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 0

한국 성인 암의 직업성 발암물질 기여 위험도 추정

Title
한국 성인 암의 직업성 발암물질 기여 위험도 추정
Other Titles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 of Occupational Carcinogens on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Korea
Author
김은미
Alternative Author(s)
Kim Eun mi
Advisor(s)
김인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Background Population attributable fraction(PAFs) are primarily used to decide the evidence-based policies for public health issues (Shield et al., 2016). In 1970s, Doll and Peto fist reported PAF of cancer related to occupational factors. However, data sources are still insufficient to identify health issues related to occupational risk factors. Exposure of occupational risk factors is usually concentrated among small groups, and therefore identification of a risk and proper intervention may decrease disease burden (Ames and Gold, 1998). Hence, we are to estimate preventable cancer related to occupational carcinogens in Korean population aged 20 and over. Methods The latent period of cancer incidence from exposure of occupational risk factors was defined as 15 years or longer. We selected the occupational factors evaluated as the definite human carcinogens (Group 1) in the IARC. We identified relative risk of cancer with previously identified causality in meta-analysis, related to prevalence of exposure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or calculated by using K-CAREX and census data. As a result, The PAFs of 14 types of cancer related 10 occupational carcinogens was estimated according to Levin's formula(1953). In addition, a trend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PAFs of occupational cancer by 2025 was predicted by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In 2015, there were 2,778 adult cancer cases (1.29%) from occupational carcinogens, and 1,689 deaths (2.20%). Asbestos, it is widely known, showed the highest PAFs among occupational factors. Also, The importance of cancer sites such as Mesothelioma, Sinonasal and Lung cancer in order, which was previously reported in France (Micallef et al., 2019). Prevalence of exposure of Diesel engine exhaust was the highest, and Formaldehyde and Trichloroethylene was predicted to rapidly increase in women by 2025. However, PAFs of cancer with sufficient evidence in human carcinogenicity related Trichloroethylene and Formaldehyde was low. The similar results were reported in Canada (Labrèche et al., 2019). Conclusion In the study, we used the K-CAREX developed first in Asia and estimated preventable cancer related to occupational carcinogens in Korean adults. W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indicators which require appropriate interpretation by methodology, and described possible bias and limitations of indicators in detail. Thus, the study may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methods and indicators for regular calculation. |연구배경 및 필요성 인구집단기여위험도(PAF)는 질병의 공중 보건 정책 방향 수립의 중요한 지표로 공중보건문제에 대한 증거기반 정책 결정을 촉진하는데 주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Shield et al., 2016). 1981년 Doll과 Peto에 의해 직업적 요인을 포함한 암에 대한 기여위험도(PAF)가 처음 발표되었으나 현재까지 고소득 국가를 제외하고 직업적 발암 요인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확인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직업적 노출 요인은 비교적 소규모 그룹에 노출이 집중되기 때문에 개입을 통해 질병 부담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Ames and Gold, 1998). 질병 부담 수준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알려진 위험일지라도 국가 자료를 통해 위험 수준을 규모를 추정하고 노동자의 위험에 개입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생산하는 것은 중요하다. 최근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한국형 발암물질추정도구(K-CAREX)가 개발되었으며 우리나라의 산업환경에서 노출되는 발암요인의 노출 인구 추정이 가능해졌다(Koh et al., 2021). 그러므로 현시점에서 활용 가능한 자료원 및 방법론을 이용하여 한국 성인에서 직업적 발암요인이 제거되었을 때 예방 가능한 암 발생 및 사망의 수준을 추정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직업적 요인의 노출로부터 암 발생 지연기간을 최소 15년으로 정의하고, 2015년 국가 암 등록 자료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에서의 암 발생의 인구집단기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우선적으로 국제 암 연구소(IARC)의 인간에게 확실한 발암요인(Group 1) 중 국내 인구에서의 직업적 노출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암요인을 선정하고, 이전 문헌 또는 한국형 CAREX를 인구센서스에 대입하여 산출한 노출률(Prevalence of Exposure)과 메타분석을 통해 인과성이 확인된 암 종에 대한 상대위험도(Relative Risk)를 Levin’s Formula(1953)에 대입하여 전체 10개의 직업성 요인의 14개 암 종에 대한 인구집단기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추가적으로 변화되는 직업적 노출률과 암 발생 사망자수를 선형회귀모형으로 추정하여, 2025년까지의 직업성 암의 인구집단기여위험도 추이를 선형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2015년 기준 20세 이상 성인에서 2,778명(1.29%)이 직업성 발암물질로 인한 암이 발생되었고, 1,689명(2.20%)이 직업성 발암물질로 인한 암으로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직업성 요인으로 기인한 암 발생자가 가장 많은 암 종은 폐암(66.25%)이였으며, 알려진 바와 같이 석면이 전체 직업성 요인 중 가장 기여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산출되었다. 그 외 암 종별 기여위험도의 순위를 살펴본 결과 중피종, 부비동암, 폐암 순으로 나타나, 최근 프랑스의 인구집단기여위험도 결과와 비슷한 것으로 산출되었다(Micallef et al., 2019). 그 외 디젤엔진배출물질의 노출률이 가장 높았으며, 2025년까지 여성에서 포름알데히드와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노출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트리클로로에틸렌,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충분한 근거가 있는 암 종에서도 인구집단기여위험도가 0.01%로 낮게 산출되었고 최근 캐나다 연구에서도 같은 수준으로 발표되고 있다(Labrèche et al., 2019). 결론 이 연구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국가의 산업환경을 반영하여 개발한 노출 도구를 활용하여 한국 성인에서 직업적 노출 요인이 제거되었을 때 예방 가능한 암 발생 및 사망의 수준을 추정한 것에 의미가 있다. 또한 적용한 방법론에 따라 적절한 해석이 필요한 지표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과의 편향 가능성 및 지표의 한계점을 비교적 자세히 기술하였으므로 추후 주기적으로 산출이 가능한 지표 개발 시 방법을 구상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핵심단어: 직업성 발암물질, 직업성 암, 한국형 CAREX, 인구집단기여위험도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82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8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HEALTH SCIENCES(보건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