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 0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건축물 옥상 녹화 생분해성 인조잔디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Title
미세플라스틱 저감을 위한 건축물 옥상 녹화 생분해성 인조잔디 개발에 관한 실험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artificial turf for building rooftop greening for micro-plastic reduction
Author
김성노
Alternative Author(s)
KIM SEONGNHO
Advisor(s)
이한승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용 인조 잔디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조 잔디 파일의 미세플라스틱의 저감을 위하여 연구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장은 기존 인조 잔디에 대한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연구의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연구의 구성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2장은 인조 잔디에 대한 구조와 사용 원재료 및 관련 요구 성능을 조사하고, 미세 플라시특에 대한 위험성을 제시하였으며, 생분해 고분자를 활용하기 위해 문헌을 조사하였다. 3장은 본 연구 개발을 위해 인조 잔디 파일에 대한 실험 계획 및 변수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며, 시험 계획과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후 선정된 인조 잔디 파일을 토대로 인조 잔디를 제작하여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은 3장에서 제시된 실험 계획 및 평가 기준을 토대로 인조 잔디 파일의 시험 방법과 그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선정된 인조 잔디 파일 배합을 토대로 인조 잔디를 제작하여 이에 따른 성능을 평가하였다. 5장은 지금까지의 연구 결론에 대해 종합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미세 플라시틱 저감을 위한 생분해 인조 잔디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PLA를 블랜딩하여 제조한 인조 잔디 파일은 생분해도가 각각 60.12%, 62.90% 로 환경부 환경표지인증 기준(EL724 / 45일 이내 60% 이상 생분해)을 충족하였으며, 이를 자연토양을 1:99의 질량비로 배합 다음 100일간 생분해 후 분해된 토양을 활용하여 생태독성을 시험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OECD 208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blank 대비 90% 이상으로 식물생장 결과를 확인하여, 자연토양에서 분해 후 토양의 생태독성의 안전성이 검증되었다. 제조한 인조 잔디 파일은 미세플라스틱을 저감하였으며, KS F 3888-1(인조 잔디 시스템)의 품질 기준인 충격 흡수성을 비롯한 모든 물성을 만족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709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