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1 0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재해석 무용 안무 연구

Title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재해석 무용 안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interpretation Dance Choreography of the Musical 「West Side Story」
Author
박미주
Alternative Author(s)
Park Mi Joo
Advisor(s)
문영철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시대적 변화와 함께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연예술은 각 분야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다양한 장르들의 혼합과 결합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총체 예술 장르로서 대중들의 기호에 따라 그 가치와 방식이 발전되고 있는 뮤지컬은 무용, 연기, 노래 그리고 무대 메커니즘이 함께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종합공연예술이다. 다른 예술 장르들에 비해 짧은 역사를 지니고 있는 뮤지컬은 각 장르들의 표현적 특성을 융합하여 독창성을 인정받고 균형 있게 구성된 다양한 작품들을 통해 관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예술 장르로 자리하고 있다. 뮤지컬 안에서 무용 안무는 극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더욱 긴밀하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장면과 장면 사이의 흐름을 변화시키고 등장인물의 감정묘사와 상황을 더욱 극대화해 이미지를 구체화하는 연출적 효과를 발현한다.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작품에 안에서 안무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고전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를 통해 사회적 배경과 상황,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된 재해석 안무에 대해 연구하였다.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 나타난 무용의 형태와 역할, 재해석 안무에 대해 요약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장면별 나타나는 다양한 장르의 무용을 고유한 특색을 살려 그 비중과 난이도에 차이를 두어 다른 장르들을 조화롭게 혼합하여 화려한 군무와 테크닉을 부각시킨 다채로운 장면들을 창안했다. 둘째, 특정 안무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각 집단의 정체성을 확실히 심어주고, 복잡한 주제를 안무를 통해 통일성을 충족시켜 극 주제를 구체화 시키고 표현적 기능의 가치를 증가시켰다. 셋째, 현재 사회적 배경과 상황에 알맞은 무용 안무의 재해석으로 성차별에 대한 인식과 지향해야 할 올바른 방향, 여성의 지위 상승과 사회적 진출에 대해 관객들에게 충분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에서 나타난 재해석 무용 안무를 분석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공연되어지는 뮤지컬 작품이 시대적 경향을 읽고,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여 더욱 확장된 예술작품이 다각도로 창출되기를 희망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1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7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