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웅재-
dc.contributor.author하맹연-
dc.date.accessioned2023-09-26T16:03:31Z-
dc.date.available2023-09-26T16:03:31Z-
dc.date.issued2023. 8-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480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973-
dc.description.abstractThe post-pandemic era has unified individuals worldwide, transcending national and cultural boundaries, by placing them in a shared context of events. Against this backdrop, personal narratives acquire a universal value that extends beyond individual experiences. Vlogs, which have gained popularity in recent years, possess distinct characteristics of documenting the "everyday," connecting ordinary occurrences with the quotidian, and reflecting upon thoughts and empathy for the mundane. There are not only a large number of vlog creators, but also a large number of vlog receiv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aily vlogs through elements such as theme, screen, narrative, background music and narration, mainly against the backdrop of the life structure in the post-corona era. Additionally, it delves into the acceptance process of daily vlogs among Korean and Chinese youth, aiming to examine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se individuals, their connection to the current social structure, and identifying both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among them. This paper undertakes an analysis of two channels, namely, <planD> on YouTube and <Dear Jiaqian> on Biliibilli. <planD> primarily revolves around the daily life of a young Korean woman residing in Seoul, working as a personal designer, and living independently. On the other hand, <Dear Jiaqian> focuses on the daily life of a Chinese woman who left her stable job in Korea and now resides in Iceland as a writer and freelancer. Through textual analysis, while the study of the <planD> channel explores vlogs as a cultural force in the Corona era, the examination of the <Dear Jiaqian> channel delves into a distinct phenomenon of the post-corona era. The former and latter complement each other, portraying the emotional landscape of the post-corona era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by depicting both the "everyday life" and the "lost everyday life" together, thus providing a multi-dimensional view. In-depth interviews reveal that the motivations behind watching vlogs, in general, analyzing the reception process during the pandemic from a personal and emotional standpoint reveals that watching vlogs establishes a sense of connection with others' lives, fostering emotional companionship. Additionally, the subjects perceive Chinese vloggers' content as infused with pessimistic sentiments due to the pandemic, which can impact them in unexpected ways. Furthermore, many subjects experience envy towards the "normal life" and "travel" content depicted in vlogs, engendering nostalgia for their own daily lives. They derive vicarious satisfaction by immersing themselves in others' content. Second, some subjects are influenced by the "daily life" of vlogs in a fundamental way, such as self-development and uniqueness of experience, while others claim that the "daily life" of vlogs has little impact on them, and consider vlogs as simple entertainment content, and are even more concerned about the revenue structure issues behind vlogs. Third, the subjects believe that the pandemic has affected them differently due to their different life stages. Some subjects who were students during the pandemic, or who have just experienced the transition from student to worker, claim that the pandemic has a greater impact on their personal lives. For those who have stable jobs or are in their 30s, the pandemic has not affected their fixed life structure much, and some even claim that the pandemic has given them some breathing room in their stressful lives. In addition, the typical emotional structure of people in their 20s and 30s during the pandemic is as follows. 1) Pre-existing stress, or stress that was not originally felt, is endlessly magnified. 