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 0

역할과부하가 스타트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의해 조절된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Title
역할과부하가 스타트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의해 조절된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Role Overload of Start-up Employe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by Stress Coping Style
Author
김혜인
Alternative Author(s)
Kim, Hae In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verload of start-up employe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verify whether the stress coping style plays a controll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confirm the hypothesis, conducted survey of 198 workers working at start-ups in Seoul, Gyeong-gi and the metropolitan area using a scale of role overload, psychological well-being, turnover intention, and stress coping style. SPSS Statistic 26.0 and PROCESS macro 4.1 were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oderating effect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major variables except for the active stress coping style, turnover intention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 and passive stress coping style. Second, turnover inten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passive stress coping styl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Specifically, when the level of passive stress coping style is high, the turnover intention increased when the role overload were high. Fourth, turnover inten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 this process, the passive stress style showe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by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overload and turnover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Variables that can understand and predict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of start-up workers were identified by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 of turnover intention in the process of the role overload of start-up employees affe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by examining both role overload and stress coping style, it confirms that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level of using of passive stress coping style for start-up workers who carry a lot of role overload. This means, to manag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start-up members, it is important to focus on reducing the use of passive stress coping style rather than encouraging them to use active stress coping style. And it is also confirmed that we need to develop new educating ways of coping stress. Lastly, the topic of this study which specifies mental health of start-up staffs has not been seen in previous studies. This will influence to reconsider various psychological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start-up members as well as other company types of employees.| 본 연구는 스타트업 근로자의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이직의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과부하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절된 매개효과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수도권 지역의 스타트업에 재직중인 근로자 198명을 대상으로 역할과부하, 심리적 안녕감, 이직의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SPSS Statistic 26.0과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이직의도 그리고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제외한 모든 주요 변인들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이직의도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역할과부하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구체적으로는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 때 역할과부하가 높게 나타나면 이직의도가 증가하였다. 넷째, 역할과부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이직의도가 부분 매개하였고, 이 과정에서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과부하와 이직의도 사이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스타트업 근로자의 역할과부하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이직의도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스타트업 근로자의 심리적 불편감을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할과부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역할과부하를 많이 느끼는 스타트업 근로자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용 수준에 따라 이직의도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스타트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도록 독려하기보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용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며, 기존 스트레스 대처방식 외에도 새로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관련된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볼 수 없었던 특수한 기업유형인 스타트업 근로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일반 근로자뿐만 아니라 스타트업 근로자를 위한 다각적인 상담 개입을 통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933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3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PSYCHOLOGY[S](상담심리대학원) > HUMANITIES & SOCIAL SCIENCE(인문사회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