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 0

지역 박물관의 관점에서 본 근대역사박물관의 전시 주제 특성 비교 연구

Title
지역 박물관의 관점에서 본 근대역사박물관의 전시 주제 특성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hibition Them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istory Museums from the Local Museum Perspective
Author
사지혜
Alternative Author(s)
Sa Ji Hae
Advisor(s)
안신원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whether the Museum of Modern History comprehensively contains modern history as a local museum, including its own history, culture, and life. Therefore, it is intended to grasp the intention of the exhibition and the message of delivery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hibition theme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modern history museum. The Museum of Modern History should not only show the site and reflect on history through enlightenment, Japanese colonial era exploitation, and regional independence movements (a), but also convey modern history from a non-narrow perspective. Furthermore, regional modern history museums should be able to reveal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nature, history, culture, economy, politics, and society, beyond the historical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of ports formed based on geographical location and railway transportation. As a result, the museum was chosen to specialize in modern local history from the purpose of construction, and the subject of the exhibition panel that can analyze the modern history of the region is clear and the text is sufficiently secured. 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museum is located is a transportation hub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railroad and a modern port, and it has achieved modern reforms in many ways at a faster pace than other regions. The results of the exhibition comparison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hibition them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History Museum according to local history items, the Gunsan Modern History Museum showed nine items, the Yongsan History Museum and the Daejeon Modern History Museum showed eight items, the Daegu Modern History Museum and Mokpo Modern History Museum 1 showed seven items, and Iksan Modern History Museum showed six items. As such, each museum was comprehensively dealing with local history by using various local history ite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local history according to the exhibition narrative structure, the exhibition discourse of the remaining five museums, except for the Gunsan Modern History Museum, contained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region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On the other hand, the Gunsan Modern History Museum focused on re-examin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ast from a public perspective. The Yongsan History Museum, Daejeon Modern History Exhibition Hall, and Daegu Modern History Museum, Iksan Modern History Museum, and Mokpo Modern History Hall 1 mainly dealt with social history items. These items eventually showed growth and development in common. It also showed common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geopolitical relationships that introduce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throug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background. In addition, it has a common point of securing the modernity that the modern history museum can have by introducing the background of enlightenment that marks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throug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background. However, Yongsan, Daejeon, Daegu, and Iksan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Japanese military bases, U.S. military bases, cargo routes, and rice production sites, and Gunsan and Mokp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rice, cargo routes, and external trade routes. By subdividing and explaining this part, regional differences by museum could be secured even in the same railway transportation city or port city. As mentioned above,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six modern history museums comprehensively dealt with modern local history by using local history items rather than narrow modern history descriptions.