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중국 무용극 작품에서의 문화민족주의 특징 연구

Title
중국 무용극 작품에서의 문화민족주의 특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ultural Nationalism in Zhou Liya and Han Zhen’s Chinese Dance Drama Works
Author
위산산
Alternative Author(s)
WEI SHANSHAN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안무가 주리아와 한진 공동작업 창작된 3 가지 무용극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며 이 작품의 원형 텍스트 주제, 안무의도, 무용수들의 신체적 움직임 표현, 공연 무대장치, 의상, 분장, 음악 등을 통해 지니는 중국 전통문화 기호들에 대해 분석하며 이들이 나타난 중국 무용극 작품에서의 문화민족주의 특징을 도출하여 문화민족주의 특징의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표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헤르더가 제시한 문화민족주의에 대한 정의 내용 및 해석을 동의한다. 또는 헤르더의 기존 문화민족주의에 대한 고찰 및 이론분석을 통해 문화적 특성 강조, 문화적 자위성, 민족문화 다원성이라는 세 가지의 특징 요인을 도출하여 주리아와 한진의 공동작업 창작된 무용극 작품「두보」, 「화목란」,「지차청록」을 연구 대상을 선정하며 주로 무용극 작품에 나타난 주제, 안무의도, 외적인 신체적 움직임 및 사용하는 소품, 그리고 의상, 분장, 음악과 무대장치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드러난 주리아와 한진의 중국 무용극 작품에서의 문화민족주의적 특징을 도출하여 중국 무용극 작품에서 표현된 전통문화, 전통 민족적, 민족 언어, 즉 모국어, 그리고 민요 등 사용하는 요소 특징의 의미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중국 무용극 작품에 접목해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론으로는 문헌 자료를 통하여 문화민족주의의 기원 및 개념, 역사적 발전 과정, 중국 무용극의 역사적 발전 과정, 그리고 안무가 주리아와 한진에 대한 살펴보기 위하여 언급한 서적, 논문, 학술지. 신문 외에 인터넷 자료, 인터뷰 자료, 그리고 인터넷 영상 자료 등을 함께 검토하고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은 실제 큰 인기를 가진 중국 무용극 작품에 대한 문화민족주의론 내용과 특징을 이용한 중국 무용극 역사에서 제4대 중국 무용극 안무가 대표자로서 등장한 주리아와 한진의 무용극 작품을 가지고 중국 전통문화를 강조하여 수출하기 위해 문화민족주의적 특징의 분석을 거쳐 탐구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 무용극 작품의 탄생이 문화민족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주리아와 한진을 대표된 중국 무용극 작품은 문화민족주의 하의 시대적 산물이라 인식하며 주리아와 한진의 공동작업 창작된 무용극「두보」, 「화목란」,「지차청록」을 연구 대상을 선정하며 작품 속에서 나타난 주제, 안무의도, 신체적 움직임, 활용한 소품, 의상, 분장, 그리고 음악과 무대장치의 분석을 통해 중국 무용극 작품이 문화민족주의 중 문화적 특성 강조, 문화적 자위성, 민족문화 다원성의 특징을 지녔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세계화 큰 사회적 배경 속에서 중국 무용극 작품에서 표현하는 테마 중 중국 전통적 요소 혹은 다민족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중국은 글로벌 문화 융합의 일반적인 추세에서 중국의 전통문화가 서구의 표준화 문화의 영향에 저항하고 자기의 민족적인 전통문화들을 어떻게 유지하며 본 연구자의 이 연구를 하는 가치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현대 중국의 문화 글로벌리제이션 시대의 큰 배경에서 중국의 전통문화가 어떻게 무용극 작품을 통해 유지하며 수용과 확장하는지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중국 무용극의 향후의 발전에도 일정한 비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며 중국 전통문화가 무용 작품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확장하는지, 하나의 안무적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도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45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2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