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손)귀령-
dc.contributor.author조기호-
dc.date.accessioned2023-09-27T02:19:32Z-
dc.date.available2023-09-27T02:19:32Z-
dc.date.issued2023.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795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돌봄로봇 수용의도에 대한 수준을 확인하고, 각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에 따라 노력기대,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을 중심으로 식사보조 로봇과 배설보조 로봇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돌봄로봇의 도입과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A공공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간호사, 간호조무사 120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27일부터 5월8일까지 서면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합기술수용모델을 바탕으로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 수용의도, 일반적 특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통해 통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6명(5%), 여자가 114 (95%)이며, 평균연령은 34.61±10.6세였다. 식사보조 평균 횟수는 4.66±4.12회였으며 식사보조시간은 회당 평균 16.27±8.93분이었다. 배설보조 횟수는 평균 횟수는 23.23±56.19회였으며 배설보조시간은 회당 평균 11.2±8.34분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대상자 중 돌봄로봇을 사용해 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명(0.8%)이었다. 2. 간호사, 간호조무사의 식사보조로봇의 수용의도 점수는 15점 만점에 9.96~10.57점이었다. 배설보조로봇의 수용의도 점수는 10.22~10.43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식사보조로봇의 종속변수 차이로는 경력(t=-2.04, p=.044)이 수용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배설보조로봇의 종속변수 차이로는 근무시간(F=5.51, p=.005)이 수용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식사보조로봇의 수용의도 관련요인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 Model Ⅰ에서는 대상자의 성별, 근무경력,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을 투입하였고, ModeⅡ는 촉진조건을 투입하였다. 식사보조로봇의 수용의도 관련요인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Model Ⅰ에서는 여성(β=.20, p<.001), 5년이상(β=.16, p=.005), 식사보조로봇 성과기대(β=.29, p<.001), 식사보조로봇 노력기대(β=.17, p=.036), 식사보조로봇 사회적 영향(β=.39, p<.001)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64%의 설명력을 보였다(F=42.54, p<.001). ModeⅡ에서는 촉진조건을 투입하였으며, 여성(β=.18, p<.001), 5년이상(β=.15, p=.007), 식사보조로봇 성과기대(β=.34, p<.001), 식사보조로봇 사회적 영향(β=.34, p<.001), 식사보조로봇 촉진조건(β=.23, p<.001)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노력기대는 유의미 하지 않게 나타났다. 설명력이 4% 증가하여 총 67%로 나타났다(F=41.69, p<.001).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식사보조로봇의 수용의도 관련요인으로는 성과기대, 사회적영향이 가장 강력한 인자였고 촉진조건, 성별, 근무경력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67%로 나타났다. 4. 배설보조로봇의 수용의도 관련요인으로는 위계적 회귀분석 Model Ⅰ에서는 대상자의 나이, 근무시간,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을 투입하였고, ModeⅡ는 촉진조건을 투입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Model Ⅰ에서는 배설보조로봇 성과기대(β=.04, p<.001), 배설보조로봇 사회적 영향(β=.42, p<.001)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72%의 설명력을 보였다(F=62.47, p<.001). ModeⅡ에서는 촉진조건을 투입하였으며, 배설보조로봇 성과기대(β=.44, p<.001), 배설보조로봇 사회적 영향(β=.38, p<.001), 배설보조로봇 촉진조건(β=.16, p=.005)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노력기대는 유의미 하지 않게 나타났다. 설명력이 총 74%로 나타났다(F=56.68, p<.001). 종합해보면, 본 연구에서 배설보조로봇의 수용의도에 가장 영향을 높게 미치는 요인은 성과기대, 사회적영향, 촉진조건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74%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봄로봇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로봇가 간호사, 간호조무사에게 유용하고 업무에 효과적인 시스템이 되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인지하여야 하며, 간호사, 간호조무사가 돌봄로봇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돌봄로봇 교육 및 실습을 통한 사회적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추후 간호사, 간호조무사가 대상자에게 적용할 식사보조로봇과 배설보조로봇의 수용의도를 규명하고자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요 개념어 식사보조로봇, 배설보조로봇,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수용의도-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공공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간호조무사의 돌봄로봇 수용의도 관련요인-
dc.title.alternativeAssociated Factors on Intention to Accept Care Robots by Nurses and Nurse's aide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Units in Public Hospital-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조기호-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임상간호대학원-
dc.sector.department노인건강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노인 및 치매 간호전공-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