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 0

중국 사회주의 경제의 제도화와 시장, 그리고 농촌(1937-1957)

Title
중국 사회주의 경제의 제도화와 시장, 그리고 농촌(1937-1957)
Other Titles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ocialist Economy, Markets, and Rural Society in China(1937-1957) : Reconstruction of the “Trading Network” and the Grain Circulation
Author
이승아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 A
Advisor(s)
강진아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early socialist econom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has been regarded as an 'ideal type,' focusing on the practice of compulsory grain procurement known as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統購統銷), with changes in the traditional grain markets. Grain played a pivotal role as the most important commodity and currency in the marketplace, becoming the first commodity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to implement a planned econom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government implemented the UPUSS during the initial year of the planned economy, enabling them to regulate grain circulation based on their predetermined plan instead of market demands. Therefore, examining grain is highly valuable for understanding both the distribution process of grain under central government planning and the changes in the market system. Moreover, this study takes a long-term perspective on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as a proces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Trading Network,' while considering its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the market system, thus avoiding a confrontational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socialist economy and the market. In the 1950s, the term 'Trading Network' referred to the distribution network of goods, described as the 'National Trading Network' or 'Private Trading Network' depending on the distributors involved. The government's reorganization of the 'Trading Network' in the 1950s refers to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tate-led goods distribution network, which also allowed private merchants to engage in commercial activities. Taking these perspectives into account,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grain circulation from the Sino-Japanese War to the eve of the Great Leap Forward. It investigates the background and processes lea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the issues that arose in rural areas, the government's responses, and the reactions of rural society. This analysis aims to identify the progression of the socialist economy's construc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rural areas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government's implementation of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in the early years of th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an be attributed to the absence of a normalized market distribution system led by middlemen after the war. In contrast, the socialist commercial network of 'state-owned enterprise-supply and marketing cooperatives' had already gained significant influence. This network, known as the 'New Trading Network,'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national distribution system, enabling the swift nationwide implementation of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within a few months of its decision. However, shortly after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was put into effect in 1953, two unforeseen problems arose in rural areas. Firstly, more grain was sold to rural areas than the government had initially planned for. Secondly, the market distribution system that connected urban and rural areas quickly deteriorated as numerous rural merchants went out of business due to the scarcity of grain in the rural market. These challenges triggered a series of incidents in rural areas, including grain shortages, conflicts with government officials, and even cases of suicide. Moreover, the variety and quantity of goods delivered to rural areas declined steadily. To address these issues, the government attempted to tackle the problem by complementing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and initiating the socialist transformation of rural merchants. A nationwide 'Trading Network' was established to distribute grain efficiently based on the government's plan. This process involved a deep penetration of state administration into rural society, resulting in significant changes to the livelihoods and economic activities of peasants. This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both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and the socialist transformation of rural commerce as pivotal rural economic policies that transformed rural society and lives of peasants in China during the 1950s.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and the grain market during the 1950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planned economy of the 1950s initially embraced a system that incorporated the rural market and could adapt to market distribution as required. This study clearly demonstrates that while the central government developed the national distribution system, it still made use of the private trading network and the standard market. During the early 1950s, the planned economy did not reject the concept of 'markets' or trade itself. Instead, it emphasized that markets were subject to state control, allowing the state the flexibility to permit peasant trade and a market economy within its framework. In this regard, the period known as the 'Great Leap Forward,' which is considered a significant phase of Chinese socialism before the reform and opening up era, can be viewed as a unique period characterized by a substantial suppression of rural trade. Secondly, the economic system of the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rom its inception incorporated both top-down and bottom-up policies, which were solidified through local experimentation. Local governments were granted significant discretion in implementing methods, allowing for flexibility in problem-solv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in November 1953 serves as an example of this approach, as it underwent experimental phases in different regions, aligning with the Chinese tradition of 'Yindizhiyi' (因地制宜) that highlights the country's social characteristics.