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 0

브랜드디자인에 있어 지속기능디자인과 단기기능디자인의 특성 -잠바주스 브랜드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Title
브랜드디자인에 있어 지속기능디자인과 단기기능디자인의 특성 -잠바주스 브랜드디자인 분석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ustainable Design and Ephemera Design as Brand Designs -Focused on a Brand Design Analysis of Jamba Juice-
Author
CHOI ALBERT YOUNG
Keywords
Brand; Brand Design; Brand Identity Mark Design; Marketing Aesthetic; Brand Values; 브랜드; 브랜드 디자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마크 디자인; 마케팅 미학; 브랜드가치
Issue Date
2012-06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8, NO. 2, Page. 492-502
Abstract
21세기의 키워드 중 하나인 ‘브랜드’는 수용자와 연관된 모든 학문의 공동 관심 분야가 되고 있는 이 시점에, 시각디자인에서는 ‘브랜드 전략’이 디자인과정에서 연구해야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브랜드디자인’은 시각디자인을 기반으로 전략적으로 수용자들을 설득하고, 수용자들에게 믿음과 신뢰를 얻도록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 분애에 있어 브랜드디자인 방법론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분이다.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브랜드디자인을 설명한 다음, 브랜드 개발 및 유지에 영향을 주는 시대욕구의 변화인 장기간 변화와 단기간 변화를 매튜 힐리(Matthew Healey)가 제안한 브랜딩의시각디자인 요소와 번트 슈미트(Bernd Schmitt)가 지적한 마케팅 미학인 미학적 일관성과 미학적 다양성을 기준으로 다양한 시각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디자인을 지속기능디자인과 단기기능디자인으로 분류하였고, 이것들의 개념과 특성을 규정하였다. 지속기능디자인의 특성은 미적 일관성, 기능의 수명이 길음, 시대욕구에 쉽게 변하지 않음, 지속적인 기능 유지, 장기간 이미지 소통, 스타일과 트렌드에 예민하지 않음, 계절 및 기념일과 관계 낮음, 소비자들의 반응을 쉽게 적용할 수 없음이다. 그리고 단기기능디자인의 특성은 미적 다양성, 기능의 수명이짧음, 시대욕구에 쉽게 변함, 단기적인 기능 유지, 단기간 이미지 소통, 스타일과 트렌드에 예민함, 계절,기념일과 관계 높음, 소비자들의 반응을 쉽게 적용할수 있음이다. 또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시각디자인요소를 제안하였다.;``Brand`` is one of the important key words in the 21st century that it is a mutual interested field of study to all disciplines which associate with consumers, so ``Brand strategy`` is an important element and a required study i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nd its process. Especially, ``Brand design`` is based on an equal balance between a strategy an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o influence brand`s consumers and obtain loyalty and trust from the consumers. Thus this research is a part of the studies for developing brand design methodology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discipline. First, this research explained brand design by literature review, then analyzed a variet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case studies by referring the long-term transition and the short-term transition as the desires of the time, which influence the brand development and the brand sustenance, based on the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lements of branding suggested by Matthew Healey and the Aesthetic Consistency and the Aesthetic Variety of Marketing Aesthetic suggested by Bernd Schmitt. The research result confirmed to categorize Sustainable Design and Ephemera Design as application designs of brand design strategy and providing its definitions and properties. The properties of Sustainable Design are Aesthetic Consistency, long-term function, undisturbed by timely desires, maintained sustainable function, long-term image communication, uninfluenced by styles and trends, unrelated to seasons and special events, and unable to reflect consumers` responds. On the other side, the properties of Ephemera Design are Aesthetic Variety, short-term function, easily disturbed by timely desires, maintained ephemera function, short-term image communication, influenced by styles and trends, related to seasons and special events, and able to reflect consumers` responds.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e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lements for according to its categorization.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64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460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