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railway transportation cities and port cities are also sub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history and described by divi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However, regional development, successful regional history, future-oriented regional history, and narrative structure leading to the history of progress show that the Museum of Modern History has become a monolithic modern history by treating modern history similarly by region. Therefore, the Museum of Modern History suggests that in describing modern regional history in order to actively contai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not limited to a single framework by structurally successful history, history of progress, and future orientation, but should have flexibility to accommodate local modern history from various perspectives. To this end, data related to modern local history for exhibitions should be comprehensively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interests. In other words, it is believed that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or interaction with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research on local history is necessary. By collecting opinions from local residents and sharing experiences and memorie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more diverse and comprehensive data on modern local history. Through this, since it is a modern history museum by region, it is hoped that it will increase its value as a site where you can learn modern local history through exhibitions that can be shown.| 본 연구에서는 근대역사박물관이 지역 박물관으로서 근대사를 지역의 독자적인 역사성, 문화상, 생활상을 포함해 종합적으로 담고 있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근대역사박물관 별 전시 주제 및 서술 특성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전시 의도와 전달 메시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근대역사박물관은 외세의 침략과 식민지 시대로서 아픈 역사의 시선을 중심으로 개화, 일제강점기 수탈사, 지역 내 독립운동(가)를 통해 그 현장을 보여주고 역사를 되돌아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편협하지 않은 시각에서 근대사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지역별 근대역사박물관에서는 지리적 입지를 기반으로 형성된 개항장과 철도 교통 요충지 특성에 따른 역사적 보편적인 특성을 넘어 자연, 역사,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등을 기반으로 그 지역만의 독자적인 특성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연구 대상 박물관으로 선정한 곳은 건립 목적에서부터 근대 지역사를 전문적으로 다룬 박물관으로, 해당 지역의 근대사를 분석할 수 있는 전시 패널의 주제 구분이 명확하고, 텍스트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운영과 규모 면에서 근대역사박물관의 성격을 잘 드러내고 있는 곳이다. 또한 박물관이 위치한 지역이 철도 부설로 인한 교통의 요충지와 근대 개항장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빠른 속도로 다방면에서 근대적 개혁을 이룬 곳이기도 하다. 전시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역사 항목에 따른 근대역사박물관의 전시 주제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은 9가지 항목을, 용산역사박물관과 대전근현대사전시관은 8가지 항목을, 대구근대역사관과 목포근대역사관 1관은 7가지 항목을, 익산근대역사관은 6가지 항목을 통해 근대 지역사를 보여주었다. 이처럼 각 박물관은 지역사 항목을 다양하게 사용함으로써 지역사를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둘째, 전시 서술 구조에 따른 근대 지역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시 대주제의 흐름으로 볼 때, 군산근대역사관을 제외하고 나머지 5곳 박물관의 전시 담론이 통시적 관점에서 지역의 성장과 발전상을 담고 있었다. 반면, 군산근대역사박물관은 공시적 관점에서 독립운동과 과거를 재조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지역사 항목이 많이 사용되었다는 것은 박물관에서 그 부분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볼 때, 용산역사박물관, 대전근현대사전시관, 대구근대역사관은 연혁과 역사를, 익산근대역사관은 사건사를, 목포근대역사관 1관은 사회사 항목을 주로 다루었다. 이러한 항목을 통해 결국은 성장과 발전상을 공통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또한 자연환경 및 지리적 배경을 통해 정치 및 경제적 변화를 소개하는 지정학적 관계에서 서술하는 공통적 특성을 보였다. 이와 더불어, 자연환경 및 지리적 배경을 통해 근대의 시작을 알리는 개화의 배경을 소개하여 근대역사박물관이 가질 수 있는 근대성을 확보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용산, 대전, 대구, 익산의 경우 같은 철도 교통 도시라도 일본 주둔지와 미군기지, 화물 운반로, 미곡 생산지로 그 특성이 다르고, 군산, 목포의 경우 같은 항구 도시라도 미곡과 화물 운반로, 대외교역로로 그 특성이 다르다. 이 부분을 세분화하여 구분 설명함으로써 같은 철도 교통 도시나 항구 도시일지라도 박물관 별 지역적 상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첫째, 근대역사박물관 6곳은 편협한 근대사 서술이 아닌 지역사 항목을 고루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근대 지역사를 다루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철도 교통 도시 및 항구 도시의 지리적 특성 또한 지역사적 성격에 따라 세분화하여 지역적 특색이 구분되어 서술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역 발전상, 지역의 성공적인 역사, 미래지향적인 지역사, 진보의 역사로 연결되는 서사 구조 등을 통해 근대역사박물관이 근대사를 지역별로 유사하게 다루어 천편일률적인 근대사가 되어버렸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근대역사박물관은 지역별 특성을 적극적으로 담기 위해 근대 지역사를 서술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성공적인 역사, 진보의 역사, 미래 지향성에 의한 단일한 틀에 국한되지 않고,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시각에서 지역 근대사를 수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전시를 위한 근대 지역사 관련 자료는 다양한 시각과 이해관계에서 종합적으로 분석될 수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학제 간 협력이나 지역사 연구에 참여하는 지역 주민들과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경험과 기억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포괄적인 근대 지역사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도 지역별 근대역사박물관이기 때문에 보여줄 수 있는 전시를 통해 근대 고유한 지역사를 배울 수 있는 현장으로서 가치를 높이기를 바라는 바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8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71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