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정해-
dc.contributor.author김동현-
dc.date.accessioned2023-09-27T02:18:33Z-
dc.date.available2023-09-27T02:18:33Z-
dc.date.issued2023.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230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40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송대, 명대, 청대의 문화, 사회적 구조의 변동의 맥락에서 명리학의 진화 과정을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송대(宋代)에는 고법의 󰡔이허중명서󰡕에서 신법의 󰡔명통부󰡕로 전환되는 시점이다. 상인 계급의 부의 축척과 과거 시험 응시 기준 완화, 서민문화의 등장과 보급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 시대의 변화에 맞게 사주팔자 간명의 중심이 󰡔이허중명서󰡕의 연본과 태원에서 󰡔명통부󰡕의 월령과 일간으로 변했던 것이다. 이는 부모의 혈통과 가문으로 세습되던 사회에 성행한 연본과 태원의 고법 이론체계가 서민문화의 발전으로 자연스레 쇠퇴하게 된 것이다. 또한 중국 전통의 천인합일 사상의 영향으로 삼원에 대한 인식이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변한 것이다. 명대(明代)에는 󰡔삼명통회󰡕와 󰡔연해자평󰡕이 출간되는데, 당대의 실용유서 출판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유학을 숭상하던 기존의 지식인들이 양명학을 수용하면서 실용적이고 다양성 있는 학문연구를 가능하게 했다. 이는 신분 계급의 경계가 사라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실용유서(實用類書)와 통속문학이 발전하면서 서민 중심의 문화가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고법에서 신법으로 완전한 전환이 되는데, 이 역시 당시의 성숙해져 가는 서민문화의 영향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하여 명리학의 변천과 시대의 변화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보면, 청대(淸代)의 󰡔자평진전󰡕을 기존과 다른 해석이 가능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자평진전󰡕을 전(展)으로써 책의 구절을 연구했다면, 고증학의 연구법의 영향으로 심효첨의 개인 연구물인 차기로써 󰡔자평진전󰡕을 접근해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는 그동안 책의 전반부와 후반부의 내용이 달라 격국과 용신에 혼선이 생기던 문제해결의 단초를 마련한 것이다. 후반부 심효첨의 논리라고 보기에 어색한 취용법, 저서에 쓰이지 않는 단어가 등장한 것이 심효첨의 주장이 아닌 차기의 기록물이거나 연구 중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명리학은 단순히 독자적인 변화 과정을 거쳐 온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와 조응하며 발전해온 체계이다. 명리학 고전을 저술한 저자들 역시 직간접적으로 당대의 사회, 경제, 정치적 구조와 시대적 요구에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므로 명리학은 사주팔자를 통해 개인의 운명을 해석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의 변화를 반영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진화해 왔다. 따라서 AI 시대를 맞이하여 고성능 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명리학 연구에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하여야 한다. 그리고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명리학을 통한 경영 전략이나 성공적인 의사결정을 돕는 도구로 확장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시점이다. |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evolution of Myeongrihak, with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and social structure changes during the Song, Ming, and Qing dynasties. During the Song Dynasty, the transition from the old method of 󰡔Yiheojungmyungseo(李虛中命書)󰡕 to the new method of 󰡔Myungtongbu(明通賦)󰡕 was influenced by the accumulation of wealth in the merchant class, the relaxation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standards, and the emergence and spread of popular culture. In line with the changes in the times, the focus of the Four Pillars of Destiny has changed from the lineage and birthplace in 󰡔Yiheojungmyungseo(李虛中命書)󰡕 to the month and daily stem in 󰡔Myungtongbu(明通賦)󰡕. This is due to the natural decline of the old method theoretical system of the lineage and birthplace that was prevalent in society inherited by parents and family, which declined naturally with the development of popular culture in the Song Dynasty. Also, it can be seen that the perception of the three origins has changed to the heavenly stem, earthly branch, and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Chinese idea of heaven and man. In the Ming Dynasty, 󰡔Sammyungtonghoe(三命通會)󰡕 and 󰡔Yeonhaejap yeong(淵海子平)󰡕 were published, influenced by the publication culture of practical wills of the time. As traditional intellectuals who admired Confucianism accepted Myeongrihak, it became possible to conduct practical and diverse academic research. This was the occasion for the disappearance of class boundaries, and with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ills and popular literature, a culture centered on the common people further developed. From this period, there was a complete transition from the old method to the new method, which is also the influence of the maturing popular culture of the time. Through these fac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hanges in Myeongrihak and the changes in the era are related to each other. From a cultural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interpret 󰡔Japyeongjinjeon(子平眞展)󰡕 during the Qing Dynasty differently from existing studies. Whereas existing research has examined the passages of the 󰡔Japyeongjinjeon󰡕 as an exhibition, the influence of textual studies allows us to approach 󰡔Japyeongjinjeon󰡕 as a personal research material of Sim Hyo-cheom. This has provided the beginning of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confusion in the distinction between nation and dragon spirit caused by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book. Awkward citations and the appearance of words not used in the book, which are seen as the logic of Sim Hyo-cheom in the second half, can be presumed to be records or areas under study in the document, not Sim's claim. Myeongrihak is not simply a system that has undergone its unique evolution process, but has evolv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times. The authors who wrote the classics of Myeongrihak were also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by the social, economic, political structure of their times, and the demands of the era. Therefore, Myeongrihak not only interprets an individual's fate through one's birth chart, but has also evolved to reflect changes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nd to meet the demands of its users. Hence, as we enter the era of AI,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new methodologies in the study of Myeongrihak using high-performance data analysis technology. And it's time to expand Myeongrihak as a tool to help with business strategies and successful decision-making from a business perspective.-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명리학의 변천과 문화의 관계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ition of Myeongrihak and Culture-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동현-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Dong Hyun-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융합산업대학원-
dc.sector.department동양문화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