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 0

국제형사법상 기업 처벌에 관한 연구

Title
국제형사법상 기업 처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rporate Punishment under International Criminal Law: With Focus on the Crim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CC
Author
홍지운
Alternative Author(s)
Jiun Hong
Advisor(s)
최태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rinciple of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in International criminal law has some limitations in dealing with corporate engag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In today’s corporation, which features specialization and division of labor, it is often difficult to specify who is responsible for the wrongdoing of a corporation. Moreover, in many cases, corporate culture makes it difficult for the corporation’s actions to be returned to the responsibility of a particular member of that company.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xisting principle of individual criminal responsibility cannot eradicate corporations’ engag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which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t cannot end corporate impunity. In most cases, corporations are indirectly engaged in international crimes while seeking their economic profits. Corporate involvements in international crimes can be classified as direct, beneficial, and silent complicity and are related to aiding and abetting and assisting the commission of a crime by a group of common purpose in the mode of participation of the ICC Statute. Corporate culture as well as th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surrounding companies leads to corporate engag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For this reason, the punishment of particular members of the companies itself cannot end and prevent international crimes by corporations. This is why it is necessary to hold the corporations itself criminally responsible for the crimes in addition to holding individual corporate members criminally responsible. Embracing corporate criminal responsibility into the ICC regime begins with understanding the existence of a corporation. With respect to the objective elements, corporate criminal responsibility to be included in the ICC Statute should be based on the aggregation model and organizational model as well as identification doctrine. The objective elements will have to include not only acts but also omission. With respect to subjective elements, determining corporation’s state of mind depend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corporations. If corporate policy or corporate culture most reasonably explains the corporate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it is desirable to infer the corporate’s state of mind from its policy or culture. In international criminal law, there is a debate on whether the knowledge or purpose standard is appropriate with respect to the subjective element of aiding and abetting liability. As far as corporate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is concerned, the knowledge standard is more proper because corporations are engaged in the crimes due to profit maximization not due to political or military aim. In addition to knowledge, dolus eventualis and negligence can constitute subjective element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Those additional standards can be accepted because corporate’s douls eventualis and negligence can cause more serious damage compared to those of individuals. Embracing corporate criminal responsibility within the ICC Statute may lead to problems concerning the complementarity principle under the ICC. The principle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tension between state sovereignty and the effective international criminal justice but as a compromise concept which reconciles the two values. In a state where corporate crimes are regulated only by administrative sanctions due to domestic criminal law principle, state’s administrative measures against enterprises should not be automatically interpreted as non criminal measures as such. Rather than that, a case-by-case assessment is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such measures have the nature of de facto criminal measures. In other words, depending on whether the state has imposed sufficiently severe sanctions on a corporation which participated in serious international crimes,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state is genuinely willing to investigate and prosecute them, which, in turn, could determine whether a case is inadmissible or not in the ICC.