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9 0

대학생의 고독이 폭식경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식갈망과 ‘먹방’시청의 직렬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고독이 폭식경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음식갈망과 ‘먹방’시청의 직렬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food craving and watching ‘Mukbang’ in the effect of loneli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bulimic tendency
Author
주하영
Alternative Author(s)
Joo Ha Young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고독이 폭식경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음식갈망과 먹방시청의 직렬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청년 고독과 먹방시청 현상에 대해 심리적 관점에서 조명하고 더 나아가 폭식의 기제에 대한 분석 및 예방에 대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을 위해 전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67명(남자 189명, 여자 2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정서·사회적 고독 척도, 음식갈망 척도, 먹방시청빈도와 먹방시청시간량 질문,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9.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2 프로그램의 모델 6번을 사용하여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고독과 음식갈망, 먹방시청, 폭식경향은 모두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고독과 음식갈망, 먹방시청, 폭식경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는 모든 변인의 점수에서 성차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생의 고독이 폭식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음식갈망과 먹방시청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고독 경험은 음식갈망을 유발하여 먹방시청의 빈도수와 시간량을 증가시키며 결국 폭식경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고독과 폭식경향의 직접적 관계와 그 사이 음식갈망과 먹방시청이 매개하는 변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초기 성인기의 대학생이 사회적 관계 내에서 겪을 수 있는 정서적 어려움과 폭식경향으로 이어질 위험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에 대한 상담 및 치료를 포함한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과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제언을 논의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loneliness of university students on bulimic tendency and to verify the serial mediating effect of food craving and watching Mukbang video. Through the study, the recent emergence of youth solitude and mukbang watching phenomena will be revealed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and further presented as data on the analysis and prevention of the mechanism of bulimic tendency. For research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467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189 men and 278 women) attending universities nationwide. As research tools, a self-reporting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emotional and social loneliness scale, the food craving scale, the frequency of watching eating shows and the amount of time spent watching mukbang, and the revised version scale of the bulimia nervosa test. Data analysis was verified using Model 6 of the SPSS 29.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4.2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loneliness, food craving, mukbang watching, and bulimic tendency all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neliness, food craving, mukbang watching, and bulimic tendency according to gender. This means that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cores of all variabl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food craving and watching mukbang in the relationship where university students' loneliness affects the bulimic tendency.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of university students causes food cravings, increasing the frequency and amount of time of watching mukbang, affecting the bulimic tendency.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bulimic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and between them, food cravings and watching mukbang act as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understand the emotional difficulties and risks that early adult university students may face in social relationships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necessity and prevention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cluding counseling and treatment.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on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374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90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