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4 0

디지털 포용적 금융이 중국 지급시의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

Title
디지털 포용적 금융이 중국 지급시의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on the Urban-Rural Income Gap of China at the Prefectural Level
Author
두시우
Alternative Author(s)
DU SHIYU
Advisor(s)
문춘걸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의 지도 하에 중국 경제와 금융은 지속적으로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다. 각 지역의 경제 발전 수준이 고르지 않고 금융의 발전과 자원 할당 등 여러 측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금융 배척 현상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척으로 인해 경제 발전 수준이 낙후되고 외딴 농촌지역 주민들은 필요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받기 어려워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가 증가하여 공동 번영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불리하게 되었다. 디지털 포용적 금융의 도입은 금융 배제를 완화하고 농촌지역 주민에게 진정으로 혜택을 주며 모든 금융 수요자에게 필요한 금융 서비스와 상품을 쉽고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128개 지급시의 패널자료를 기반으로 고정효과 패널모형을 사용하여 지급시의 단위에서 디지털 포용적 금융이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포용적 금융지수를 대체하여 해당 지수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설명변수로 사용하는 경우에 모형의 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와 디지털 포용적 금융이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이 경제벨트 간에 이질성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디지털 포용적 금융의 발전은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를 유의하게 줄일 수 있으며, 디지털 포용적 금융지수 자체보다 해당 지수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에 해당하는 디지털금융의 보급 범위를 설명변수로 사용하면 도시지역 주민과 농촌지역 주민 간 소득격차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우수하며, 경제벨트별로 분석한 결과 디지털 포용적 금융의 소득격차 해소효과는 서부 지역에서 가장 두드러진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여건을 반영하여 디지털 포용적 금융을 발전시키며, 디지털금융 인프라를 개선하여 디지털금융의 보급을 확대하며, 금융 상품 및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혁신해야 한다는 정책 제안을 제시하였다. |Under the leadership of the ideology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China's economy and finance have continued to develop at a high speed. Due to the uneven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in various regions,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financial development and resource allocation, which leads to financial exclusion. Under such exclusion, residents in rural areas or remote areas with backward economic development find it difficult to obtain the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they need, which in turn widens the incom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nd makes it harder to achieve the goal of common prosperity. The introduction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has broken this grave situation. It is designed to provide the required financial services and financial products conveniently and quickly to all financial needers, inclusively benefitting residents in rural areas. Using the panel data of 128 prefectural-level provinces/cities in China from 2011 to 2021, this thesis conducts an econometric analysis based on a fixed-effect panel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on the urban-rural income gap of China at the prefectural level. Additionally we examine heterogeneity from the perspectives of different dimensions and different economic belts.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significantly narrows the urban-rural income gap.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t dimensions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the coverage breadth explains the urban-rural income gap the best.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t economic belts, the narrowing effect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on the urban-rural income gap is most significant in the western region. Finally, policy recommendations are put forward based on the research conclusions: Develop digital inclusive finance in accordance with local conditions, improve infrastructure to expand the coverage breadth of digital inclusive finance, and actively innovate financial products and servic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61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74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CONOMICS & FINANCE(경제금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