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 0

IoT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 디자인 연구 -스마트 서비스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Title
IoT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 디자인 연구 -스마트 서비스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IoT Smart Service Device Design Research -Focusing on Types and Features of Smart Service-
Author
김헌
Keywords
Internet of Thing(IoT: 사물인터넷); Smart Service Device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 Interface Design(인터페이스 디자인); Voice Recognition(음성인식)
Issue Date
2018-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4, NO. 2, Page. 91-102
Abstract
이제는 단순히 제품만을 만들어 생산하는 범위를 벗어나 눈에 보이지 않은 서비스를 융합해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최근 스마트 서비스디바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눈에 띄게 늘었으나아직도 스마트 서비스에 대한 질적 양적 접근은 미흡한 실정이다. 브랜드마다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 설계의 기준이 각기 다르고, 인지적, 물리적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 현재 가장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IoT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를 유형별로 나누고 종류와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문헌과 평가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정확성, 인식성, 효율성, 직관성, 접근성 5 가지 주요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5가지 주요항목을분석결과에 대입하여 IoT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에대한 사용성을 분석하였고 제공하는 서비스의 실용성및 효율성을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음성인식 AI(인공지능) 인터페이스가 융합된 스마트 서비스가차세대 IoT 스마트 서비스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개발함에 있어서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사물인터넷 시대의 삶과 스마트 서비스의질과 발전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Now, we have come to the time of designing and creating products by merging invisible services, beyond the scope of producing only products. Recently, there has been a remarkable increase in research on smart service device design, but the both approach of quantity and quality in smart service are still insufficient. Smart service device design standards for each brand are different and have many problems in terms of cognitive and physical interfa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service devices and applications. In order to provide optimized smart service design guideline when developing interface, we tried to analyze usability aspects such as Accuracy, Recognition, Efficiency, Perceived Simplicity and Accessibility. As a result, we analyzed it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mart with the voice recognition and AI(Artificial Intelligence) interface to develop the next generation smart service interface. we are expecting this study will help improve practical and efficient interface design for the quality of life in IoT(Internet of Things).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4781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468
ISSN
1598-6497
DOI
10.18208/ksdc.2018.24.2.9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