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 0

학습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준비행동 및 조직 지원환경과 학습역량의 다층적 관계 분석

Title
학습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준비행동 및 조직 지원환경과 학습역량의 다층적 관계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the Multi-layered Relationship among Academic Engagement,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rganizational Supportive Environment, and Academic Competence
Author
장유진
Alternative Author(s)
Jang, Youjin
Advisor(s)
송지훈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대학 교육의 역할은 미래 사회 인재 양성을 위하여 학문적이고도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데 필요한 학습의 장을 제공하는 것이다(Brock, 2010; Chan, 2016; Cortese, 2003). 대학은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있어 사회적 요구 및 교육적 흐름에 따라 고등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인 학생의 역량 향상, 성장,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Marginson, 2011). 대학 교육의 대상자인 대학생은 개인의 특성과 소속된 대학의 영향을 받으며 역량을 향상시키게 되고, 이렇게 향상된 학습역량은 개인적 학습성과와 대학 생활, 졸업 이후의 삶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Rychen & Salganik, 2003). 따라서, 학습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학생과 대학 조직의 특성들을 확인하고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성 및 영향력을 검토함으로써 성공적인 대학 교육과 학생의 성공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사항을 기반으로 학습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시하고, 다수준 접근(multilevel approach)을 통해 학생 및 대학 조직 특성과 학습역량의 영향 관계를 구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학년), 학습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의 구조적 특성(소재지, 설립유형, 규모), 조직 지원환경의 학습역량과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개인 수준에서 학생 특성 변수들과 학습역량의 관계를 구명하였고, 셋째, 대학 수준에서 대학 조직 특성 변수들과 학습역량의 관계를 구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생 특성과 대학 조직 특성의 상호작용이 학습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8개 대학에 소속된 828명 학생이 응답한 양자간(dyadic)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한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Jamovi 프로그램을 통한 타당도 분석과 HLM 프로그램을 통한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목적과 절차에 따라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역량은 학생 수준과 대학 조직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 조직 특성보다 학생 특성이 학습역량에 조금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수준에서 학생의 학습몰입, 진로준비행동이 학습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 조직 수준에서 대학 조직의 지원환경에 따라 학습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추가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과 대학 조직 특성 중 진로준비행동과 조직 지원환경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연구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대학 효과 이론, 학생 참여 모형, 학생 통합 모형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고 관련 조직이론들을 통해 선행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했던 학습역량에 대한 추가적인 해석을 제공하여 관련 이론 및 모형들의 설명 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학습역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학생과 대학 조직 수준으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대학 특성의 더 높은 설명력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실천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대학 차원에서의 지원 서비스 구조 및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 차원에서 체계를 기반으로 자원 배분 및 운영을 통해 문화적 환경을 정립해나갈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대학 차원에서 단계별, 학년별 교육과정 등을 통한 학생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대학 차원에서 교수자들이 소속 학생들에게 정서적 지지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사점을 기반으로 후속 연구를 통한 대학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국가 차원의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대학별 특성을 도출하고, 3수준 이상에서 다층분석 혹은 추가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방법을 실시하는 연구의 확장을 제언하였다.|The role of a college educa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environment necessary to acquire academic and expert knowledge for nurturing future social talent (Brock, 2010; Chan, 2016; Cortese, 2003). To fulfill these roles efficiently, colleges actively supports students’ competence improvement, growth, and development, which are fundamental purposes of higher education according to social needs and educational flow (Marginson, 2011). As subjects of college education, students enhance their competence through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their affiliated college. These factors are critical as they are affected by students' personal learning outcomes, college life experiences, and life after graduation (Rychen & Salganik, 2003). From these standpoints, it is necessary to providing implication that underscore the need for successful college education and students’ success by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students and college organizations that affect the improvement of academic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among the main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academic competenc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nd colleg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competence using a multilevel approach.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engagement, faculty-student interac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llege organizational supportive environment, and academic compet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competence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college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competence at the college level. Fourth, this study confirmed the interactive effect of student characteristics and colleg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to academic competence.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llected dyadic data from 828 students affiliated with 38 college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and validit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Jamovi program.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the HLM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both the student and college organization levels, with student characteristics having a greater effect on a college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cademic competence. Second, at the student level, academic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academic competence. Third, at the college organization level, organizational supportive environment significantly affected academic competence. Fourth, the study also found student and college characteristics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to academic competence. Moreov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colleges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several implications. Theoretical implications include a synthesis of college effect theory, student engagement model, and student integration model, and an extension of organizational theories to explain the range of factors not previously addressed in previous studies. Empirical implications suggest that systematic support and structures are necessary at both the college and faculty levels to ensure successful college life, learning, and career outcomes. Also, a college should provide som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counseling techniques for the faculty. This study proposes using large national-level sample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each college and expanding the study to implement multilevel analysis in three levels or other analysis in future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college educ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64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3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