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 0

문화재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한 안전관리체계 구축 방안연구

Title
문화재 재난대응을 위한 스마트한 안전관리체계 구축 방안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how to establish a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response of cultural properties
Author
이정현
Alternative Author(s)
LEE, Junghyun
Advisor(s)
최동호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의 소중한 문화재들을 화재로 잃는 아픔을 수차례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재의 안정적인 관리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문화재를 제외하더라도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상당수의 문화재에는 예산 등의 문제로 방재설비나 관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는 문화재의 방재 안전관리 실태에는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하여 상대적으로 열악한 환경에 놓인 국내 문화재 전반에 적용이 가능한 효율적인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문화재가 없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4대궁·종묘와 조선왕릉의 방재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문화재 관리를 담당하는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첫째,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는 문화재의 방재 안전관리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현장에서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방재인력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살펴보고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인식 및 유형별 기술 도입에 대한 수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끝으로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화재 등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안전관리 체계의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 17개의 주요 행정구역에 설치되어있는 지역 문화재돌봄센터를 활용하여 권역별 통합 관제센터로 구축하여 상시 문화재를 모니터링하고 유사시 인접 지역의 근무자를 출동시키거나 경찰서, 소방서 등 주요 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한정된 예산과 인원으로도 효과적인 문화재 방재 및 돌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통합 관제센터로 운영되는 돌봄센터 내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여 불규칙한 기상 상황에 대비하고 시기별, 유형별 다양한 상황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와 AI를 활용한 조기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고, 순찰로봇과 드론 스테이션의 무인 운영체계 구축을 통해 인력운용으로 야기되는 휴먼에러를 해소하고 방범, 방재 안전관리에 활용한다. 그리고 즉각적인 대응이 어려운 격오지의 중요 목조문화재의 경우, 스마트센서와 IoT장비를 활용하여 조기대응 진화시스템을 구축하여 초기에 화재의 확산을 막아 큰 피해를 예방하도록 하는 세부방안을 마련했다. 또한 기존 인력에 대한 교육과 전문인력 양성 커리큘럼 구축을 통하여 문화재 관리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관리인력을 배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통합관리 환경 조성과 문화재의 온전한 보존을 위한 효율적인 안전 관리체계의 구축 마련에 미약하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Despite the fact that we have experienced the pain of losing our precious cultural assets to fires many times, the stable management of cultural assets is still not achieved. Except for cultural properties directly managed by the state, many cultural properties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lack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and management due to budgetary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problems exist in the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ies directly managed by the state, and to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is, I hope to establish an e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all domestic cultural properties in relatively poor environments, so that no cultural property is left in an unsafe state.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disaster prevention management status of the four Royal Palaces, Jongmyo Shrine, and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ducted a survey of those in charge of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First, 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ies directly managed by the state. Second, I examined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survey of disaster prevention experts working in the field, and investigated their awareness of th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ir acceptability of introducing each type of technology. Lastly, I proposed a plan to build a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and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such as fires. By utilizing regional cultural property care centers established in 17 major administrative regions across the country, I established them as integrated control centers by region to monitor cultural properties at all times, dispatch workers from adjacent regions in case of emergency, and connect with major institutions such as police and fire departments to enable effective cultural property disaster prevention and care even with limited budgets and personnel. By establishing a data center within the care center, which is operated as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I operated an early warning system using big data and AI to prepare for irregular weather conditions and predict various situations by time and type in advance, and established an unmanned operation system for patrol robots and drone stations to solve problems and human errors caused by manpower operation and utilize them for crime prevention and disaster prevention safety manage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important wooden cultural properties in remote areas where it is difficult to respond immediately, a detailed plan was prepared to prevent the spread of fire at an early stage by establishing an early response evacuation system using smart sensors and IoT equipment to prevent major damage. In addition, through the training of existing personnel and the establishment of a curriculum for the training of specialized personnel, it was possible to produce management personnel with expertise in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contribute in a small way to the cre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environment for cultural heritage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481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5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DISASTER PROTECTION AND SAFETY ENGINEERING(방재안전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