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0

경복궁과 자금성 주요 전각의 창호형식과 문양에 관한 비교 연구: 전조후침을 중심으로

Title
경복궁과 자금성 주요 전각의 창호형식과 문양에 관한 비교 연구: 전조후침을 중심으로
Author
웅개정
Alternative Author(s)
Xiong, KaiDing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East Asia's buildings are basically composed of three elements: roof, shaft and foundation. Window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constitutes the middle layer, which shows various changes in the times.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revolution of the main pavilions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Forbidden City, and conducts research on the layout, form, opening and closing methods, windowing patterns, decorations, decorations, etc. of the windows in the pavilion, and reveals The cultural, ideological, and symbolic background reflected. The window layout of the Zhonghe Temple in the Forbidden City office area fully follows the theory of Zhou Li, but the Taihe Hall and the Palace of Baohe Palace did not comply with the theory of Zhou Li, because of the "theory of Great Unification". The window layout and components, open and closing methods, and patterns of sleeping palace of Gyeongbokgung Palace have considered the Korean floor heating system culture and living convenience of the Korean nation, gorgeous and diverse. The form and patterns of the Forbidden City Palace are inseparable from the windows of the office area because of the "theory of Great Unification", but the Manchu architectural style Kunning Palace shape and pattern are diverse. In addition, the windows and doors of Forbidden City are opened inside wood parts, but the Gyeongbokgung Palace is opened outside with metal parts. This may be related to supporting the cast iron indust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etal parts are more delicate than wood parts and have fewer gaps when the door is closed, which helps keep the room warm. Gyeongbokgung Palace has been damaged several times due to war, etc., and there is a long time interval between the damage and reconstruction, resulting in many errors during the restor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wrong reconstruction not only causes mis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form of Gyeongbokgung Palace, but also wastes finances through the process of readjustment. Although the Forbidden City has been damaged several times, there is abundant data to prove its original form, so it preserves the original appearance of Forbidden City a lot. In the process of restoring Gyeongbokgung Palace, a mutual comparison with Forbidden City can be a good reference.| 동아시아의 건축은 기본적으로 지붕, 축부, 기단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과거에는 이를 상분, 중분, 하분이라고 불렀다. 창호는 중분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시대에 따른 다양한 변화를 보여준다. 본 논문은 경복궁과 자금성의 주요 전각의 기능과 공간 형식에 관한 역사적 연혁을 살펴보았으며, 전각의 중분(中分, 축부 또는 몸통이라고 함)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창호의 배치, 형태, 개폐 방식, 창살 문양, 장식 등을 검토하여 여기에 반영된 문화적, 사상적, 상징적 배경을 밝혀내고자 한다. 경복궁 전조의 창호 배치는 『주례·고궁기·대대예기(周禮·考工記·大戴禮記)』 에 기록된 명당(明堂)과 유사하고 『주례』 이론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자금성 전조인 중화전의 창호 배치 역시 『주례』 이론을 따르고 있지만 태화전과 보화전은 "대일통(大一統) 사상"의 영향으로 인해 『주례』이론에 부합하지 않는다. 경복궁의 후침 전각의 창호의 배치와 부재, 개폐방식, 문양은 조선민족의 온돌문화와 생활 편의성을 고려하였고 화려하고 다양하다. 자금성 후침의 전각의 창호의 형태와 문양는 "대일통(大一統) 사상"으로 인해 전조 전각의 창호와 유사하지만 만주족 건축 양식의 영향을 받은 곤녕궁은 그 형태와 문양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자금성의 창·문은 둔테로 안쪽으로 열리는 방식이며, 경복궁의 전각은 돌쩌귀로 문을 바깥쪽으로 열리는 방식이다. 이는 임진왜란 이후 주철산업 지원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돌쩌귀는 둔테보다 정교하고 문이 닫힐 때 틈이 적어 실내 보온에 도움이 된다. 경복궁은 전쟁 등으로 여러 차례 훼손된 적이 있고, 훼손과 중건 사이에 오래 시간 간격이 존재하여 복원 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하였다. 특히 잘못된 복건은 경복궁의 원형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게 할 뿐만 아니라 이후 재조정의 과정을 통해 재정 또한 낭비하게 된다. 자금성도 여러 차례 훼손되었지만 원형을 고증할 수 있는 풍부한 자료가 있어 자금성의 원래 모습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경복궁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자금성과의 상호 비교는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601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2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