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 0

한·중 창작 무용에 나타난 현대성 연구

Title
한·중 창작 무용에 나타난 현대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odernity of Chinese Creative Dance - Focused on Choi Jiyeon LipingYang's -
Author
최소적
Alternative Author(s)
CUI XIAODI
Advisor(s)
손관중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문화는 민족의 기초이고 예술은 민족의 영혼이다. 다양한 국가와 민족의 민속 무용은 독특한 토착적 특성과 예술 스타일을 가지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사람들의 사상도 끊임없이 진보하고 있으며, 현대 무용의 발전은 중한 간의 무용 창작에 더 많은 교류 기회를 제공하였다. 현대 무용이 부상하면서 한국과 중국의 무용수들은 개인의 표현과 독자적인 창작에 더욱 신경을 쓰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창작 개념, 기술 및 스타일을 적극적으로 흡수하고 배우며 지속적으로 교류하고 협력한다. 한국과 중국의 무용 창작에서 전통 요소를 현대 무용 기법에 접목함으로써 무용 창작자들이 표현 방식, 동작 형식, 춤 구조에 있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의 무용 창작에 나타난 현대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무용가 최지연의 <플라스틱 버드>와 중국 무용가 양리핑의 <공작>을 예로 들며 현대적 요소를 분석한다. 연구는 먼저 한국과 중국의 창작무용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형성과 발전을 고찰하고, 한·중 창작무용이 내포하는 현대적 요소를 탐구한다. 작품 속 음악, 동작, 대상, 의상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대적 요소를 탐색한다. '현대성'의 관점에서 작품의 발전 방향을 이해하고 한중 창작 무용의 잠재력을 탐색하며, 최지연과 양리핑의 성장 배경과 예술 성향 분석을 통해 현대 무용과 모더니즘 요소가 한중 창작 무용에 미치는 영향 및 미래 창작 방향을 모색한다. 첫째, 작품 속 음악은 전통악기를 활용해 현대음악을 배경음악으로 연주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둘째, 동작에서 한국과 중국의 전통무용 요소와 현대무용 요소를 융합하여 작품을 재창조한다. 셋째, 작품 속 물체는 현대적인 것을 이용하여 작품의 중심사상을 표현한다. 넷째, 의상에도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통해 현대적 요소를 과감히 가미한다. 한·중 창작 무용에서 나타나는 현대성을 분석하여 한국과 중국 무용수의 예술 창작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무용 연구에 의의가 있다. 최지연과 양리핑의 무용 작품을 통해 사회문제와 인간감정을 돌아볼 수 있다. 신체의 움직임과 자세를 통해 사회 문제, 정체성 역할 등의 의제에 대한 사고와 관점을 표현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538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9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