2) A tendency to plan a new life, driven by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3) Because each person's thoughts and experiences are unique, some of the subjects believe that their lives have not been affected by the pandemic, but rather that it has brought them opportunities, and although this emotional structure is not mainstream, it is a unique part of various emotional structures. To conclude, emotions possess both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Vlogs, as a medium that documents daily life, aim to present life in its truest form compared to other genres. In the post-corona era, despite existing in disparate spaces and circumstances, individuals worldwide have collectively experienced the singular event of the 'corona' pandemic. Consequently, vlogs function as a medium of publicity and universality, fostering a profound sense of connection. Vlogs extend beyond mere "recording" by encapsulating the narrative aspect and enabling netizens to share their experiences, thus becoming a medium for collectively remembering this era. The creators of vlogs, the content they present, and even the viewers collectively partake in various emotional experiences within an online virtual community rooted in real life,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the internet and reality.|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국적과 문화 배경을 막론하고 전 세계 사람들이 동일한 사건 배경을 갖게 했다. 이 배경 아래, 사람들은 재난에 직면할 때 사적인 서사가 개인적 경험의 의미를 넘어 보편적 가치를 가진다. 최근 몇 년 유행해진 브이로그는 '일상'을 기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상'과 '일상'을 연결시키며, 일상에 대한 생각과 공감을 반영하고 있다. 수많은 브이로그 창작자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많은 브이로그 수용자가 있다. 본 연구는 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생활 구조를 배경으로 주제, 화면, 내러티브, 배경음악과 내레이션 등의 요소를 통해 일상 브이로그의 내용과 미학 특질을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서는 한중 청년들의 일상 브이로그에 대한 수용과정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최종 목적은 한·중 청년들의 일상 브이로그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정 표현을 살피고, 현재의 사회 구조와의 연관성을 파악해, 개인 간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는 것이다. 본 논문은 유튜브에서 운영하고 있는 <planD플랜디>와 비리비리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랑하는 가청>을 분석했다. <planD플랜디>는 주로 서울에서 자취생활을 하며 개인 디자이너로 생활하는 한국 젊은 여성의 평범한 일상을 기록하는 채널이며, <사랑하는 가청>은 주로 국내 안정적인 직장을 그만두고 작가와 프리랜서로 아이슬란드에서 생활하는 중국여성의 아이슬란드 생활 일상을 기록하는 채널이다. 텍스트 분석 결과를 보면, <planD플랜디> 채널에 대한 연구가 코로나 시대의 문화적 힘으로서의 브이로그에 대한 논의였다면, <사랑하는 가청> 채널에 대한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특수 현상에 대해 논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전자와 후자는 서로를 보완하고 있으며, '일상'과 '잃어버린 일상'을 같이 묘사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감정구조를 더욱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심층 인터뷰 결과를 보면, 우선, 대상자들이 개인의 삶과 감정을 결합하여 코로나 시기 속 특별한 수용과정을 분석한다면, 브이로그를 시청하고, 다른 사람들의 삶과 연결되는 지점을 느껴 정신적 동반을 형성한다. 그리고, 대상자들은 코로나로 인해 중국 브이로거들이 촬영한 브이로그 콘텐츠에서 어떤 비관적인 정서가 가득하다고 생각하기에, 이러한 정서가 거꾸로 자신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대상자는 브이로그에서 보여주는 '정상 생활', '여행' 등의 콘텐츠에 부러움의 감정을 갖고, 브이로그를 시청함으로써 자신의 일상생활을 그리워하며, 다른 사람의 콘텐츠 덕에 대리만족을 느끼기도 한다. 둘째, 일부 대상자는 브이로그의 '일상'에서 자기개발, 경험고유 등 근정적인 영향을 받는 동시에 다른 대상자는 브이로그의 '일상'이 자신에게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브이로그를 단순한 오락 콘탠츠라고 여기고 심지어 브이로그 이면의 수익구조 문제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진다. 셋째, 대상자들은 자신이 처한 삶의 단계가 다르기 때문에 코로나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코로나 시기에 학생 신분이었거나, 마침 학생에서 직장인으로의 전환을 경험한 일부 대상자들은 코로나가 자기 개인 생활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직업이 안정되었거나 30 대인 대상자에게는 코로나가 그들의 고정된 생활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심지어 일부 대상자는 코로나 덕분에 스트레스가 가득한 삶에서 약간의 숨통을 틀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 인터뷰를 통해 알아본 코로나 시대 속, 20대, 30 대들의 대표적인 감정구조는 다음과 같다. 1) 이미 존재했던 스트레스나 원래 느끼지 못했던 스트레스가 끝없이 확대된다. 2)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 의해 나타난 새로운 인생 계획 경향이다. 3) 개개인의 생각과 경험이 독특해서 대상자 중에서도 자기 삶이 코로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계기를 가져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러한 감정구조가 주류가 아니지만 다양한 감정구조 속에 존재하는 독특한 부분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감정은 개인의 것이지만, 이는 또 다시 사회적인 것이다. 브이로그는 일상을 기록하는 비디오의 한 종류로써, 다른 장르에 비해 실제의 현실 생활을 최대한 그대로 드러낼 것이라고 보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서로 다른 공간과 상황에 놓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코로나’라는 특정한 사건을 동일하게 겪었기 때문에 브이로그는 공성과 보편성을 갖는 매개체로서 더욱 강도 높게 그들을 연결시킨다. 브이로그는 단순히 '기록'에 관한 것이 아니라, 브이로그 콘텐츠의 '이야기'와 네티즌 의 '공유'가 이 시대를 함께 기억할 수 있는 매개가 되었다. 브이로그를 제작하는 이들이나, 그들이 보여주는 브이로그 콘텐츠나, 나아가 이를 시청하는 이용자들은 실생활을 바탕으로 형성된 인터넷 가상 커뮤니티 속에서 다양한 감정 경험을 공유하고, 인터넷과 현실의 한계를 뛰어넘는 공동체를 형성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한중 청년들의 일상 브이로그(vlog)에 대한 수용 연구: 채널 <planD플랜디>와 <사랑하는 가청>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Acceptance of Daily Vlogs by Young People in Korea and China: Focused on the Channels <PlanD> and <Dear Jiaqian>-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하맹연-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E MENGYAN-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방송∙영상∙미디어-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EDIA COMMUNICATION(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