore, the analysis of Japanese Kanji usage trends through the society pages is seen as indicative of changes in everyday language, reflecting the shifts of linguistic subjectivity in Korean society. For analysis, articles were sampled at 15-year intervals from 1955. Specifically, articles published in odd-numbered months (January, March, May, July, September, and November) on the 5th, 15th, and 25th days were selected to construct a corpus. This paper is organized into five chapters. In Chapter I, the research objectives are elucidated, and a re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studies is conducted. Also, the current study’s distinctive points that it concentrates on the macroscop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of the actual patterns of everyday vocabulary usage are delineated. This is in contrast with previous research that predominantly focused on individual words, delving into their origins and influx.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n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ethodologies and an examination of societal changes in Korea. In addition, it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emantic field classification and methodologies of leveling vocabulary applied for the analysis of vocabulary change patterns. Chapter II describes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and methods.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constructing corpus, and conducting analysis is explained. Chapter III proceeds with the analysis of two-syllable Japanese Kanji extracted from the corpus data and the results, applying a semantic field classification system, are presented. Sections 1, 2, and 3 apply quantitative analysis, examining changes in two-syllable Japanese Kanji. Building on this quantitative analysis, meaning analyses of 1,714 words are presented,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ction articles. The chapter explores the dynamic changes of Japanese Kanji over tim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mmon vocabulary found across years and the new appearance of specific vocabulary during particular periods. In Section 4, the flow of changes in the semantic fields of Japanese Kanji by each period is examined. In Chapter IV, a diachronic investigation of Japanese Kanji is conducted through vocabulary level analysis. The level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ype 1 (maintained), Type 2 (increased), Type 3 (decreased), and Other Types (fluctuated in specific periods). The chapt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vocabulary settling, influx, and decline in relation to societal changes. Chapter V serves as the conclusion, presenting a comprehensive synthesis of the research results and outlin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aspects: 1. The construction of a corpus of Japanese Kanji used in the society pages of the Dong-a Ilbo, providing valuable foundational data for researching the settlement, influx, and decline patterns of Japanese Kanji in everyday language 2. The application of quantitative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vocabulary usage trends in Korean society over a span of 60 years, demonstrating dynamic inclusion and exclusion of Japanese Kanji 3. Observations of specific changes found in the usages of different periods In conclusion, while the overall changes in the usage patterns of Japanese Kanji may not be substantial, a detailed examination reveals settlement, influx, and decline of Kanji. This presents novel observations that extend beyond what can be gleaned from linguistic records (어지 or 語誌) and reveals true changes resulting from the creation and extinction. Moreover, the analysis results indicating that such changes are an outcome of Korea's societal needs and autonomous choices confirm the vitality of the Korean language, highlighting the major research finding in this paper.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72849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82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일본언어·문화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