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 0

웹툰에서의 몰입(Flow)을 위한 인터랙션 분석 연구

Title
웹툰에서의 몰입(Flow)을 위한 인터랙션 분석 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 Study on Interaction for a Flow in Webtoons
Author
고은영
Keywords
Interaction(상호작용); Flow(몰입); Webtoon(웹툰)
Issue Date
2009-12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15, NO. 4, Page. 74-84
Abstract
최근 만화 산업은 출판만화의 침체와 매체 전환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초창기 온라인 만화는 스캔만화로부터 시작되었고 이 후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거쳐 웹툰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웹툰은 현재 만화 산업의 대안으로서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영상의 활성화와 상호작용으로 인한 경험들이 중시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금의 웹툰은 인터넷 환경이라는 매체에 걸맞지 않게 단행본 만화를 보는 듯 한 정적인 이미지들로만 이루어져 있다. 현재의 웹툰이 지속적인 활성화를 성취하려면 인터넷 환경에 따른 변화와 함께 관람자들의 변화된 특성을 고려한 웹툰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 환경의 특성에 익숙한 관람자들을 고려하여, 웹툰에서의 몰입을 위한 인터랙션 요소의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틀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툰에서의 몰입을 위한 인터랙션을 연구하기 위해 관련문헌, 사례연구, 학술지, 네트워크 자료를 바탕으로 웹툰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정의와 등장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인터랙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몰입의 심리적 특성, 컴퓨터 상호작용에서의 몰입 개념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웹툰에서의 적용 가능한 인터랙션 요소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비트 미디어’의 ‘오비트 코믹스 (www.orbitcomics.com)’와 ‘Sutu’ 사의 ‘Nawlz (www.nawlz.com)’의 사이트에 있는 인터랙티브 코믹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선형적 스토리 구성’, ‘진행버튼을 이용한 내용전개 및 모션’, ‘인터랙티브 모션’, ‘음향효과’ 이렇게 4가지 요소가 웹툰에 적용 가능한 인터랙션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해 본 결과 모든 인터랙션 요소들은 궁극적으로 관람자들의 내용전개에 몰입을 하게 하여 전개상의 흐름을 보다 더 정확하게 이해시키고자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웹툰에서의 인터랙션은 몰입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그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향후 웹툰 제작에 있어 몰입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요소에 대해 보다 더 명확하고 자세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Recently, the comics industry has extended its range to the online medium due to the inactivity of published comics and the change of medium. Started with scanned comics, the online comics have included a flash animation, and then webtoon. The webtoon plays a great role as an alternative of the industry. Although an emphasis is now placed on experiences of interactions with activation of images, the existing webtoon are only comprised of static images like a book. It is not consort with current internet environment. To achieve the continuous activation, the webtoon should be transformed according to our internet world and the changed recognition of viewers and be produced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viewers who are familiar to the internet environment, analyze interaction elements for flow in the webtoon, and establish a systematic framework. For the purpose,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the webtoon were considered, based on related documents, case studies, journals, and network data to understand it generally. The definition and types of interacti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 and its concepts in the computer interaction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se, the interactive comics in `Orbit Comics` of the Orbitmedia(www.orbitcomics.com) and `Nawlz` of the Sutu(www.nawlz.com) were analyzed to identify applicable elements of the webtoon. The results showed that four elements were revealed to be interactive elements for webtoon nonlinear story construction, developing story and motion by button, interactive motion, and sound effects. The found that all elements of interaction focused on allowing viewers to flow into the storytelling and flow understand it more clearly. Thus, it is found that the interaction in webtoon is needed for the flow.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nvestigate its elements more clearly and detailed to enhance the flow in the production of webtoon.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54209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85439
ISSN
1598-649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