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 0

HMD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특성 연구-Oculus Home을 중심으로-

Title
HMD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특성 연구-Oculus Home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ructural Features of VR HMD Interface Design -Focused Oculus Home-
Author
노승관
Keywords
Virtual Reality(가상현실); Head Mounted Display(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Samsung Gear VR(삼성 기어 브이알); Oculus Home(오쿨루스 홈); Interface(인터페이스)
Issue Date
2018-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4, NO. 3, Page. 281-296
Abstract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를 활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분야는 게임뿐만 아니라 교육, 미디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관심을 받고 있다. 2018년 현재, VR 기기의 유형은종이나 플라스틱 상자를 사용하여 스마트폰 앱에서좌우로 분리한 VR 영상을 단순히 보는 구글 카드보드 유형, 삼성 Gear VR과 Oculus Go와 같이 스마트기기의 특성을 이용하되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VR 앱을 구동하는 스마트 기기 유형, Oculus Rift와 HTC VIVE와 같이 PC와 연결하여 3차원의 이동까지 감지하는 기기를 사용하는 PC 연결 유형이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수용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보이는 스마트 기기 유형 중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삼성 Gear VR과 Oculus Go의 인터페이스인 Oculus Home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시각적 측면, 기기적 측면, 정보적 측면에서 홈 화면의 각 메뉴의 구성과 배치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메뉴 구성을제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탐색, 사람, 공유, 알림, 설정으로 구분된 주 메뉴 구성에서 사람, 공유, 알림은깊이가 지나치게 탐색이나 설정의 모두보기에 비해 메뉴 깊이가 매우 얕고 구조적으로 메뉴의 일관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적으로는 3차원 축의 기준설정이 수시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필요한뷰 재설정이 설정의 하위메뉴에 위치하고 있었다. 정보적 측면에서 도움말 기능의 부재로 인해 초기 사용자의 원활한 사용을 저해하고 있고, 사용자가 개입할 수 없는 일률적 메뉴 구조로 인해 숙련된 사용자의 취향 반영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메뉴를 탐색, 소셜, 관리, 사용자의 네 가지 영역으로 재구분하여 각 메뉴의 하위메뉴에 대한 메뉴 깊이를 유사한 수준으로 배치할 것, 뷰재설정과 도움말의 전면 배치, 사용자 메뉴의 포함을제언하였다. 또한 각 메뉴의 독립적인 배치와 효과적사용을 위하여 사용 시 처음 접하는 화면인 탐색-홈화면을 사용자 중심으로 재구성 할 것을 제언하였다.;The Virtual Reality field using the Head Mounted Display is gett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media as well as games. As of 2018, there are three types of VR device, Google Cardboard type that simply displays VR images separated from the smartphone app using a paper or plastic box, Smart device type that run VR app independently using controller like Oculus RIft and HTC VIVE which use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 and PC connecting type which can detect motion in three dimensions which connected to PC such as Oculus Rift and HTC VIVE. Among the smart device type, Samsung Gear VR and Oculus Home which is an interface of Oculus Go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to analyze the configuration of interface.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on th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each menu of the home page in terms of visual aspect, instrumental aspect, and informational aspect, to propose effective menu configuration. As a result, the main menu configuration divided into navigation, people, sharing, notifications, and settings showed that the menu depth was very shallow and the consistency of menu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all the depth. The most essential ‘RESET VIEW’ was located in the submenu of the setting in spite that it is technically necessary to set the reference of the three-dimensional axis from time to time. In the information aspect, the lack of the help function hinders the smooth use of the initial user, an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taste of the skilled user due to the uniform menu structure that the user can not interven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o re-classify the main menu into four areas of Navigation, Social space, Management, and Users menu, so that the menu depths for the submenus of each menu are arranged at a similar level and to place View Reset and Help at front and include the Users menu. In addition, the study proposed to reconfigure the navigation - home screen, which is the first contact when using it for independent layout and effective use of each menu.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3729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518
ISSN
1598-6497
DOI
10.18208/ksdc.2018.24.3.28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