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영향요인 분석

Title
서울시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on Intersection in Seoul, Korea: Focusing on Intersection Safety Facilities
Author
과묘
Alternative Author(s)
GE MIAO
Advisor(s)
이수기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lthough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have been decreasing in recent years,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s have not. Intersections are where pedestrians and vehicles intersect and pedestrian safety is relatively weak, so traffic safety measures are needed to ensure pedestrian safety and safe access to intersections. The government is promoting various traffic safety measures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at intersections. For example,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when turning right, the government has enhanced stop enforcement when vehicles turn right. Safety measures have also been developed to attract the attention of drivers and provide a safer driving environment. However, continued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in traffic crashes, and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edestrian crashe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t intersections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at intersections. Also,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nd pedestrian crashes is underway.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that propose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based on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measurements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and do not adequately mention the available spatial units of analysis. In detail, the existing studies discuss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from a macro level in order to measure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relatively large scope of the spatial analysis units used does not allow for specific intersection pedestrian safety improvement measures to be proposed, which limits the analysis of intersection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In addition, most domestic studies analyz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t intersections have focused on severity factors, and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accidents at the microscopic spatial level. In this context,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ives. First, we propose a spatial analysis unit based on the intersection level to analyze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from the intersection microscopic perspective. In addition, various micro-level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such as intersection design,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and crossing aids, are added to the variables for comprehensive analysis. Seco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n whether pedestrian accidents occur and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number of accidents from the microscopic perspective of intersections. Third, this study aims to provide targeted policy implications for intersections based on the degree of damage to pedestrians from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from a microscopic intersection perspectiv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analyzes the occurrence of pedestrian crash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rashes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based on the degree of pedestrian damage using the zero excess negative binomial method. The zero excess negative binomial method describes the probability function of "zero" as a logarithm and the dependent variable other than zero as a counting model; in other words, it has the advantage of determining the probability of not having a pedestrian traffic accid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rsection where the accident occurs. On the other hand, by comparing the accuracy of the three models, Poisson regression model, negative binomial curve model and negative binomial curve model, the negative binomial excess method seems to have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intersection class types, it is generally emphasized that the higher the road class, the weaker the pedestrian safety, 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ntermediate roads are more prone to pedestrian accidents than other classes of roads. Therefore, in order to find ways to prevent pedestrian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plan the legislation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intersections. Second, in the land use factor of the intersection microenvironment, pedestrian accidents are more likely to occur at intersections with large floor space for commercial and residential facilities, indicating that land use planning of the intersection microenvironment needs to be improved. Third, among the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factors, the distance to subway entrances and bus stops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destrian accidents, and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traffic planning related to public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at intersections. Fourth, in the street facilities factor, pedestrian priority roads are interpreted as an effective traffic safety policy to improve pedestrian safety, and based on this, expanding pedestrian priority road projects in areas with weak pedestrian safety is interpreted as a necessary policy. Fifth, among the intersection design factors related to right turns, the probability of serious accidents is much higher on right-turn-only roads, so traffic measures such as right-turn laws are necessary policies to reduce pedestrian accidents at intersections. Sixth, in terms of crossing aid design, it was found that pedestrian accidents were more likely to occur when traffic islands were provided. To promote pedestrian safety, the traffic island improvement project promoted by the Korea Expressway Authority appears to be a necessary polic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strategic pedestrian safety improvements can be introduced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using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to prevent accidents or reduce the number of accidents.|최근 몇 년간 국내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사고는 오히려 소폭 증가하였다. 교차로는 보행자와 차량이 만나는 지점으로 보행 안전이 취약한 구간이다. 따라서, 교차로에서의 보행 안전 및 횡단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교통안전 방안이 필요하다. 정부는 교차로에서의 보행 안전 증진을 위해 우회전 시 차량 정차, 보행자 우선도로 확보 등 다양한 교통안전 방안을 추진하였다. 교차로에서의 보행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건수와 교차로에서의 물리적 환경요인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 물리적 환경요인과 보행자 교통사고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존 선행연구는 거시적 규모의 물리적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고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교차로 미시적 규모에서 측정되는 물리적 환경요인을 바탕으로 한, 보행자 교통사고 개선에 대한 논의를 제안하는 연구가 부족하고, 미시적 규모의 요인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단위에 대한 언급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렇기에 선행연구에서는 교차로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교차로 안전시설과 교차로 설계와 같은 미시적 규모의 요인에 대한 보행 안전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로 규모에 따라 위계를 구분하여 공간적 분석단위의 설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교차로 미시적 규모의 물리적 환경요인이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여부, 사고 건수의 증가 또는 감소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세부적인 보행 안전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교차로 설계, 가로시설물 설치, 횡단 보조시설물 등을 비롯한 다양한 미시적 규모의 교차로 안전시설과 같은 물리적 환경요인을 변수에 추가하여 보행자 피해 정도에 따른 종합적인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의 영향요인을 교통사고 시 보행자 피해 심각도 정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은 종속변수가 '0' 값을 가지게 될 확률에 대한 추정을 진행하는 로짓 모형과 그 외의 값들에 대한 가산모형을 동시에 추정하는 방법이다. 즉, 버퍼 내에서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과, 발생할 경우 사고 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더불어, 포아송 회귀모형, 음이항 휘귀모형,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 총 세 가지 모형의 정확도를 비교해서 영과잉 음이항 방법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로가 다른 위계의 도로보다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에서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도로 위계가 높을수록 교차로에서의 보행자가 더 위험하다는 것과 반대되는 결과이다. 이를 통해 교차로 위계에 따른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교차로 토지이용 요인에서 상업시설과 주거시설의 연면적이 클수록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가 더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차로 인근에 안전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대중교통 요인에서 지하철 출입구와 버스정류장까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가 더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로에서 대중교통 정류장 인근에서의 보행 안전 개선계획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가로시설물 요인에서 보행자 우선도로는 교차로의 보행 안전을 높이는데 효과적인 교통안전 정책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보행자 우선도로의 확대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교차로 설계요인에서 우회전 도로가 설치되면 중상 이상의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기에 우회전 시 차량 일시정지의 의무화와 같은 우회전 통행법은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에 필요한 정책으로 보인다. 여섯째, 횡단 보조시설물 설계의 경우에서, 교통섬이 설치되면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에, 도로관리청에서 추진하는 교통섬 개선사업이 보행 안전을 증진에 필수적인 정책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차로 안전시설을 중심으로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적 규모의 물리적 환경요인을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향후 교차로 보행자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보행 및 횡단 안전 개선에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600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6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URBAN PLANNING(도시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