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병관-
dc.date.accessioned2023-08-23T01:33:48Z-
dc.date.available2023-08-23T01:33:48Z-
dc.date.issued2018-07-
dc.identifier.citation한국광고홍보학보, v. 20, NO. 3, Page. 35-77-
dc.identifier.issn1738-2475-
dc.identifier.uri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11171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618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메타 분석에 의한 신뢰도 일반화(reliability general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유명인 모델 속성의 측정 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76편을 대상으로 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등 유명인 모델 속성 척도의평균 신뢰도 계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표본크기, 평균, 표준 편차, 여성 비율, 척도 유형, 측정 도구 원천 등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조절 효과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유명인 모델 속성 측정 도구의 신뢰도 평균은 매력성이 .823, 신뢰성 .850, 전문성 .830으로 비교적 안정된 신뢰도를 보이고 있었다. 국내 유명인 모델 속성 측정 도구는 측정값의 평균, 표준 편차, 척도 유형, 여성 표본 비율, 20대 이하 표본 비율 변인과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변계수 모델을 적용하여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동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고자 하였다.; A reliability generalization (RG) study was conducted for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 that consist of three sub-dimensional scales such as credibility, expertise, attractiveness.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 is the most commonly used tool in the field of advertising effects. In conducting this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major academic publications in Korea, with 76 articles reviewed and coded. Using a varying coefficient mode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average reported alpha coefficients ranged from .823 for attractiveness to .850 for credi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magnitudes of alpha coefficients varied depending on various moderators such as mean scores, standard deviation scores, scale type, and ratio of female and younger age in the samples. Discussions are made concerning the necessity for further use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15년 한양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HY-2015-G).-
dc.languageko-
dc.publisher한국광고홍보학회-
dc.subjectreliability generalization-
dc.subjectmodel attributes-
dc.subjectmeta-analysis-
dc.subjectreliability coefficient-
dc.subjectvarying coefficient model-
dc.subject신뢰도 일반화-
dc.subject모델 속성-
dc.subject메타 분석-
dc.subject신뢰도 계수-
dc.subject가변 계수 모델-
dc.title유명인 모델의 공신력 척도는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신뢰도 일반화 메타 분석의 적용-
dc.title.alternativeHow Reliable is the Reliability of the Celebrity Endorsement Scales? Applying the Reliability Generalization Meta-Analysis-
dc.typeArticle-
dc.relation.no3-
dc.relation.volume20-
dc.identifier.doi10.16914/kjapr.2018.20.3.35-
dc.relation.page35-77-
dc.relation.journal한국광고홍보학보-
dc.contributor.googleauthor이병관-
dc.contributor.googleauthor손영곤-
dc.contributor.googleauthor강경희-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언론정보대학-
dc.sector.department광고홍보학과-
dc.identifier.pidgogreen-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COMMUNICATION[E](언론정보대학) > ADVERTISING & PUBLIC RELATIONS(광고홍보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