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long been witnessing serious corporate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and corporate involv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has been sophisticated and intensified.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corporate criminal responsibility within the ICC Statute to end corporate impunity. Keyword : Corporate engagement in international crimes, Modes of participation of the ICC Statute, Aiding and Abetting, Assisting the commission of a crime by a group of common purpose, Direct complicity, Beneficial complicity, Silent complicity, Corporate culture, 2014 Malabo Protocol, 2019 Draft Convention on Crimes against Humanity, Complementarity principle of the ICC.| 기존의 국제형사법에서 확고히 자리 잡은 개인의 국제형사책임 원칙은 기업의 국제범죄 가담을 처리하는 데 일정한 한계를 보인다. 업무의 전문화·분업화를 특징으로 하는 오늘날의 기업에서는 기업의 행위에 대하여 책임자를 특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또한 기업문화의 존재로 인하여 기업의 행위가 특정 기업구성원의 책임으로 환원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이러한 상황에서 ICC규정에 도입되어 있는 개인의 형사책임 원칙만으로는 국제범죄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기업들의 국제범죄 가담을 근절하기 어렵고, 그리하여 기업들이 처벌되지 않는 현상(impunity)을 종식시킬 수 없다 기업의 범죄가담 양상을 살펴보면, 경제적 이윤추구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범죄에 관여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의 국제범죄 가담형태는 직접적 가담, 수혜적 가담, 묵시적 가담 형태로 분류될 수 있고, 기업의 국제범죄 가담과 가장 관련이 있는 범죄가담형태는 방조범 또는 공동목적 집단의 범죄에 대한 방조범임을 파악할 수 있다. 기업은 기업문화와 기업을 둘러싼 사회·경제적 상황이 맞물려서 국제범죄에 가담하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이유에서 발생하는 기업의 국제범죄는 특정 개인을 처벌한다고 하여 끝나지 않는다. 따라서 기업구성원 개인의 형사책임을 묻는 것 외에 기업 자체에 형사책임을 묻는 것이 필요하다. 기업의 형사책임인정제도는 이미 많은 국가에서 입법화되어 실행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도 기업의 형사책임을 규율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최근 2014년 말라보의정서와 2019년 ’인도에 반한 죄 협약초안’에서도 기업의 형사책임 규정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기업의 형사책임 인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열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ICC체제 내로 기업의 형사책임을 받아들이는 것은 기업의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지의 판단에서부터 시작된다. 객관적 구성요건의 범위와 관련하여, ICC에 도입될 기업의 형사책임은 동일시 이론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총합이론과 조직책임 이론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업의 형사책임의 객관적 구성요건에는 작위뿐만 아니라 부작위까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주관적 구성요건과 관련하여, 기업의 내심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은 기업의 존재를 어떻게 이해하는 지에 따라 달라진다. ICC체제 내에 기업의 형사책임을 받아들임에 있어서도 기업정책 또는 기업문화가 기업의 범죄 가담을 가장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기업정책과 기업문화에 의존하여 기업의 내심상태를 추론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국제형사법 상 방조범 책임의 주관적 구성요건과 관련하여 인식기반 접근법을 따를 것인지 아니면 의욕기반 접근법을 따를 것인지에 대해 혼란이 존재한다. 그러나 정치적 또는 군사적 목적이 아닌 단순한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국제범죄에 가담하게 되는 기업의 경우, 인식기반 접근법이 더 적절할 것이다. 인식 외에 미필적 고의, 과실 기준도 기업의 형사책임의 주관적 구성요건으로서 인정될 수 있다. 기업의 미필적 고의와 과실은 개인의 경우와 비교했을 때 더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처벌의 필요성이 인정될 수 있다. ICC규정 내로 기업의 형사책임을 받아들이는 것은 ICC체제 상의 보충성원칙을 둘러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보충성원칙은 국가 주권과 국제형사정의의 실효성 확보 사이의 긴장관계가 아닌, 두 가치를 화해시키는 절충적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국내 형법 상의 한계로 인하여 기업의 범죄를 행정적 제재로 규율하는 국가의 경우, 기업에 대한 국가의 행정조치를 비형사적인 것으로 자동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그러한 행정조치가 사실상의 형사조치의 성질을 갖는지 사안별 평가가 필요하다. 즉 기업의 중대한 국제범죄에 대하여 국가가 충분히 강력한 제재를 부과하였는지에 따라 진정으로 수사하고 기소할 의사가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ICC의 재판적격성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국제범죄의 가담이 근절되지 않고, 더 교묘해지고 심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 기업구성원원이 아닌 기업에 대한 직접적인 처벌이 요구되며, 기업의 국제범죄가 처벌되지 않는 상황을 종식시키기 위하여 ICC규정 내에 기업의 형사책임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키워드: 기업의 국제범죄 가담, ICC 규정 상 범죄가담형태, 방조범 책임, 공동목적 집단의 범죄에 대한 방조범 책임, 직접적 가담, 수혜적 가담, 묵시적 가담, 기업문화, 2014년 말라보의정서, 2019년 인도에 반한 죄 협약초안, ICC의 보충성원칙.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08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5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