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 0

장예모의 현대발레 작품 「홍등」에 나타난 심미적 특성 연구

Title
장예모의 현대발레 작품 「홍등」에 나타난 심미적 특성 연구
Author
조아
Advisor(s)
문영철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오늘날 세계는 어느 민족이든 경제·정치·풍속·문화적 전통·지리적 환경 등에서 차별이 있으므로 민족마다 다른 심미적 문화 특성이 형성된다. 이러한 특성이 문학에서 예술에 이르기까지 대중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러한 차이가 세계 예술 문화가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띠면서 문학과 예술 작품 모두 그 민족 특유의 기품과 스타일을 갖추게 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발레의 탄생은 서양 발레와의 융합 속에서 이루어졌고, 중국 발레는 ‘민족화’ 또는 ‘중국화’로 발전하는 과정이다. 초기에는 맹목적인 ‘중국식’을 개조하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지금은 현대화 과정에서 발레의 민족적 요소를 찾거나 동양적 요소를 발레에 접목하는 과정이다. 시대가 계속 발전함에 따라 예술 작품도 모든 방향으로 혁신을 시도하기 시작하였다. 중국 현대문학 작품을 원작으로 한 무용극의 소재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중 문학에서 희곡으로의 직접 개작과 문학에서 영화, 무용극으로의 간접 개작이 있다. 본 연구는 장예모 감독의 발레극 작품인 「홍등」의 심미적 특성을 연구한 것으로, 이 작품은 소설, 영화, 발레극 등 다양한 예술 형식의 작품이다. 「홍등」의 원작 소설 「처첩성군(妻妾成群)」은 신사교육을 받은 여대생 송련(頌蓮)이 가세가 기울어 계모에 의해 첩으로 팔려 다른 부인들과 50대 나리의 사랑을 다투는 이야기를 그린다. 그러나 점차 이 봉건적 전통 가정에 의해 부식되어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되었다. 발레극은 원작의 인물과 줄거리를 많이 다루는데, 발레극은 프롤로그, 제1막, 제2막, 제3막, 그리고 에필로그로 5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프롤로그는 홍등이라는 분위기를 먼저 조성하고 여자 주인공의 등장으로 시작된다. 제1막에서 여자 주인공 송련은 봉건제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강제적으로 시집을 간다. 제2막은 나리가 경극 단체를 집으로 초청하고 송련은 경극 무생(京劇武生)과 사적인 만남을 가지다가 둘째 부인에게 들켰다. 제3막 둘째 부인이 나리에게 고발하여 두 연인은 체포당한다. 이때 둘째 부인은 나리의 총애를 받을 수 있을 거로 생각했지만 결국은 예상한 대로 가지 않고 처벌받는다. 에필로그는 둘째 부인과 두 연인이 화해하고 결국 사형을 당하면서 인생이 막을 내린다. 서양 발레의 심미적 특성은 중국 발레 무용 형성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중국 발레 창작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한다. 발레극 「홍등」의 가장 큰 특징은 중국 전통 심미적 특성을 많이 담고 있다는 것이다. 무용 동작은 발레의 특색을 대표하는 것 외에도 고전 무용과 경극 동작의 특징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팔의 동작은 중국 희곡의 ‘난화지(蘭花指)’를 교묘하게 사용하고, 춤 동작은 전통 고전무용의 특색을 이용하여 동양 여성 특유의 고전미(古典美)와 유연미(柔韌美)를 잘 표현할 수 있으며, 고전무용과 전통 희곡을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전체 발레극을 더 사상적이고 창의적으로 만든다. 이 발레극은 또 하나의 독특한 시각적 요소가 있는데, 바로 중국의 전통 의상인 ‘치파오(旗袍)’가 발레 무대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치파오 발레의 서막이 점점 열리고 있다는 것이다. 무대 위의 발레리나는 개량된 치파오를 입고 발레 발끝의 기술이 어우러져 여성스러운 각선미가 돋보인다. 발레리나는 중국 전통 경극의 긴 소매 의상을 입고 고전발레를 주체로 하고, 상체는 희곡 ‘소매춤(水袖舞)’ 기교를 사용하며, 하체는 발레의 덧신을 신고 서양식 발걸음을 내딛다. 전통예술의 이미지와 기운의 심미적 취미는 물론 발레의 교묘하고 우아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동양과 서양의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멋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발레에도 마작, 그림자극 등 생활화된 전통 요소를 가미하여 이들을 통해 오늘날 안무가들이 전통문화에 대한 세심한 배려를 하고 전통문화와 요소를 전형적인 예술 형태에 접목하여 발레 사업뿐만 아니라 전통문화를 더 잘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레극 「홍등」의 심미적 특성 측면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각적 특성에서 기존의 발레 도식화를 돌파했을 뿐만 아니라 춤의 아름다움에도 많은 민족적 색채가 녹아있는 이 발레 작품은 흑백의 두 가지 색상의 배경과 거대한 붉은 등롱 장식, 오렌지, 빨강, 초록의 치파오를 입은 세 부인이 등장해 화려하지만 흐트러지지 않은 장면을 연출하였다. 또한 달문(月亮門), 마작 테이블, 꽃가마의 교묘한 활용도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으며 형식적인 44개의 홍등이 두드러져 중국의 심미적 추구를 무대 위에서 잘 표현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현대 무대의 조명과 도구를 활용하여 시각적 임팩트가 돋보이는 발레극의 분위기가 무대 공간과 인물의 심리 공간의 시공간적 전환을 이루고 있다. 이 교묘한 시각 언어는 중국 발레에 운치를 더하고 신세대 무용 애호가들의 시야를 넓혔다. 둘째 청각적 특성에서 독특한 음악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 경극, 민가, 민요 등 전통 음악과 날라리, 생황, 타악기 등 민족적 색채가 풍부한 악기가 어우러져 있다. 극의 필요에 따라 마작의 효과를 모방한 소리, 장정 몽둥이의 효과음, 얼후와 첼로의 대화, 경극의 청의(青衣)의 길게 늘어지는 목청 등을 넣었다. 이러한 음악 언어는 또한 극적 효과를 위한 일정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움직임적 특성에서 개방과 내포, 일원화와 다원화, 신체 동작과 경극 표정의 결합이라는 세 가지 측면을 통해 발레극의 전체적인 이야기를 원활하게 연결하고 봉건 사회의 비참한 운명을 깊이 있게 묘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서양의 결합을 강조하는 창작 기법과 사상을 강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징적 특성에서 영화적 기법의 표현 특성, 상징적 기호의 활용, 인물 관계 및 성격 묘사를 이용하여 작품의 특징과 내실을 풍부하게 한다. 전통적인 심미적 문화와 현대 발레의 특징을 융합한 독특한 특성이 있으며, 이미지와 경지를 창조함과 동시에 표상의 의미와 이미지 그 밖의 취지를 전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심미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며, 장예모 감독의 발레 작품 「홍등」의 전통문화와 사상을 분석하여 시각적 특성, 청각적 특성, 움직임적 특성, 상징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논문에서 시도한 심미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중국 무용 예술이 직면한 문제 개선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377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3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