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0

학교 교육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 효과성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Title
학교 교육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방안 연구 : 효과성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Author
이청현
Advisor(s)
김성수
Issue Date
2023.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o overcome global crises and achieve peace and prosper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establishe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hich emphasize integrated action across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cultural dimensions. To achieve these goals, maj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emphasiz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 schools. Korea has been actively working to implement ESD at the national level by enacting sustainable development law in the early 2000s and establishing partnerships with UNESCO, municipal ministry of education, civil society, and businesse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implem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schools by reflect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major subjects and utiliz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free semester system. In the recently announced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furth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reflect it in all curricula. However, there are skeptics about the qua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schools compared to quantitative efforts. In fact, studies that have measured the perform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have been limited to measuring quantitative aspects of education rather than qualitative aspects, such as the extent of curriculum reflection and teacher recognition. This is inconsistent with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hich emphasizes behavior change through action-oriented transformative learning.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explor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at can bring about behavior change in students in the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After analyzing studies on the performance of educational programs from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to recent years, we found that problem-based learning (PBL) was most often used. Teachers argued that students' achievement was higher in education using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than in education using lecture-based learning methods. In particular, they mentioned that students showed excellent achievement in global citizenship, understanding of diversity and universality,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issues, a sense of respect for life, creativity, good values and character and knowledge, which are important i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ese contents, we analyzed the implementation repor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schools to see how students' behavior changed. As a result, student behavior change in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was linked to the 17 goal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re competenci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e same results were foun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international cases. To substantiate this analysi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ho have implem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ir schools. The interviewed teachers mentioned that teaching methods that apply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such as cooperative, project, and problem-based learning, rather than lectures, are effectiv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s categorized as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nd 'democratic civic educ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seeks to restore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to restore altruistic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and communities. The restoration of relationships is experienced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in which stud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 cooperative and caring manner with a sense of problem-solving. This is why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which focuses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outcome, and transformative learning, which UNESCO calls action-oriented, are importa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 need to change the paradigm of education from "what and how much to teach" to "how to teach" when discuss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Governments should develop and disseminate action-oriented education programs to ensure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schools.|국제사회는 전 지구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평화와 번영을 누리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세우고 사회·경제·환경·문화적인 측면에서 통합적인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세계 주요 국가들은 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초 지속가능발전 기본법을 제정하고 유네스코를 비롯한 시도교육청, 시민사회,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마련하는 등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다. 교육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주요 교과목에 반영하고 창의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자유학기제를 활용하여 학교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해 오고 있다.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태전환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이라는 내용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이를 전 교과에 반영하도록 했다. 그러나 학교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양적인 노력에 비해 질적인 면에서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실제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성과를 측정한 연구들은 교과 반영 정도, 교사의 인식 정도 등과 같이 교육의 질적인 면보다는 양적인 면을 측정했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는 실천 중심의 변혁적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행동 변화를 강조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지향점과 일치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행동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부터 최근까지의 교육프로그램 성과 관련 연구물을 분석한 결과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사례가 가장 많았다. 교사들은 문제중심학습과 협동학습 등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사용한 교육에서 강의식 학습법을 활용한 경우보다 학생들의 성취도 높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중요시되는 세계시민의식, 다양성 및 보편성 이해, 국제적 이슈 이해, 생명존중의식, 창의성, 바른 가치관 및 인성과 지식 등에서 우수한 성취감을 나타낸다고 언급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진행된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 보고서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행동 변화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제중심학습과 협동학습을 적용한 교육에서의 학생 행동 변화는 지속가능발전의 17개 목표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역량과 연계되었다.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 사례에서도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입증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직접 실행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강의식 보다는 협동식, 프로젝트식, 문제중심학습 등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수업방식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효과적이라고 언급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생태전환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이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성을 회복하고 사람과 사람 사이의 공동체를 위한 이타적인 관계성을 회복하는 것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다. 관계성의 회복은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지고 협동과 배려의 자세로 상호작용하는 학습과정을 통해서 체득된다. 따라서 결과보다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는 구성주의 학습이론, 즉 유네스코가 강조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있어서 실천 중심의 변혁적인 학습법이 중요한 이유이다. 이제 우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논하는 데 있어서‘무엇을 얼마만큼 교육할 것인가’에서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로 교육의 패러다임을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제 학교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실천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837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4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CIVIL SOCIETY(시민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