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provided core principles and a unified “framework” for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through experimentation, while local governments implemented the system based on their unique conditions and practical experience. Even after the official implementation of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various methods, laws, and regulations forming the unified “framework” were continuously adjusted and modified through experimentation, except for the fundamental principles. However, the flexibility of the problem-solving process did not always allow the system to be lax. In 1957, the inherent tension between rural market trading and the government's plan to purchase agricultural commodities became apparent, prompting the government to introduce regulations to enforce the Unified Purchase and Unified Sale System, effectively tightening control over the grain trade. It is also worth noting that the government showed resilience in reversing the system after the real problem of the Great Famine. In this regard, China's planned economy can be seen as borrowing its planning framework and technical methods from the Soviet Union but shaping a distinct system in terms of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The Chines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characterized by experimentation, modification, local discretion, and long-standing flexibility towards the “market,” may provide an explanation for China's success in its subsequent reform and opening up efforts.| 본고는 ‘이념형’으로 이해되어왔던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사회주의 경제를 ‘통구통소’ 정책과 시장의 변화를 통해 구체화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식량’에 주목하였다. 식량은 전통적인 시장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상품이자 화폐였고,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정부가 계획경제를 실현하기 위해 가장 먼저 장악했던 상품이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계획경제가 시작된 해에 식량 ‘통구통소’를 시행했고, 이후 국가가 시장을 대신하여 식량을 계획에 따라 유통하면서 시장에서는 민간 상인의 식량 거래가 금지되었다. 따라서 식량은 시장 체계의 변화와 계획에 따른 상품 유통 과정을 함께 살펴보는 데 매우 유용한 소재가 된다. 이 연구는 국가의 ‘상업망’ 구성 과정이라는 장기적 시각에서 식량 ‘통구통소’ 제도와 시장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사회주의 경제와 시장을 단순히 대립하는 관념으로 설명하는 것을 지양한다. 1950년대 ‘상업망’은 어떤 상업의 상품유통망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었는데, 당시 상품 유통의 주체에 따라 ‘국영상업망’, ‘사영상업망’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때 정부의 ‘상업망’ 재편은 국가가 주도하는 상업 유통망의 구성과 전개 과정을 가리키며, 이 체계 안에서는 민간 상인들도 상업활동이 가능했다. 이 글은 ‘상업망의 재편’이란 관점에서 중일전쟁에서 대약진 전야에 이르는 식량 유통의 변화를 추적하고, 통구통소가 시행될 수 있었던 배경과 과정, 농촌에서 발생한 문제, 정부 대응, 농촌 사회의 반응 등을 살펴본다. 이로써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사회주의 경제의 구성 과정과 농촌 변화의 일면을 구체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정부가 건국 초기에 시장을 대신하여 식량을 유통하는 ‘통구통소’를 시행할 수 있었던 것은 전쟁 이후 아행이 이끌던 시장 유통체계가 정상화하지 못했던 반면, 이들을 대신하여 ‘국영상업-공소합작사’의 사회주의 상업망이 장기간 발전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정부가 ‘신형 상업망’이라고 불렀던 이 유통체계 기반이 바로 통구통소가 결정되고 불과 몇 개월 내 전국에서 정책이 실행될 수 있었던 조건이었다. 그러나 1953년 ‘통구통소’가 시행된 직후부터 농촌에서는 정부가 예상하지 못했던 두 가지 문제가 대두되었다. 하나는 농민들이 춘궁기에 정부에게 식량 공급을 요구하면서 해마다 정부 계획을 초과하는 식량이 농촌에 판매된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식량이 농촌시장을 이탈하자 많은 농촌 상인이 폐업하면서 도시와 농촌을 잇는 상업 유통망이 빠르게 무너진 것이다. 이후 농촌에서는 해마다 식량 공급을 둘러싸고 식량 요구와 간부 구타, 자살 등의 사건이 잇달았고, 농촌에 상품이 전해지지 않아 농촌에 상품 수와 종류가 나날이 줄어들었다. 정부는 통구통소 정책의 보완과 농촌 상업 사회주의 개조로 문제 해결에 나섰고, 전국에는 정부의 계획에 따라 합리적으로 식량을 유통하는 상업망 체계가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국가 행정력이 농민 생업과 경제 활동을 변화시키며 농촌 사회 깊숙이 침투해 갔다. 이 연구는 통구통소 정책과 농촌 상업 사회주의 개조가 1950년대 중국의 농촌 사회와 농민의 삶을 변화시킨 중요한 농촌 경제 정책들이었음을 강조한다. 이상의 1950년대 국가의 계획에 따르는 통구통소 제도화 과정과 시장의 변화를 장기적인 시각에서 탐색한 결과 발견한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0년대 계획경제는 기층시장을 포섭한 체계로 출발하여, 필요에 따라 시장 유통을 수용할 수 있던 체제였다. 이 연구에서 중앙정부가 국영상업망 체계를 발전시켰던 와중에도 사영상업망과 기층시장을 함께 활용했음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1950년대 초기 계획경제는 ‘시장’이나 거래 자체를 부정한 것이 아니라 시장을 국가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 내에 두는 것이 중요했고, 그 내에서 농민 무역은 물론 시장경제도 허용하는 유연성을 지녔다. 이런 점에서 기존 연구가 개혁개방 이전 중국적 사회주의의 특징으로 주목했던 ‘대약진’ 시기가 오히려 농촌 거래가 극도로 억제되었던 특수한 시기로 볼 수 있다. 둘째로 건국 초기부터 경제 제도는 지방 실험을 거쳐 상하 양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행방법에서 지방의 재량권이 컸고, 문제 해결에 대해 유연함을 보였다. ‘통구통소’ 제도는 1953년 11월 시행되었지만, 중국의 ‘인지제의(因地制宜)’적 전통에 따라 각 지역에서 실험 단계를 거쳤던 중국적인 특성을 잘 보여준다. 중앙정부는 실험을 통해 통구통소의 핵심 원칙과 통일된 ‘틀’을 제공했고, 지방정부는 지역 상황에 맞게 제도를 시행하며 실무를 구성해 나갔다. 또한 통구통소 제도가 공포된 후에도 가장 핵심 원칙을 제외하고 각종 시행 방법과 통일된 ‘틀’을 구성했던 법규까지도 상황에 맞게 또 실험을 거쳐 끝없이 조정되었다. 그러나 제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의 유연성이 늘 제도가 느슨한 상태로 있도록 작용하지는 않았는데, 1957년 농촌 거래의 자유도와 통구통소의 정부 계획 사이에 내재한 긴장 관계가 두드러지자 정부는 통구통소 시행 규정을 더하여 식량 거래를 엄격히 통제했다. 또한 대기근이란 현실 문제가 발생한 후에 정부는 제도를 다시 되돌리는 탄성을 보여준 점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중국의 계획경제는 계획의 틀과 기술적인 방법은 소련에서 왔지만, 제도의 운용과 실천 과정에서 소련과 다른 제도를 형성해 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중국 제도화 과정의 실험과 수정, 지방의 재량권, ‘시장’에 대한 오랜 유연성은 중국이 개혁개방에 성공적이었던 이유에 하나의 대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92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26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ISTORY(사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