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 0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역할 기대 연구

Title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역할 기대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Role Expectations of School Members for Counseling Teachers
Author
황윤하
Alternative Author(s)
Hwang, Younha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구성원들의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연구를 위해 먼저 무작위로 선정한 54명에게 상담과 상담사, 교사와 전문 상담교사에 대한 질문을 제시하여 이에 대한 일반적 의견을 수집했다. 이후 이를 바탕으로 Q방법론을 적용한 36개의 문항을 작성하여 학생 32명, 부모 11명, 교사 13명 등 총 5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총 4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믿음직스러운 대상이 필요하고, 이야기를 하면 분명 도움이 될 수 있다고도 생각하지만, 학교와 교사가 이를 말하 기에는 안전한 대상이라고 느끼지 않는 학생이었고, 두 번째 유형은 첫 번째 유형 과는 달리 학교에서 교사를 통해 긍정적 지지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자신의 이야 기를 쉽게 꺼낼 수 있는 학생이었다. 세 번째 유형은 전문상담교사를 교사의 활동 을 지원하는 역할로 인식하고 있는 교사였고, 마지막 네 번째 유형은 학교 기관의 교육 활동에 대한 신뢰를 가진 부모로 나타났다. 공통적으로 네 요인 모두가 상담 에 대한 개방성과 전문성에 대한 인정, 그리고 상담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가진 것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가 분명하지 않고, 각 구성 원들마다 다른 맥락에서 전문상담교사를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과 지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role expectations of school members for counseling teachers. For the study, 54 randomly selected people were first asked questions about counseling and counselors, teachers, and counseling teachers to collect their general opinions. Based on this, 36 questions were created for the Q- methodology, and a total of 56 participants, including 32 students, 11 parents, and 13 teachers were asked to find out their expectations. From this, a total of four factors were deduced. The first factor was students who need someone they can trust to talk to about their problems, and who feel that talking about themselves to someone can be helpful but don’t feel that counseling teachers and teachers are safe to do so. The second factor was students who, unlike the first factor, have received positive support from teachers, and feel comfortable talking about their problems. The third factor was teachers who think that counseling teachers as a supporter of teachers' activities, and the fourth factor was parents who trust the school and educational activities. Common to all four factors was an openness to counseling,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of counseling, and a basic understanding of counsel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urrent role expectations for counseling teachers are not clear, and each factor understands counseling teachers in different contex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s and orientations of school counselors were proposed for the futur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601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61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상담심리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